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지사항
- 제목 :『조선단대사(고려사2)』
- 지은이 : 박영해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과학백과사전출판사
- 출판년도 : 2010
- 총페이지 수 : 286p
□ 해제
북한의 김정일의 교시에서 력사에서 과학적인 해명할 문제들이 많다는 지적이 있었는데, 고려 전반기 봉건국가의 각종 제도사에 대해서 아직도 과학리론적으로 해명해야할 문제들이 많이 남아 있다고 보고, 이 책에서는 고려 전반기에 정비된 일부 제도와 경제발전, 정치적 사변에 관한 학계의 선행성과에 토대하여 과학리론적으로 보다 깊이있게 고찰하고 사건 사실들의 내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 키워드
고려전반기, 군사제도, 토지제도, 신분제도, 수탈제도, 경제발전, 강조의 정변, 무신반란, 반봉건투쟁, 묘청의 정변, 인민대중투쟁
□ 목차
머리말
제3편 고려전반기 군사제도, 토지제도
제1장 고려전반기 군사제도의 정비
제1절 중앙군-2군6위
1. 건국초기 중앙군의 구성
2. 2군6위의 설치시기, 편제와 정원
1) 2군6위의 설치시기
2) 2군6위의 편제와 정원
3. 2군6위의 구성과 사명
1) 2군6위의 구성
2) 2군6위의 사명
제2절 지방군(주, 현군)
1. 지방군의 형성시기
2. 지방군의 수와 병종
1) 량계의 지방군수와 병종
2) 5도의 지방군수와 병종
제3절 군사징발(선군)과 신분, 군사지휘체계와 지휘기관, 전투편제
1. 군사징발(선군)과 신분
2. 군사지휘체계, 지휘기관, 전투편제
제4절 역참, 봉수
1. 역참
2. 봉수
제2장 고려전반기 토지제도의 정비
제1절 토지소유권과 수조권의 견지에서 본 공전, 사전
1. 소유권의 견지에서 본 여러 류형의 토지
2. 수조권의 견지에서 본 여러 류형의 토지
제2절 저시과제도의 발전, 사전제도의 확립
1. 건국초기 록읍, 식읍, 역분전제도의 실시
2. 량반전시과제도의 발전
1) 976년 시정직산관 각품 전시과
2) 998년 개정문무량반 및 군인전시과
3) 1076년 갱정량반전시과
3. 공음전시
4. 군인전
5. 향리전
6. 구분전
7. 식읍
제3절 공전, 국유지
1. 공해전시
1) 중앙의 여러 관청(백사) 공해전시
2) 주, 현, 향, 부곡의 공해전시
3) 관역공해전시
2. 국고수조지
3. 학전, 적전
4, 둔전
제4절 록봉제도
제4편 고려전반기 봉건적신분제도, 수탈제도, 경제발전
제1장 고려전반기 봉건적신분제도
제1절 지배계급신분
1. 국왕과 왕실귀족
2. 문무량반
3. 지배계급의 하층신분
4. 승려
제2절 피지배계급신분
1. 량인농민
2. 수공업자, 상인, 악공
3. 천인(역정, 진부, 향, 부곡민, 관직, 원직, 화척, 재인)
4. 노비
1) 소유별 노비
2) 노비의 경위와 그 부단한 증가
3) 노비의 신분적처지
제2장 고려전반기 봉건적수탈제도
제1절 조세에 의한 착취
1. 조세의 개념
2. 조세량, 착취방법
3. 량전과 조세의 감면책
제2절 공물에 의한 착취
제3절 부역에 의한 착취
1. 부역의 개념
2. 부역의 부과대상
3. 부역부과체계, 부역의 후과
제4절 조운제도
1. 조운체계의 확립
2. 조운의 운영, 륙운으로의 전환
제3장 고려전반기 경제발전
제1절 농업의 발전
1. 농업발전의 유리한 가능성
2. 농경지의 확장
3. 경작방법의 개선
4. 곡물종자의 다양화
5. 알곡생산의 장성
6. 축산업의 발전
제2절 수공업의 발전
1. 수공업에 대한 국가적관리운영체계
2. 수공업업종의 다양화
3. 수공업생산의 증대, 그 질의 우수성
제3절 상업의 발전, 화폐의 류통
1. 수도상업의 발전
2. 지방상업의 발전
3. 화폐의 류통
제5편 고려전반기 정변, 반봉건투쟁
제1장 강조의 정변, 무신반란
제1절 강조의 정변
1. 정변전야의 내외정세
2. 정변의 단행, 정변후 긍정적조치
제2절 김훈, 최질 등의 무신반란
1. 무신반란의 원인
2. 무신반란과 그 진압, 후과
제2장 1095년 리자의의 반란음모, 1126년 리자겸의 반란
제1절 1095년 리자의의 반란음모와 그 분쇄
1. 인주리씨 외척세력의 장성
2. 리자의의 반란음모와 그 분쇄
제2절 1126년 리자겸의 반란과 그 진압
1. 척실로서 리자겸세력의 확장
2. 리자겸의 반란, 그 진압
제3장 묘청의 정변과 서경군민들의 투쟁
제1절 서경량반들의 반사대주의적주장, 전도준비
1. 서경량반들의 반사대주의적주장
2. 서경량반들의 천도준비
제2절 개경통치배들을 반대한 서경량반들과 군민들의 투쟁
1. 묘청의 정변
2. 성경량반들과 군민들의 투쟁
3. 묘청정변의 의의
제4장 고려전반기 봉건통치배들을 반대한 인민대중의 투쟁
제1절 봉건통치배들을 반대한 인민대중의 투쟝을 야기시킨 사회경제적요인
제2절 봉건통치배들을 반대한 인민대중의 투쟁
1. 봉건통치배들을 반대하여 싸운 인민대중의 폭력투쟁
1) 광주(경기도)산중에서의 봉기군의 투쟁
2) 교위 거신이 지휘한 반란음모
3) 1128년 동남연해안인민들의 투쟁
4) 기타 폭력투쟁
2. 방화투쟁
3. 류리투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