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지사항
- 제목 :『조선부문사:조선인민의 반침략투쟁사(고려편)』
- 지은이 : 김재홍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사회과학출판사
- 출판년도 : 2010
- 총페이지 수 : 617p
□ 목차
머리말
제1장. 거란침략자들을 반대한 고려인민들의 투쟁
제1절. 10세기 말엽 고려의 국내외정세
1. 고려의 정치, 경제 및 군사적형편
1) 중앙집권적통치체제의 확립
2) 토지제도의 개편과 생산의 장성
3) 군사제도의 확립
2. 10세기 말엽 고려의 대외정세
1) 거란족의 국가형성과 정복전쟁의 확대
2) 10세기 고려의 대외정책
제2절. 거란의 제1차침입과 그 격퇴
1. 거란의 침략전쟁준비, 고려-거란전쟁의 발발과 그 성격
2. 거란침략군의 침입, 봉산전투
3. 안융진, 연주성전투와 강화담판의 승리
제3절. 거란의 제2차침입을 격파하기 위한 고려인민들의 투쟁
1. 거란의 재침입을 막기 위한 방비의 강화
1) 나라의 방비를 강화하기 위한 대책
2) 거란의 재침책동을 막기 위한 대외활동
2. 거란의 재침책등의 로골화, 고려에서 방어군 편성
3. 거란침략군의 대규모적인 제2차침입, 적을 격파하기 위한 고려군대와 인민들의 투쟁
1) 적의 침공을 좌절시키기 위한 투쟁
2) 퇴각하는 적을 섬멸하기 위한 투쟁
제4절. 거란의 <<6성>>탈취를 위한 침공과 그 격퇴
1. 거란의 고려국왕 <<친조>>와 <<6성>>에 대한 강도적요구
2. <<6성환부>>를 구실로 침입하는 거란침략자를 반대한 고려군대와 인민들의 투쟁
제5절. 거란의 제3차침입과 적을 섬멸하기 위한 고려군대와 인민들의 투쟁
1. 거란의 대규모침입에 대처하기 위한 고려의 대내외정책
2. 거란침략군의 전략적기도와 고려군의 방어전략
3. 거란침략자들의 무모한 침공과 그 섬멸
1) 적의 모험적침공을 반대한 고려방어군의 투쟁
2) 퇴각하는 적을 섬멸하기 위한 투쟁, 고려인민의 빛나는 승리
제6절. 반거란전쟁에서 고려인민들의 승리의 요인과 그 력사적의의
제2장. 11세기 녀진족의 침략과 략탈을 반대한 고려인민들의 투쟁
제1절. 11세기 녀진족의 형편과 고려의 대녀진정책
제2절. 녀진족의 침입을 막기 위한 방어대책
제3절. 녀진족의 침입과 략탈만행을 쳐부수기 위한 고려인민들의 투쟁
제3장. 12세기초 나라의 동북부지방을 수복하기 위한 고려인민들의 투쟁
제1절. 11세기말~12세기초 국내정세와 녀진족의 형편
1. 고려의 국내정세
2. 11세기말~12세기초 녀진족의 형편
제2절. 녀진침략세력을 반대한 1104년의 출정, 대규모적인 원정준비
1. 완안부녀진의 침입에 대처한 방비의 강화, 1104년의 출정
2. 완안부녀지침략군을 쳐물리치기 위한 대규모적인 원정준비
제3절. 고려군의 갈라전원정, 9성설치
1. 고려군의 갈라전원정
2. 9성설치와 방비의 강화
제4절. 9성을 지키기 위한 고려군대와 인민들의 투쟁
제5절. 9성철수, 동북부지방을 수복하기 위한 고려군대와 인민드의 투쟁이 가지는 력사적 의의
제4장. 1216년~1219년 거란족의 침입과 그 격멸
제1절. 13세기초 고려의 국내정세와 거란족의 형편, 거란족의 침입과 그 성격
1. 몽골의 금나라침략과 동방정세의 혼란, 거란족의 형편
2. 거란족의 침입과 그 성격
제2절. 거란침략군을 격멸하기 위한 고려인민들의 투쟁
1. 거란군의 제1차침입과 그 격퇴
