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지사항
- 제목 :『민족해방철학』
- 지은이 : 김성민
- 출판국가, 도시 : 대한민국, 서울
- 출판사 : 도서출판 힘
- 출판연도 : 1988
- 총페이지 수: 275p
□ 해제
이 책은 민족해방철학으로 주체사상을 내세우면서 주체사상을 맑스주의 철학에 대한 설명을 통해서 이끌어내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 책은 변증법적 유물론과 사적 유물론이라는 맑스주의 철학 전반에 대한 설명에 대부분의 분량을 할애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설명을 통해서 이 책은 ‘인민대중이 역사의 창조자’라는 결론을 이끌어냄으로써 주체사상으로의 발전을 함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 키워드
민족해방철학, 변증법적 유물론, 사적 유물론, 맑스주의, 주체사상
□ 목차
변증법적 유물론
제1장 철학이란 무엇인가?
1. 세계관
2. 유물론과 관념론
3. 변증법과 형이상학
제2장 맑스주의 철학과 철학적 대상
1. 맑스주의 철학은 철학발전의 최고 단계이다
2. 맑스주의 철학은 무엇을 연구하는가?
제3장 물질
1. 물질이란 무엇인가?
2. 물질은 어떻게 존재하는가?
3. 세계는 물질로 통일되어 있다
제4장 의식
1. 의식은 어떻게 발생하였는가?
2. 인간의 의식은 외부세계를 반영한다
3. 의식은 물질에 대하여 능동적으로 나온다
제5장 물질세계의 전반적 연관
1. 만물은 서로 연관되어 있다
2. 사물의 연관은 다양하다
3. 법칙은 본질적이며 필연적인 연관이다
제6장 양적 변화의 질적 변화로의 이행의 법칙
1. 양적 변화의 질적 변화로 넘어간다
2. 발전의 진화적 형태와 혁명적 형태는 통일되어 있다
3. 낡은 질이 새 질로 이행되는 형태는 다양하다
제7장 대립물의 통일과 투쟁의 법칙
1. 대립물의 투쟁은 사회를 발전시키는 원천이다
2. 내적모순과 외적모순
3. 모든 모순은 자기의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
4. 절대적 모순과 비적대적 모순
제8장 "부정의 부정"의 법칙
1. 변증법적 부정의 본질과 그것이 사물 발전에서 작용하는 역할
2. 사물은 낮은 것으로부터 높은 것으로, 단순한 것으로 부터 복잡한 것으로 발전한다
3. 낡은 것은 멸망하고 새 것은 승리한다
제9장 유물변증법의 범주
1. 범주란 무엇인가
2. 원인과 결과
3. 본질과 현상
4. 내용과 형식
5. 필연성과 우연성
6. 일반적인 것과 개별적인 것
7. 가능성과 현실성
제10장 변증법적 유물론의 인식론
1. 인간은 세계를 어떻게 인식하는가?
2. 인간은 세계의 본질을 단번에 알아낼 수 있는가?
3. 실천은 진리의 기준이다
사적 유물론
제11장 사적 유물론이란 무엇인가?
1. 사적 유물론의 대상
2. 사회발전의 합법칙성과 인간의 의식적 활동
제12장 생산력과 생산관계
1. 물질적 부의 생산은 사회발전의 기초이다
2. 생산력과 생산관계의 상호작용
제13장 토대와 상부구조
1. 사회의 토대란 무엇이며 상부구조란 무엇인가
2. 토대와 상부구조의 상호 관계
제14장 계급과 계급투쟁
1. 계급의 본질과 계급발생의 원인
2. 계급투쟁은 적대적 계급사회 발전의 추동력이다
제15장 국가란 무엇인가?
1. 국가란 무엇이며 그것은 언제 어떻게 발생하였는가?
2. 국가의 유형과 그 통치형태
3. 프로레타리아 독재는 새로운 유형의 국가이다
제16장 사회 혁명
1. 사회혁명의 본질과 원인
2. 사회혁명의 역사적 유형들
3. 사회주의 혁명
제17장 사회적 의식과 그 형태들
1. 사회적 의식이란 무엇인가?
2. 사회적 의식의 재형태들
3. 사회발전에서 사상의식이 하는 역할
제18장 역사에서의 인민대중과 개인의 역할
1. 인민대중은 역사적 창조자이다
2. 역사에서 개인의 역할, 혁명운동에서 노동계급의 지도자의 역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