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지사항
- 제목 :『봉건시기 우리 나라에서의 불교철학의 전파와 그해독성』
- 지은이 : 최봉익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사회과학출판사
- 출판연도 : 1976
- 총 페이지 수 : 178p
□ 해제
이 책은 북한의 대표적인 한국철학 전공자 중 하나인 최봉익이 쓴 한국의 불교철학사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한반도에 불교가 전파된 삼국시대부터 시작하여 조선시대의 불교까지를 다루고 있다. 게다가 이 책은 통일신라, 고려만이 아니라 발해까지를 포함하여 한국불교 전반에 대해 다루고 있는, 대표적인 북한의 불교철학 관련 저작이라고 할 수 있다.
□ 키워드
한국불교사, 불교철학, 종교철학, 북한불교, 북한종교
□ 목차
머리말
제1장 불교, 불교철학의 본질과 그 발생의 사회력사적근원
제1절 불교, 불교철학의 반동적본질
제2절 불교발생의 사회력사적조건
제2장 삼국시기 불교철학의 초기 전파와 그 해독성
제1절 삼국시기 불교철학이 우리 나라에 전파되게 된 력사적환경
제2절 삼국시기 불교철학으로서 초기에 전파된 《구사론》과 《성실론》 사상
제3절 삼국시기 대승불교사상으로서의 《3론종》 및 《유식종》 불교철학의 전파와 그 해독성
제3장 발해, 신라 시기 불교철학의 발전과 그 해독성
제1절 발해, 신라 시기 불교철학사상발전의 사회력사적환경
제2절 원효의 《해동종》불교사상의 본질과 그 반동성
제3절 의상의 《화엄종》불교사상의 본질과 그 반동성
제4절 대현과 둔륜의 《유가종》불교철학의 본질과 그 반동성
제5절 신라 《선종》불교사상의 반동적 본질
제6절 발해에서의 불교사상의 전파와 그 해독성
제7절 신라에서의 불교론리사상으로서 《인명학》의 발전과 그 반동적 본질
제4장 고려시기 불교철학사상의 발전과 그 해독성
제1절 고려시기 불교사상발전의 계급적기초와 력사적조건
제2절 균여의 《화엄종》불교사상의 반동성
제3절 체관과 의천의 《천태종》불교사상의 반동적 본질
제4절 보조의 《조계종》불교사상과 그 해독성
제5절 고려시기 불교철학발전의 결말로서 태고와 혜근의 불교사상과 그 반동성
제6절 고려시기 불교와 유교간의 투쟁
제5장 리조시기 유교와 불교간의 투쟁과 불교의 쇠퇴
제1절 리조시기 불교사상전파의 사회력사적환경
제2절 유교를 반대한 득통과 보우의 불교사상
제3절 서산대산 휴정의 불교사상
제4절 리조말기의 불학과 《심성》, 《3종선》에 대한 론쟁의 반동적 본질
제5절 리조시기 반불투쟁과 그 제한성
제6장 봉건시기 우리 나라의 사회적진보와 민족문화발전에 끼친 불교철학의 해독성과 극복방도
제1절 불교철학의 해독성
제2절 불교사상을 극복하기 위한 방도
제7장 불교문화유산평가에서 제기되는 몇가지 문제
제1절 불교문화유산을 옳게 평가하여야 할 필요성
제2절 불교문화유산평가에서 지켜야 할 몇가지 원칙
맺는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