2. 거란군의 제2차침입과 그 격퇴
1) 서북지방 인민들과 지방군의 투쟁, 위주성회전의 실패와 5군의 편성
2) 서해도인민들의 불굴의 항전, 태조탄대회전의 패배와 고려방어군의 재편성
3) 각지 인민들과 군대들의 치렬한 항전, 박달현대격전의 빛나는 승리와 거란침략군의 격퇴
3. 거란군의 제3차침입과 그 격멸
1) 거란침략군을 반대한 고려군의 투쟁
2) 거란침략략군의 격멸
제3절. 거란침략군의 격멸과 그 력사적의의
제5장. 원침략자를 반대한 고려인들의 투쟁
제1절. 13세기초 고려의 국내외정세
1. 13세기초 고려의 사회경제 및 군사적형편
1) 13세기초 고려의 사회경제적형편
2) 13세기초 고려의 군사적형편
2. 13세기초 고려의 국제정세
1) 몽골족의 국가형성과 그 군대
2) 몽골의 북중국침략과 강동성전투후 고려-몽골관계
제2절. 몽골(원)의 제1차침입과 그를 반대한 인민들의 투쟁
1. 몽골침략군의 침입과 고려인민들의 궐기, 방어군편성
2. 동선역, 안북성전투
3. 구주성을 비롯한 각지 인민들의 치렬한 항전
4. 강화담판과 몽골군의 철퇴, 고려인민들의 빛나는 승리
제3절. 몽골침략자들의 내정간섭을 단호히 배격, 강화도에로의 천도
1. 몽골의 재침책동과 다로가치의 처단
2. 강화도에로의 천도, 강도건설
3. 고려봉건정부가 취한 항전조치, 고려의 산성
제4절. 1232~1253년 몽골의 침입을 반대한 인민들의 투쟁
1. 1232년 제2차침입을 반대한 인민들의 투쟁
2. 1235~1239년 제3차침입과 그를 반대한 인민들의 투쟁
1) 고려봉건정부의 반몽외교활동과 국제정세의 변화
2) 몽골의 제3차침입과 그를 반대한 인민들의 투쟁
3) 강화의 성립, 몽골군의 철퇴
3. 강화성립이후 고려-몽골관계, 몽골의 제4차침입
4. 1253년 제5차침입과 그를 반대한 인민들의 투쟁
1) 몽골군의 침입과 강화담판
2) 각지 인민들의 영용한 항전
제5절. 1254~1259년 몽골의 계속되는 침입을 반대한 인민들의 투쟁
1. 차라대의 1차침입과 그 격퇴
2. 차라대의 2차침입을 반대한 인민들의 투쟁
3. 차라대의 3차침입과 고려-몽골간의 강화담판
4. 차라대의 4차침입과 그를 반대한 인민들의 투쟁
1) 최가무신정권의 전복, 지배계급 내부의 대립의 격화
2) 차라대의 4차침입을 반대한 인민들의 투쟁
제6절. 고려-몽골간의 평화적국교관계 성립, 몽골침략자를 반대한 고려인민들의 항전의 승리
제7절. 몽골침략자와 그와 결탁한 국내봉건통치배를 반대한 삼별초와 인민들의 항전
1. 고려-몽골국교성립후 지배계급내부의 대립의 격화
2. 삼별초항전의 발발, 항전군의 첫 시기 투쟁(1270.5~1270.8)
3. 진도기지건설과 내륙상륙작전, 제주도함락(1270.8~1270.11)
4. 명량대해전의 빛나는 승리, 각지 인민들의 투쟁과 항전의 확대(1270.11~1271.4)
1) 진도전투와 명량대해전의 빛나는 승리
2) 몽골침략자들의 악랄한 침략책동과 항전군<<회유>>교섭의 실패
3) 각지 인민들의 투쟁과 항전의 확대
5. 진도격전과 제주도에로의 이동, 제주도기지를 건설하기 위한 항전군의 투쟁(1271.5~1272.3)
1) 1271년 5월 진도격전과 제주도에로의 이동
2) 제주도기지건설과 전초기지창설을 위한 투쟁
6. 제주도에 근거한 시기 항전군의 투쟁(1272.3~1273.4)
1) 항전군의 적극적인 투쟁과 빛나는 전과
2) 몽골침략자들의 <<회유>>책동의 실패, 제주도대격전
제8절. 삼별초항전의 성격과 력사적의의.
