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북한자료소개

『조선부문사:조선인민의 반침략투쟁사(리조편)』(박영해·문병우·김재홍 지음, 사회과학출판사, 2010)

조회수 3674 link 복사

□ 서지사항

- 제목 :『조선부무사:조선인민의 반침략투쟁사(리조편)』
- 지은이 : 박영해·문병우·김재홍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사회과학출판사
- 출판년도 : 2010
- 총페이지 수 : 387p

□ 목차

머리말

제1장. 15~16세기 중엽 왜적들의 침입을 분쇄한 조선인민의 투쟁
제1절. 15~16세기의 내외정세
 1) 국내정세
 2) 일본정세
제2절. 15세기 초엽 왜구의 침입과 그를 쳐부시기 위한 투쟁, 조선군대의 쯔시마원정
 1) 15세기 초엽 왜구의 끊임없는 침입을 쳐부수기 위한 투쟁
 2) 1419년 조선군대의 쯔시마원정
제3절. 16세기 왜적들의 도발적인 침ㅁ입을 분쇄하기 위한 투쟁
 1) 쯔시마원정후 왜인들의 동향, 침략과 략탈행위를 막기 위한 억제조치
 2) 1510년 왜적들의 3포침입을 쳐물리친 조선군민들의 투쟁
 3) 1544년 왜적들의 사량진침입과 그 격퇴
 4) 1555년 왜적들의 침입과 그 격퇘(<<을묘왜변>>)

제2장. 15~16세기 녀진인들의 끊임없는 변경침읍을 쳐물리치기 위한 조선인민의 투쟁
제1절. 15~16세기 녀진인들의 동향과 끊임없는 침입
 1) 녀진인들의 동향
 2) 녀진인들의 끊임없는 침입
제2절. 압록강, 두만강연안방비의 강화
 1) 4군 6진의 설치
 2) 압록강, 두만강연안지방에 성보, 행성의 축조
 3) 압록강, 두만강연안지방에 지방관군의 배치
제3절. 15세기 전반기 건주위녀진소굴에 대한 조선군대의 원정
 1) 1433년 조선군대의 건주위녀진에 대한 제1차 원정
 2) 1437년 조선군대의 건주위녀진에 대한 제2차 원정
제4절. 15세기 후반기 녀진소굴에 대한 조선군대의 원정
 1) 1460년 두만강북쪽 녀진소굴에 대한 조선군대의 원정
 2) 1467년 조선군대의 건주위녀진에 대한 제3차 원정
 3) 1479년 조선군대의 건주위녀진에 대한 제4차 원정
 4) 1491년 올적합에 대한 조선군대의 원정
제5절. 16세기 녀진인들의 침입을 쳐물리치기 위한 투쟁
 1) 1524년 압록강남쪽에 침입한 녀진인들을 몰아내기 위한 투쟁
 2) 16세기 80년대 동북변경에서 녀진인들의 침입을 쳐부수기 위한 투쟁

제3장. 1592년-1598년 일본침략자들을 반대한 조선인민의 임진조국전쟁
제1절. 16세기 말엽의 내외정세
 1) 국내형편
 2) 일본침략자들의 대규모적인 침략전쟁준비, 그에 대처한 리조봉건정부의 조치
제2절. 일본침략자들의 전쟁도발, 임진조국전쟁 개시, 조선수군의 련속적인 승리와 애국적인민들의 의병투쟁
 1) 일본침략자들의 전쟁도발, 적들의 전략적기도
 2) 적의 침공을 막기 위한 륙군의 투쟁
 3) 조선수군의 련전련승, 적의 <<수륙병진>>기도의 파탄
  (1) 제1차 출전, 빛나는 첫 승리
  (2) 제2차 출전, 조선남해에서의 제해권 장악
  (3) 제3차 출전, <<한산대승리>>, 적의 <<수륙병진>>기도 파탄
  (4) 제4차 출전, 부산해전, 적수군의 제압
 4) 전국각지에서 궐기한 인민들의 의병투쟁
  (1) 경상도지방에서의 의병들의 투쟁
  (2) 전라도, 충청도지방에서 벌어진 의병투쟁
  (3) 경기일대에서 전개된 의병투쟁
  (4) 황해도에서의 의병들의 투쟁
  (5) 평안도에서 벌어진 의병투쟁
  (6) 강원도와 함경도에서의 의병투쟁
  (7) 각지에서 벌어진 의병투쟁이 가지는 의의
 5) 각지에서 관군의 투쟁의 적극화
제3절. 반공격에로의 이행, 조선남해안에로의 일본침략군 구축
 1) 반공격의 개시, 평양탈환과 림진강계선에로의 진격
 2) 패주하는 적을 공격하기 위한 의병과 지방관군의 투쟁, 한성탈환과 경기이북지역의 회복
 3) 한성회복이후 패주하는 왜적을 쳐부수기 위한 의병들과 각지 관군의 투쟁, 경상도 남해안으로 일본침략군 구축
제4절. <<강화담판>>과 전쟁의 피해를 가시고 국방을 강화하기 위한 대책
 1) <<강화담판>>
 2) 전쟁의 피해를 가시고 적의 재침략기도에 대처하기 위한 국방강화대책
  (1) 휴전기간 국내형편
  (2) 일본침략자들의 재침략준비와 나라의 방비를 강화하기 위한 인민들의 투쟁
 3) 휴전기간 적의 침략책동을 제압하기 위한 투쟁
제5절. 일본침략군의 재침공을 물리치기 위한 인민들의 투쟁, 임진조국전쟁의 승리
 1) 적들의 재침공과 그를 물리치기 위한 륙지에서의 투쟁
 2) 직산전투와 울돌바다싸움의 승리
제6절. 전면적반공격에로 이행, 일본침략군의 종국적구축, 임진조국전쟁의 빛나는 승리
 1) 전면적반공격전의 개시
 2) 일본침략군의 종국적구축, 임진조국전쟁의 승리

제4장. 1627년, 1636년 녀진(후금, 청)의 침략을 반대한 조선인민의 투쟁
제1절. 1627년 후금의 침략을 반대한 인민들의 투쟁
 1) 후금침략전야의 국내정세
  (1) 임진조국전쟁의 혹심한 피해, 지배계급안에서의 권련다툼의 강화
  (2) 봉건적 착취의 강화
  (3) 군사형편의 악화
 2) 후금의 성립, 녀진 및 명나라와의 관계
  (1) 후금의 성립, 녀진의 군사형편
  (2) 후금 및 명나라와의 관계
  (3) 서인파의 집권과 대후금정책의 변화
 3) 1627년(정묘년) 후금의 침략과 그를 반대한 인민들의 투쟁
  (1) 1627년 후금의 불의의 침공
  (2) 봉건정부의 방어대책
  (3) 적후 인민들의 의병투쟁
 4) 강화의 체결, 침략군을 몰아내기 위한 인민들의 투쟁
  (1) 강화의 체결
  (2) 침략군을 몰아내기 위한 적후 인민들의 투쟁
제2절. 1627년전쟁후 봉건정부의 대외정책과 국방강화대책
  (1) 봉건정부의 대외정책
  (2) 리조봉건정부의 국방대책
 2) 1636년(병자년) 청나라의 침략과 봉건정부의 방어대책
  (
1) 청나라의 침략, 그 전략적 기도
  (2) 남한산성방어전투
 3) 강화의 체결, 침략자들을 반대한 각지 인민들의 투쟁
  (1) 강화의 체결
  (2) 청나라침략자들을 반대한 인민들의 투쟁

[부록] 주요년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