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지사항
- 제목 :『조선고전문학선집 2:가요집(2)』
- 지은이 : 김상훈 편찬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문예출판사
- 출판년도 : 1983
- 총페이지 수 :323p
□ 목차
제5편 민속가요
풍속, 습관에 관한 가요
놀음놀이에 관한 노래 - 활쏘는소리(1~2), 활노래, 활량, 그네노래(1~5), 추천, 널뛰기노래(1~2), 윷노래(1~5), 장기노래(1~2), 연띄우기(1~2), 화수가(1~2), 화전가
음식에 관한 노래 - 음식노래, 떡타령(1~3), 반달송편, 콩떡, 엿타령(1~4), 술타령, 메밀국수(1~2), 범벅타령(1~3), 약장타령
치장, 생활도구에 관한 노래 - 거울(1~5), 은장도, 가락지, 접시, 댕기노래(1~3), 줌치, 저고리, 짝저고리, 흰동정, 통치마, 갖신, 조끼자랑, 골무, 방맹이(1~2), 밥상(1~2), 정지문, 살강, 부지깽이, 손노래(1~3), 바늘노래(1~3), 상여노래(1~2), 통곡소리, 무덤, 제전
달거리와 풀이 - 정월, 단오날, 칠석날, 달거리(1~2), 지명풀이(1~2), 댁풀이, 국문풀이, 한글노래, 등풀이
기타 민속가요 - 과거, 재로밟자, 인천문자, 통도령, 글소리
민간설화에 관한 가요 - 락화담, 토끼타령, 꿩타령, 파랑새, 산골중놈, 중놈, 정승의 아들, 심청의 노래, 옥단춘의 노래, 장재애비 이야기
민간신앙에 관한 가요 - 굿우름, 귀신쫓기, 성주풀이(1~2)
제6편 애정가요
부모, 친척에 대한 사랑 - 부모명자, 아배 어매, 울오마니, 우리 엄마, 엄마, 부모장, 겉잎같은 울어머니, 엄마소리, 오마이, 가는길에, 병이 들어, 죽순, 뿅따다가, 달노래, 춘아 춘아, 계모노래, 우리 딸, 귀한 딸, 딸손자, 우리 형님(1~2), 우리 형제(1~3), 우리 형은, 형님 온다, 우리 오빠, 오랍동생, 파자전복, 오라버니, 시동생, 형부, 쌀한되, 개떡, 동무(1~2), 벗노래
사랑가 - 사랑가(1~9), 사랑, 님(1~2), 요내꽃(1~3), 붉은 댕기, 머리밑에, 밭머리, 남도령과 서처자, 처녀 총각(1~3), 처녀, 처자(1~2), 큰애기(1~2), 청사초롱(1~2), 홍갑사댕기, 종, 돌, 흙배, 대동강, 남산 청초, 목화따는 처녀, 당파캐는 처녀, 상추씻는 처녀, 뽕따는 처녀, 죽순, 미나리, 미나리 개나리, 꼭두선이, 그네(1~2), 은실금실, 산이 좋아서, 등받아주마, 님 하나밖에, 조롱, 별구경, 바람아, 뜬 구름은, 불, 약산의 진달래, 고래등같은 님의 얼굴, 남편(1~2), 부부타령
리별가 - 리별가(1~5), 석별가, 장상사, 옥중고흔, 황계사, 자탄가, 상사별곡, 단장사, 천자풀이, 님아님아, 두견새(1~2), 비녀팔고, 리별초, 달(1~2), 달떠온다, 국화, 배고파, 리별후에, 그리움, 오시련만, 긴긴밤에, 만경창과, 바다에 흰돛이, 귀뚜라미, 님의 무덤(1~2)
제7편 세태가요
신세를 한탄한 노래 - 팔자(1~6), 방아노래, 자탄가(1~2), 백발가, 원망, 하루이틀, 아이고 답답, 강뚜꺼비, 한탄가, 헛농사, 못가겠네, 식은밥, 무슨 팔자
세태적인 타령 - 앞산타령, 도라지타령(1~2), 흥타령, 범벅타령, 울산타령, 두리둥타령, 창부타령(1~3), 어랑타령, 싼아지타령, 배꽃타령, 리화타령, 꾼대타령, 개고리타령, 느리개타령, 총각타령, 반월타령