제6장. 합단적의 침입과 그 격멸
제1절. 13세기 후발기 고려-원관계, 원나라 몽골귀족들의 반란
제2절. 합단적을 격멸하기위한 고려인민들의 투쟁
제7장. 원침략세력들과 홍두적을 반대한 고려인민들의 투쟁
제1절. 14세기 중엽 국내외정세, 고려의 반원정책에로의 이행, 쌍성총판부를 소탕하고 동북부지방을 수복하기 위한 고려인민들의 투쟁
1. 14세기 중엽 고려의 국내외정세
1) 고려의 국내형편
2) 원나라내부의 혼란과 고려봉건정부의 반원정책에로의 이행
2. 쌍성총관부의 격멸과 동북부지방의 수복
제2절. 홍두적의 침입을 반대한 고려인민들의 투쟁
1. 홍건농민폭동군의 침략군으로의 변질과 그 침입을 막기 위한 조치
2. 홍두적의 침입과 그 격멸
1) 홍두적의 제1차침입을 반대한 고려군대와 인민들의 투쟁
2) 홍두적의 제2차침입과 그 격멸
제3절. 1362년 납할출의 원침략군을 쳐물리치기 위한 고려인민들의 투쟁
1. 1350년대말~1360년대초 료동지방의 정세와 국내형편
2. 납할출의 침입과 그 격퇴
제4절. 1363~1364년 원침략세력의 침입을 반대한 고려인민들의 투쟁
1. 원나라봉건통치배들의 침략책동과 그를 막기 위한 고려봉건정부의 대책
2. 원침략세력의 침입과 그 격멸
제5절. 원침략세력을 쳐부수기 위한 고려군의 료동원정과 제주도 원정
1. 14세기 60년대말~70년대초 료동지방의 정세와 그에 대처한 고려봉건정부의 대책
2. 고려군의 료동원정
1) 제1차 료동원정
2) 제2차 료동원정
3) 제3차 료동원정, 고려군의 승리의 요인
3. 고려군의 제주도원정
1) 14세기 말엽 제주도를 둘러싼 안팎의 정세
2) 제주도에서의 원침략세력 소탕
제8장. 14세기 후반기 왜구를 반대한 고려인민들의 투쟁
제1절. 일본에서 왜구의 발생과 고려의 조치
제2절. 14세기 50년대~70년대 왜구의 침입과 그 격퇴
1. 1350년~1360년대말 왜구를 반대한 투쟁
1) 왜구의 침입과 규모, 만행과 그 피해
2) 왜구에 대한 방비대책과 왜적을 쳐부수기 위한 고려군대와 인민들의 투쟁
3) 왜구를 막기 위한 고려봉건정부의 외교활동
2. 14세기 70년대 왜구를 반대하며 수군을 재건하기 위한 투쟁
1) 1370년대 왜구의 침입과 그 격퇴
2) 수군을 재건하기 위한 투쟁
3) 왜구를 저지시키기 위한 고려봉건정부의 외교활동과 그 성과
제3절. 1380년대 바다와 륙지에서 왜구를 쳐부수기 위한 투쟁
제4절. 쯔시마원정과 왜구의 종식, 반왜구투쟁에서 고려인민들이 쟁취한 빛나는 승리의 력사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