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북한자료소개

『조선부문사:조선정치제도사(고대-고려편)』(장국종 지음, 사회과학출판사, 2010)

조회수 3862 link 복사

□ 서지사항 

- 제목 :『조선부문사:조선정치제도사(고대-고려편)』
- 지은이 : 장국종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사회과학출판사
- 출판년도 : 2010 
- 총페이지 수 :  353p

□ 목차 

머리말

고대편
제1장. 정치의 발생과 전문적인 정치조직의 출현, 정치적지배계급의 형성
제2장. 고대국가들의 정치제도
 제1절. 고조선에서 노예소유자적정치제도의 정비강화
  1. 고조선의 성립
  2. 노예소유자적정치제도의 정비강화
 제2절. 부여와 구려, 진국의 성립과 정치제도
  1. 부여의 성립과 정치제도
  2. 구려의 성립과 정치제도
  3. 진국의 성립과 정치제도
   고대국가정치제도의 특징

중세편 1
 고구려를 비롯한 삼국 및 발해와 후기신라의 정치제도
제1장. 고구려의 정치제도
 제1절. 통치기구
  1. 고구려의 황제국가의 틀, 전체군주제도의 확립
  2. 중앙통치기구
  3. 지방통치기구
  4. 무관직
 제2절. 계층적인 봉건적관료질서
 제3절. 법
  1. 민법
  2. 형법
   고구려정치제도의 특징
제2장. 백제의 정치제도
 제1절. 통치기구
 제2절. 계층적인 봉건적관료질서
 제3절. 법
  백제정치제도의 특징
제3장. 전기신라의 정치제도
 제1절. 통치기구
  1. 통치기구의 중앙집권적기능
  2. 통치기구
   1) 중앙통치기구
   2) 지방통치기구
 제2절. 계층적인 봉건적관료위계
 제3절. 법
  1. 민법
  2. 형법
  3. 재판제도
   전기신라정치제도의 특징
제4장. 발해의 정치제도
 제1절. 봉건적관료질서
 제2절. 통치기구
  1. 문반관료기구
  2. 무반관료기구
   발해정치제도의 특징
제5장. 후기신라의 정치제도
 제1절. 통치기구
  1. 군주와 상대등
  2. 중앙통치기구
   1) 새로운 관료기구의 증설
   2) 관리수의 증가와 통치기구의 강화
  3. 지방통치기구
 제2절. 관료군의 위계적편성
  1. 제1관료군
  2. 제2관료군
  3. 제3관료군
  4. 제4관료군
 제3절. 법
  1. 민법
  2. 형법
   후기신라정치제도의 특징

중세편2
 첫 통일국가 고려의 정치제도
제1장. 고려에 의한 국토통일, 황제국가의 틀
 제1절. 고려에 의한 국토통일이 정치제도에 미친 영향
 제2절. 고려의 황제국가로서의 틀
  1. 최고통치자의 지위
  2. 황제국가의 틀
제2장. 고려의 중앙통치기구
 제1절. 중앙통치기구의 확립
  1. 중앙통치기구의 확립과정
  2. 확립기의 중앙통치기구
   1) 3성6부와 중추원
   2) 그밖의 중앙관청
   3) 확립기의 중앙통치기구의 특징
 제2절. 무신집권시기의 통치기구
 제3절. 후기의 중앙통치기구
  고려중앙통치기구의 특징
제3장. 고려의 지방통치기구
 제1절. 지방통치기구의 확립과정
 제2절. 경기와 도행정통치기구
  1. 수도와 경기
   1) 수도
   2) 경기
  2. 5도량계
 제3절. 계수관과 군현 등 행정통치기구
  1. 계수관(3경, 4도호부, 8목)
   1) 3경
   2) 4도호부
   3) 8목
  2. 그밖의 령군현
  3. 속현
  4. 부곡
  5. 장, 처
   고려지방통치기구의 즉징
제4장. 고려의 계층적인 봉건적관료질서
 제1절. 계층적인 봉건적관료질서의 확립
  1. 벼슬등급의 확립과정
   1) 918년-943년(태조통치시기)의 향직벼슬등급
   2) 950년-1083년(광종-문종통치시기)의 문산계
  2. 공복색의 제정과 그 고착
 제2절. 계층적인 봉건적관료질서의 변화
제5장. 고려의 관직제도
 제1절. 문관직
  1. 과거에 의한 문관의 등용
  2. 유일의 선거
  3. 음관의 임명
 제2절. 무관직
 제3절. 남반잡로와 성중애마
  1. 남반
  2. 성중애마
 제4절. 향직
제6장. 고려의 법
 제1절. 민법
 제2절. 형법
 제3절. 노비법
  고려정치제도의 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