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지사항
- 제목 :『조선족 생활사』
- 지은이 : 김경식·천수산·최봉룡
- 출판국가, 도시 : 대한민국, 서울
- 출판사 : 문음사
- 출판년도 : 2001
- 총페이지 수 : 483p
□ 목차
화보
추천의 글
격려의 말씀
서문
제1장 청정부의 중국 동북지방에 대한 봉금정책
제1절 만주족과 중국통치
제2절 청정부의 동북지방에 대한 봉금정책
제2장 조선조 시기의 중·조 양국의 변금정책
제1절 조선조 시기의 중·조 양국간의 변계
제2절 중·조 양국의 변금정책
제3장 청대의 조선족 이주
제1절 강제적 이주
제2절 자원적 이주
제3절 압록강 유역의 유민 잠입
제4절 두만강 유역의 유민 이주
제5절 흑룡강 일대의 유민 이주
제6절 조선 유민들의 이주원인
제7절 조선 유이민의 동부지방 거주의 역사적 여건
[부록] 공동저자인 천수산의 조사연구
제4장 민국·일제 통치기의 조선족 이주
제1절 민국시기 한족의 동북지방 이주
제2절 민국시기 조선인의 동북 이주
제3절 민국시기 조선 유민의 비참한 상황
제4절 일제강점기 조선인의 이주
제5장 조선족 촌락과 집거구역의 형성
제1절 조선족 촌락의 형성
제2절 조선족 집거구역의 형성
제6장 동북지방 수전개발과 조선족의 역할
제1절 벼농사에 관한 역사적 문헌상의 수수께끼
제2절 19세기 이후 동북지방의 수전개발
[부록] 조선족 농민들 수전개발에서의 몇 개 전형적인 실례
제7장 조선족에 대한 정책의 역사적 전개
제1절 청조의 조선족에 대한 정책
제2절 민국의 조선족에 대한 정책
제3절 위만주국의 조선족에 대한 정책
제4절 중국공산당의 조선족에 대한 민족정책
[부록]
제8장 조선족의 경제생활
제1절 청조시기 조선족의 경제생활
제2절 민국시기 조선족의 경제생활과 사회환경
제3절 위만주국시기 조선족의 경제생활
제4절 토지개혁
제9장 농·부·어·렵 등 경제활동과 풍속
제1절 농경활동
제2절 삼농사와 담배농사
제3절 양봉과 인삼 캐기
제4절 부림소(농우) 사양
제5절 사냥과 고기잡이
제10장 가정생활, 친척관계, 일상예절
제1절 가정생활
제2절 친척관계
제3절 일상예절
제11장 일상생활, 언어문자 사용과 오락생활
제1절 음식생활
제2절 복식생활
제3절 조선문자 사용과 문화생활
제4절 오락생활
제5절 향교와 여러 가지 계(契)
제12장 거주생활의 변천
제1절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전의 거주생활
제2절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의 거주생활
제3절 조선족 가옥의 특징과 전형적 가옥
제13장 교육
제1절 청조말·민국시기의 조선족 교육
제2절 일제통치기의 조선족 교육
제3절 해방전쟁기의 조선족 교육
제4절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의 조선족 교육
제5절 새로운 역사시기의 조선족 교육
제14장 생육과 유아기 의례
제1절 생 육
제2절 유아기의 의례
제15장 혼인의 풍속
제1절 혼인의 풍속과 그 변천
제2절 반친영과 친영방식의 절차
제3절 1980년대 이후의 혼인방식
제16장 인생의례
제1절 생일, 관례, 계례
제2절 화갑, 진갑, 회혼례
제17장 상례와 제례
제1절 상례와 제례의 변화와 그 발전
제2절 1960년대 이전의 상례
제3절 1960년대 이후의 상례
제4절 1960년대 이전의 제례
제5절 1960년대 이후의 제례
제18장 명절과 명절놀이
제1절 음력설
제2절 정월대보름
제3절 한식과 청명
제4절 단 오
제5절 추 석
제6절 동 지
제19장 종교와 신앙
제1절 광복 전 조선족의 종교신앙
제2절 조선족 종교신앙의 특징
제3절 광복 후 조선족의 종교신앙
제20장 무격신앙과 민간신앙
제1절 무격신앙
제2절 민간신앙
참고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