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지사항
- 제목 :『민족, 민족주의론의 주체적 전개』
- 지은이 : 김혜연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평양출판사
- 출판연도 : 2002
- 총페이지 수: 324p
□ 해제
이 책은 기존의 전통적 민족론과 서구의 민족형성론을 비판하고 주체사상에서 제시하는 ‘민족에 대한 주체적 이해’가 무엇인가를 논의하고 있다. 하지만 이 책의 특징은 단순히 주체사상에서 제시하는 민족, 민족주의에 대한 설명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넘어서 세계화와의 관련 속에서 탈민족주의론을 비판하면서 민족주의와 공산주의, 국제주의를 다루고 있다는 점이다.
□ 키워드
민족, 민족주의, 공산주의, 세계화, 국제주의
□ 목차
제 1 편 민족론의 주체적 고찰
1. 민족에 관한 주체적 리해
- 기존 《민족론》과의 비교연구 -
1) 민족개념: 《문화공동체론》, 《경제공동체론》 해부
① 기존리론에 대한 비판적해석
② 민족개념의 주체적정립과 그 독창성
2) 민족형성: 유럽의 《민족형성론》과의 비교연구
① 유럽의 민족형성론과 그 한계
② 민족형성에 관한 주체적인식
3) 민족생명: 자주성시비 반론
① 자주성은 민족의 생명
② 자주성시비 반론
4) 민족과 계급: 《민족사멸론》 조명
① 민족모순과 계급모순
② 《민족사멸론》 조명
③ 포괄성과 우위성의 견지에서 본 민족과 계급
5) 민족의 발전: 《자본주의민족발전》 비판
① 민족발전의 일반적의미
② 《자본주의민족발전》 비판
③ 사회주의와 민족발전
2. 민족문제해결에 관한 주체적 견해
1) 민족문제의 본의; 민족문제에 관한 기존리론 해부
① 민족문제의 력사적고찰
② 민족문제에 관한 기존견해 검토
③ 민족문제의 본의에 관한 주체적리해
2) 조선근대사이후 민족문제에 관한 사적고찰
① 근대(려명기)의 민족문제
② 일제식민지하에서의 민족문제
③ 남북분단과 민족문제
3) 민족문제해결의 원칙적요구와 담보
① 주체성, 민족성
② 민족의 대단결
4) 민족문제해결의 구심점
제 2 편 민족주의에 대한 주체적고찰
1. 민족주의에 대한 주체적리해
- 이른바 《강대국민족주의론》 비판 -
1) 민족주의의 개념과 력사적 기원
① 민족주의의 개념, 기원에 관한 몇가지 견해 검토
② 민족주의의 개념, 기원에 관한 주체적인식
2) 민족주의의 류형에 대한 주체적인식
① 부르죠아민족주의류형으로서의 《강대국민족주의론》 비판
② 진정한 민족주의의 한 형태로서 《저항민족주의론》
③ 진정한 민족주의의 한 형태로서 《신민족주의》
3) 우리 나라에서의 《저항민족주의론》와 《통일민족주의》. 사이비 《민족주의론》 비판
① 우리 나라에서의 민족주의의 발생, 그 전개과정(8.15전)
② 《통일민족주의》의 정립과 발전과정. 사이비 《민족주의론》 비판
2. 민족주의와 공산주의(사회주의). 애국애족의 리념
1) 민족주의와 공산주의의 상호관계
① 민족주의와 공산주의의 상호관계에 관한 문제의식
② 민족주의와 공산주의관련성에 관한 주체적견해
2) 민족주의와 공산주의의 단합과 그 전개
① 유럽, 제3세계에서의 민족주의와 공산주의의 단합
② 우리 나라에서의 민족주의와 공산주의의 단압
③ 현 시기 민족주의와 공산주의(사회주의)의 단합의 과제
3. 민족주의와 국제주의. 《세계화》론 비판
1) 민족주의와 국제주의. 민족배타주의 비판
① 민족주의와 국제주의에 관한 선행리론 해부
② 민족주의와 국제주의 상호관계에 관한 주체적견해
2) 민족주의와 《세계화》
① 미국의 세계전략과 민족주의
② 《초민족주의론》 비판
③ 《초민족주의론》적 《세계화》론
□ 진정한 민족주의와 고려민족제일주의
- 맺는 말을 대신하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