류행가요 - 양산도(1~2), 아리랑(1~4), 긴아리랑, 강원도아리랑, 서울아리랑, 밀양아리랑, 진도아리랑, 정선아리랑(1~2), 정선노래, 노래가락, 수심가(1~2), 엮음수심가(1~2), 오동동추야, 이팔청춘가, 녕변가, 박연폭포, 태평가, 륙자백이, 청춘가, 양류가, 서울(1~2), 락락장송, 슬슬동풍, 새벽서리, 무릇무릇 봄배추는, 불원천리, 저 건너 저 솔밭에, 소리간다, 그림자도, 고산 준령에, 성화로구나, 강원도 금강산, 동백, 아침에, 무엇하나, 갈때보니, 해당화가지, 어린 가장, 랑군(1~2), 한숭, 님이라고, 큰애기, 거사가, 댕기와 쾌자
제8편 서사가요 - 노루고개, 체니성, 쇠도리깨, 봉덕가, 이공 본풀이, 미륵과 석가
제9편 자연에 대한 가요
산천풍경에 대한 가요 - 평양 팔경가, 평양 구경, 금강산, 미자물, 구포벌(1~2), 죽령고개, 한나산노래, 오봉산타령, 정반산타령, 유산가, 산천가, 만고강산, 부모 생육하야, 고교천변, 금세상 좋단 말을, 죽장망혜, 산타령(1~2)
자연에 대한 가요 - 일월나무, 달과 별(1~3), 달(1~8), 달노래(1~2), 달아달아, 초생달, 별(1~5), 비(1~4) 이슬, 바람(1~3), 구름(1~3), 바위타령, 산(1~2)
식물에 대한 가요 - 부용가, 꽃노래(1~5), 꽃, 꽃송이, 봉선화가, 봉선화(1~3), 진달래(1~3), 참꽃, 기장꽃, 살구꽃은, 백일홍, 할미꽃(1~2), 호박꽃, 장다리꽃(1~2), 접시꽃, 동백꽃(1~3), 찔레꽃(1~2), 가시꽃(1~2), 해당화, 배꽃, 린처(1~2), 련꽃, 매화, 목화(1~2), 박노래, 나무타령(1~3), 버들(1~3), 밤나무, 유자 석류, 대, 참배돌배, 청배나무, 고추
동물에 대한 가요 - 새타령(1~3), 새(1~2), 새야새야, 파랑새, 종달새(1~4), 종글새, 종금새, 기러기, 뻐꾸기, 송낙새, 삐죽새, 뜸부기, 꿩, 보래뎅뎅 치마, 까투리타령, 산진 수진, 금비둘기, 부엉이, 나비(1~4), 청나비, 매미, 메뚜기, 닭, 닭알, 말, 소타령, 우리 쇠지, 우리 암소, 복술개, 돼지(1~2), 고양이(1~2), 서생원, 사슴타령, 호랑이
제10편 동요
부모생각 - 달아달다, 부모생각, 춤을 추니, 뽕따다가, 도토리, 효자동이, 죽순, 새는 새는, 잠을 자지, 가는 길에, 화초는 , 갈 때는, 앙동앙동, 련잎같은, 엄마생각(1~2), 타복네(1~2), 빛만 뵈고 간곳 없네, 우리 엄마 어디 가고, 마지막 말, 꽃봉지, 달아달아, 우아버지, 부모나무, 부모얼굴, 동지섣달, 미나린지, 나두 가요, 형제, 누나, 동생아, 비야 비야, 형님 큰상, 우리 형님, 우리 누나 시집갈 때, 어깨동무(1~2)
놀음놀이 - 홍의장군, 까치봉(1~2), 군사놀이, 그네뛰며 부르는 노래, 소꿉놀이(1~2), 허멍탈네, 어데까지, 술래잡기(1~2), 수박따기, 호박따기, 손벽치기(1~2), 대문놀이, 줄넘기(1~2), 걸어가기, 멍석말이, 두껍놀이(1~3), 물배둥둥, 해야해야(1~2), 들기름 짜라, 땅땅 말라라, 별세기(1~3), 이야기(1~3), 가자가자, 아해당에, 물방아, 풀각시(1~2), 불 불 불어라, 집짓기 노래(1~2), 편싸움, 찌루룩, 개미, 달팽이(1~2), 풍덩이, 이밥하여라, 앗추, 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