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북한자료소개

『조선근대사』(김광수 지음,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1986)

조회수 3732 link 복사

□ 서지사항

- 제목 :『조선근대사』
- 지은이 : 김광수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 출판년도 : 1986
- 총페이지 수 : 323p

□ 해제

 흑룡강성 조선족인 저자는 조선사 학습이 중국의 역사와 조선족의 역사에 대한 이해를 더 깊게 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여기고, 조선근대사를 집필하였다고 밝히고 있다. 저자는 조선근대사를 1860년대 반침략투쟁으로부터 시작하여 1919년 3.1 인민봉기로 이르기까지 반침략반봉건투쟁으로 일관된 역사로 보고 인민들의 투쟁의 역사를 중심으로 조선사를 서술하였다고 한다.

□ 키워드

조선근대사, 반침략투쟁, 반봉건투쟁, 갑오농민전쟁, 갑오개혁, 일제강점, 의병투쟁, 3.1 인민봉기

□ 목차

머리말

제1장 근대조선인민의 반침략투쟁의 개시
제1절 19세기후반기 국제국내정세
 1. 동방에 대한 자본주의렬강의 침략
 2. 세도정치에 의한 정치의 문란과 3정착취의 강화
 3. 대원군의 <<폐정개혁>>
제2절 외래자본주의의 침략을 반대한 조선인민의 투쟁
 1. 조선에 대한 미국의 침략개시
 2. 프랑스함대의 군사적도발을 격퇴한 조선인민의 투쟁(병인양요)
 3. 미국함대의 군사도발을 격퇴한 조선인민의 투쟁(신미양요)
제3절 개화사상의 산생과 개화파의 형성
제4절 조선에 대한 일본의 침략개시와 통상항구의 개방
 1. 민씨세도정치의 출현과 <<운양>>호사건
 2. <<강화도조약>>의 체결
 3. <<통상장정>>의 체결과 통상항구의 개방

제2장 개항후 조선의 사회경제형편과 개혁운동
제1절 개항후 조선사회경제의 기본정황
 1. 조선내외상업의 발전
 2. 공업의 발전
 3. 새 통상장정의 체결
제2절 임오군인폭동
 1. 임오군인폭동전야의 정세
 2. 임오군인폭동의 폭발
 3. 임오군인폭동의 실패
제3절 일본의 조선침략의 강화와 구라파렬강의 침입
 1. 일본의 침략의 강화
 2. 구미렬강의 침입
제4절 개화파들의 개혁활동과 갑신정변
 1. 개화파들의 개혁활동
 2. 갑신정변의 폭발과 신정부의 건립
 3. 갑신정변의 실패와 력사적의의
제5절 <<한성조약>>과 <<천진조약>>

제3장 갑오농민전쟁과 갑오개혁
제1절 갑신정변후 존선사회경제의 변화
 1. 갑신정변후 조선의 정치정세
 2. 조선경제의 파탄
 3. 봉건통치계급의 착취의 강화
 4. 봉건통치계급과 외래침략자를 반대하는 투쟁
제2절 농민전쟁의 폭발
 1. 고부농민봉기
 2. 농민군의 발전과 전주점령
제3절 전주화의와 집강소의 설치
 1. 전주화의
 2. 집강소의 설립과 폐정개혁
제4절 농민군의 재기와 실패
 1. 조선에 대한 일본간섭의 강화
 2. 농민군의 재기와 공주전투
 3. 농민전쟁의 성격, 실패원인과 력사적의의
제5절 갑오개혁

제4장 갑오농민전쟁후의 반침략반봉건투쟁과 민권운동
제1절 갑오농민전쟁후의 조선의 정치정세
제2절 조선인민의 초기반일의병투쟁
 1. 반일의병투쟁의 폭발
 2. 의병투쟁의 성격, 의의와 실패원인
제3절 조선에서 일, 로 모순의 격화와 렬강의 리권략탈
 1. 일, 로 모순의 격화
 2. 제국주의국가들의 리권략탈의 강호
제4절 민권운동의 발생과 발전
제5절 반제반봉건투쟁의 확대
 1. 활빈당의 무장투쟁
 2. 로동자와 농민들의 투쟁

제5장 일본의 강점을반대하는 조선인민의 투쟁
제1절 일본의 조선에 대한 강점정책의 강화
제2절 반일의병투쟁의 재기
제3절 통감부통치하의 조선
제4절 의병투쟁의 전면적앙양
 1. 서울시민의 봉기와 군인폭동
 2. 의병투쟁의 전면적인 앙양
 3. 의병투쟁의 성격, 실패원인과 력사적의의
제5절 애국문화계봉운동의 앙양
제6절 일제의 조선강점

제6장 일제식민통치 첫기기의 무단통치와 3.1인민봉기
제1절 무단통치의 건립과 조선인민의 처지
 1. 무단통치와 우민정책
 2. 일제의 식민지경제체게의 건립
 3. 조선인민의 비참한 생활처지
제2절 일제식민지통치초기의 반일투쟁
 1. 반일무장투쟁
 2. 반일정치투쟁
 3. 반일애국문화운동
 4. 로동자 농민의 투쟁
제3절 3.1인민봉기
 1. 3.1인민봉기의 준비
 2. 3.1인민봉기의 폭발
 3. 3.1인민봉기의 실패원인, 력사적의의와 교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