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지사항
- 제목 :『중국조선족통사 상권』
- 지은이 : 김춘선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연변인민출판사
- 출판년도 : 2009
- 총페이지 수 : 516p
□ 목차
머리말
제1편 청조시기의 조선족
제1장 조선족의 이주와 집거구역의 형성
제1절 조선족의 초기이주
1. 후금의 건립과 조선인들의 초기이주
2. 조선인“포로”들의 생활참상
제2절. 청, 조 량국의 금월정책과 경작이주민
1. 청, 조 량국의 금월정책과 조선인의 범월
2. 청, 조 량국의 금월정책 완화와 범월의 확대
3. 19세기 중엽 조선인의 대량 범월과 정착
제3절. 청조의 “이민실변”정책과 조선족집거구의 형성
1. 로씨야세력의 동북침입과 청조의 “이민실변”정책
2. 남만지역 조선족집거구의 형성
3. 연변지역 조선족집거구의 형성
4. 동정철도의 수축과 북만지역의 조선족
제4절. 동북조선족경제의 발전과 성취
1. 조선족의 동북변강 개발
2. 조선족들의 초기에 종사한 기타 생산활동
제5절. 조선족인민들의 반봉건투쟁
1. 봉건지주의 잔혹한 착취와 억압
2. 조선족인민들의 반봉건투쟁
3. 천보산광산로동자들의 반봉건투쟁
제2장. 일본의 연변침입과 “간도협약”의 체결
제1절. 로씨야의 동북침입과 “중한변계선후장정”
1. 로씨야의 동북침략과 연변독립 음모
2. 조선정부의 “북간도관리사” 파견과 “중한변계선후장정”
제2절. 일제의 연변침입과 “통감부간도파출소”의 설치
1. 일제의 대륙침략방침과 이른바 “간도문제”
2. 일제의 “통감부간도파출소” 설치와 “도사장제”
3. 기림변무공서의 설립과 중국정부의 대응조치
제3절. “도문강중한계무조약”의 체결 및 그 영향
1. 중일간의 “간도안” 및 “동삼성5안” 교섭
2. “간도협약”의 체결과 조선족사회에 미친 영향
3. 일제의 연변침입에 대한 조선족사회의 대응
제2편 중화민국시기 조선족
제3장 조선족집거지역에서의 반일운동의 흥기
제1절 조선족사회단체의 자치운동과 반일시위운동
1. 계몽운동의 흥기와 간민교육회의 건립
2. 간민회, 농무계의 건립과 자치운동
3. 경학사, 부민단의 건립과 자치운동
4. 룡정의 3.13반일시위운동
5. 동북각지 조선족인민들의 반일시위운동
6. 5.4운동시기 조선족인민들의 반일투쟁
제2절 반일무장단체의 건립과 봉오동전투
1. 중국 동북으로의 조선 의병부대들의 진출
2. 남만지구 반일무장단체의 건립과 활동
3. 연변지구 반일무장단체의 건립과 활동
4. 봉오동전투
제3절 일제의 “경신년대토벌”과 청산리대첩
1. 반일단체들에 대한 중일합동수색과 반일근거지의 이전
2. 훈춘사건과 경신참변
3. 청산리대첩
제4장 일제의 봉계군벌의 통치정책과 민족주의단체의 반일운동
제1절 조선족에 대한 일제와 봉계군벌의 통치정책
1. 일제의 “통제와 리용”정책
2. 중일 “미쯔야협정”의 체결
3. 봉계군벌의 박해와 구축정책
4. 조선족인민들의 반구축투쟁과 입적운동
제2절 3부의 건립과 반일운동
1. 참의부의 건립과 반일운동
2. 정의부의 건립과 반일운동
3. 신민부의 건립과 반일운동
제3절 민족유일당촉성운동과 민족주의세력의 쇠퇴
1. 민족유일당촉성운동
2. 국민부의 건립과 반일운동
3. 한족총련합회, 한국독립당의 건립과 반일활동
제5장 조선족인민들의 중국공산당하에 전개한 반제반봉건투쟁
제1절 조선족사회의 영농실태와 일제식민자본의 침투
1. 조선인의 대량 이주와 분포
2. 조선족의 영농실태와 토지관계
3. 일본식민자본의 침투와 토지략탈
제2절 맑스-레닌주의 전파, 동북지구에서의 당조직의 건립
1. 조선족집거지역에서의 맑스-레니주의 전파와 청년, 로동 운동의 발전
2. 동북지역 중국공산당조직의 건립과 조선족에 대한 인식
제3절 조선공산주의자들의 중공가입과 조선족집거지역혁명운동의 고조
1. 조공만주총국의 석치
2. 공산국제의 “1국1당”원칙과 조선공산주의자들의 중공가입
3. “홍5월투쟁”, “길돈폭동”과 동북지역 당조직의 확대
제4절 관내지구 조선족인민들의 혁명투쟁
1. 광동지구 조선족인민들의 혁명투쟁
2. 남창봉기와 광주봉기에 참가한 조선족전사들
3. 조선족관병들 해륙풍보위전투에 참가
제6장 청조, 민국 시기 조선족의 문화교육
제1절 교육
1. 조선족근대민족교육운동의 흥기
2. 청말, 민국 시기 조선족에 대한 일제의 식민주의교육
3. 중화민국정부의 조선족교육정책
제2절 조선족언어
1. 청조, 민국 시기 중국조선어의 방언분포와 그 특성
2. 중국조선어어휘의 변화
제3절 조선족문학
1. 이주초기부터 1919년까지의 문학
2. 1920년-1932년의 문학
제4절 조선족예술
1. 조선족예술의 전통기초
2. 조선족예술의 새로운 발전
제5절 체육교육과 민간체육
1. 이주초기의 체육교육
2. 민간체육활동의 보급과 전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