□ 서지사항
- 제목 :『불후의 고전적 명작 <꽃파는 처녀>를 각색한 혁명가극 꽃파는 처녀 노래집』
- 지은이 : 로익화편집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문예출판사
- 출판년도 : 1988
□ 해제
「꽃파는 처녀」는 불후의 고전적 명작인 <꽃파는 처녀>에 관한 노래를 모아 놓은 노래집이다. 이 노래집에는 깨끗하고 소박한 한 처녀의 형상을 통하여 억압받고 천대 받는 사람들에게 혁명적인 각성에 대한 노래들이 실려 있다. 특히 <꽃파는 처녀>는 1970년대에 먼저 영화로 만들어졌고 이후 가극으로 각색되어 무대에서 상연되었던 작품이기도 하다.
□ 키워드
꽃 파는 처녀, 노래집, 혁명가극, 주체혁명위업, 착취, 압박
□ 목차
머리말
꽃분의 노래와 방창 및 대중창 <<해마다 봄이 오면>>
방창 <<나라 없고 땅이 없으니 어이할소냐>>
철용과 어머니의 2중창 <<아버지가 머슴살다 돌아가신 방>>
꽃분, 순희, 철용의 3중창 <<어머니를 모시고 행복히 살리>>
방창 <<사랑하는 오빠마저 잡혀가누나>>
어머니, 꽃분의 노래와 방창 <<악착한 이 세상을 내 어이 살리>>
방창 <<변함없는 고역속에 세월 흘렀네>>
방창과 순희의 노래 <<나혼자만 빈집에 홀로 남아서>>
순희와 꽃분의 2중창 <<사랑하는 오빠와 우리 삼형제>>
꽃분의 노래와 꽃분, 순희의 2중창과 방창 <<불쌍한 나의 동생 눈먼 동생아>>
어머니의 노래와 방창 <<검은구름 몰려오고 번개치는데>>
꽃분과 어머니의 노래 <<이 딸이 머슴으로 들어가리다>>
꽃분의 노래와 방창 <<언제부터 이 땅우에 머슴 생겼나>>
방창과 어머니의 노래 <<눈문의 매돌소리 처량하구나>>
방창 및 꽃분과 어머니의 2중창 <<세월아 돌아라 매돌 돌듯이>>
꽃분의 노래와 방창 <<달아달아 처량하게 밝은 저 달아>>
방창 <<꽃파는 처녀>>
방창과 꽃분의 노래 <<꽃은 사지 않을 망정>>
꽃분의 노래와 방창 <<꽃으로는 못산다는 차디찬 세상>>
방창 <<도적으로 몰리우는 불쌍한 처녀>>
황로인의 노래 <<네 아버지 나와 함께 머슴을 살다>>
방창과 약방 주인의 노래 <<꽃보다도 네 마음이 더욱 곱구나>>
꽃분의 노래와 방창 <<하늘중천 밝은 달은 하나이건만>>
꽃분의 노래와 방창 <<리별의 시각은 다가오는데>>
꽃분과 어머니의 노래 <<마른나무 가지에도 꽃필 때 있다>>
어머니의 노래 <<네가 없이 내가 살아 무엇을 하랴>>
어머니 죽음 장면의 노래와 방창
<<사랑하는 딸들을 두고 간 어머니>>
<<정성이면 돌에도 꽃핀다더니>>
방창과 순희의 노래 <<어머니는 한많은 세상 떠나고>>
방창과 꽃분, 순희의 노래 <<기약없는 먼길로 떠나가는 밤>>
꽃분의 노래와 방창 <<뜨거운 내 사랑이 너를 지키리>>
꽃분의 노래와 방창 <<고향떠나 칠백리>>
<<죄수>>들의 노래와 합창 <<피눈물의 감옥살이 몇몇 해이냐>>
꽃분의 노래와 방창 <<높이 솟은 감옥 철창문>>
꽃분의 노래와 방창 <<찾아와도 찾아가도 눈물뿐이네>>
방창 <<사랑과 정성이 꽃피여나서>>
꽃분의 노래와 방창 <<아버지도 어머니도 오빠도 없고>>
방창과 순희의 노래 <<언니를 기다리며 울고 서있네>>
방창 <<눈내리고 찬바람 불어오는데>>
영란 어머니와 마을녀인들, 꽃분의 노래와 방창 <<눈이 오나 비가 오나 바람이 부나>>
철용과 혁명군대원, 산전막로인의 3중창 및 방창 <<내 나라 찾을리라 혁명군 되었네>>
방창과 철용, 순희의 노래 <<웬일이냐 웬일이냐>>
순희의 노래와 방창 <<오빤가요 나의 오빠 참말인가요>>
철용, 혁명군대원, 산전막로인의 3중창과 방창 <<내 어이 잊으랴 그날의 원한>>
방창 <<이 세상에 그 누가 구원해주랴>>
대중창 <<인민의 원한은 터졌다>>
합창, 꽃분과 철용, 순희의 3중창 <<험난한 풍파 넘어 다시 만나네>>
철용의 노래와 대중창 <<혁명의 하길로 달려나가리>>
꽃분, 철용, 순희의 노래와 방창 및 대중창 <<혁명의 꽃씨앗을 뿌려간다네>>
노래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