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지사항
- 제목 :『조선부문사:조선근대반일의병운동사』
- 지은이 : 오길보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사회과학출판사
- 출판년도 : 2010
- 총페이지 수 : 361p
□ 목차
머리말
제1편. 19세기말 반일의변운동(1895~1896)
제1잘. 반일의병운동의 발단
제1절. 19세기말 우리 나라 안팎의 정세, 반일의병운동기운의 성숙
1. 조선에 대한 제국주의렬강의 침략책동과 봉건통치배들의 사대매국행위의 로골화
2. 반일의병운동기운의 성숙
제2절. 반일의병운동의 발단, 상원 및 안동 반일의병대의 조직과 그 활동
제2장. 각지에서 반일의병대의 조직, 애국적유생들에 의한 의병투쟁격문의 발표
제1절. 각지 반일의병의 조직과 그 무장장비
1. 일제에 의한 민족적자주권의 유린, 민비학살과 <<단발령>>사건
2. 각지 반일의병대의 조직경위 및 형식
제2절. 각지 의병대들이 인민들을 반일투쟁에로 궐기시키는 격문 발표
제3장. 한성 및 개항지 등을 공격하기 위한 각지 의병대의 활동
제1절. 반일의병대들이 설정한 중요공격대상지
제2절. 일제의 침략소굴 한성을 점령하기 위한 각지 의병들의 투쟁
1. 제천반일의병들의 한성공격시도와 충주성전투
2. 려주-리천반일의병들의 남한산성점령과 방어
3. 춘천반일의병들의 적극적인 활동
제3절. 개항장 원산에서 일제침략자들을 쳐부수기 위한 의병들의 투쟁
1. 강릉반일의병대의 원산공격
2. 철원반일의병들의 안변계선진출
3. 함흥반일의병들의 고원계선지출
제4절. 개항장 부산의 일제침략자들을 쳐부수기 위한 진주의병들의 투쟁
제5절. 안동을 비롯한 각지 반일의병들의 적극적인 투쟁
제4장. 반일의병운동의 중단과 그 요인
제1절. 각지 반일의병들의 청나라동북지방에로의 이동
1. 제천반일의병대의 서쪽으로 이동개시, 압록강도하
2. 강릉반일의병대의 북상, 두만강도하
제2절. 반일의병운동의 중단요인과 의의
1. 중단요인
2. 19세기말 반일의병운동의 의의
제2편. 20세기초 반일의병운동(1904~1914)
제1장. 반일의병운동의 재개(1904~1905)
제1절. 조선에 대한 일제침략책동의 로골화, 인민들의 반일투쟁기세의 앙양
1. 일제의 로일전쟁도발과 조선내정간섭
2. 농민무장대와 봉기군중의 반일투쟁에로의 진출
제2절. 일제를 반대하는 의병투쟁을 벌릴데 대한 격문발표, 각지에서 반일의병대의 조직
1. 반일의병투쟁을 다시 벌릴데 대한 격문 발표
2. 각지에서 반일의병대의 조직
제3절. 일제침략군을 반대한 반일의병대들의 투쟁
1. 한성부근에서 반일의병대들의 적극적인 활동
2. 류린석의 지휘밑에 벌어진 평안도반일의병대의 투쟁
3. 노량포수반일의병대의 활동
제4절. 기타 지방들에서 반일의병들의 투쟁
제2장. 반일의병운동의 앙양(1906~1907.7)
제1절. 일제의 의한 <<을사5조약>>의 날조와 그를 반대배격하는 전민족적항거의 폭발
1. <<을사5조약>>의 날조
2. <<을사5조약>>을 반대배격하는 전민족적항거의 폭발
제2절. 일제침략자를 반대하여 싸울데 대한 통문 발표, 반일의병대 조직
1. 반일의병투쟁에 나설데 대한 통문 발표
2. 각지에서의 반일의병대조직
제3절. 도시점령을 위한 반일의병들의 투쟁
. 정산반일의병대의 홍주성공방전
2. 태인지방 반일의병대의 순창전투
제4절. 산지대에 의거하여 벌린 의병투쟁, 신돌석반일의병대의 경상도일대에서의 활동
제3장. 반일의병운동의 확대발전(1907.8~1909)
제1절. 반일의병운동확대발전의 주객관적요인
1. 일제에 의한 <<정미7조약>>의 날조와 <<차관정치>>실시, 조선군대 강제해산
2. 반일투쟁기세의 가일층의 고조, 한성인민들과 군인들의 반일폭동
제2절. 반일의병들이 전민족적항쟁을 호소하는 격문 발표, 각지 반일의병대의 조직경위와 투쟁준비
1. 각지 인민들과 해외동포들에게 보내는 격문 발표
2. 각지 반일의병대의 조직경위와 그 조직형식에서의 변화
3. 반일의병대의 무기와 군수물자의 준비
제3절. 각지 반일의병들의 투쟁목표와 투쟁방법
제4절. 일제의 <<차관정치>>를 반대하여 원쑤들을 격멸소탕하기 위한 각지 의병들의 투쟁
1. 중부조선일대에서의 반일의병투쟁
2. 남부조선일대에서의 반일의병투쟁
3. 서북 및 동북부 조선일대에서의 반일의병투쟁
제5절. 1907년 8월~1909년 반일의병 운동의 중요특징
1. 반일의병운동의 전국적범위에로 확대
2. 반일의병투쟁의 전민족적인 운동으로의 발전
3. 강제해산당한 군인들의 참가밑에 반일의병투쟁의 강화발전
제4장. 일제의 조선강점을 전후한 시기 반일의병운동(1910~1914)
제1절. 일제의 조선강점
제2절. 일제의 조선강점을 반대한 반일의병운동
1. 반일의병들의 통문 발표
2. 일제의 조선강점직전의 반일의병투쟁
3. 일제의 조선강점직후의 반일의병투쟁
제3절. 반일의병운동종말의 원인
1. 일제침략자들의 야수적탄압과 학살만행의 강화
2. 반일의병운동의 분산성과 의병장들의 우유부단성
제5장. 반일의병운동의 력사적의의오아 교훈
제1절. 반일의병운동의 력사적의의
제2절. 반일의병운동의 력사적교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