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지사항
- 제목 :『철학의 정립·2』
- 지은이 : 박경욱 엮음
- 출판국가, 도시 : 대한민국, 서울
- 출판사 : 대동
- 출판연도 : 1991
- 총페이지 수 : 320p
□ 해제
주체사상을 잘못이해하고 있는 논문들을 주제별로 뽑아 비판하는 방법을 따르고 있는 비판서이다. 우리나라의 변혁운동은 자주 민주 통일에 대한 목적이 같은 한 모든 민족, 민중이 함께 하는 운동이다. 따라서 생각의 차이가 있는 사람들과 함께 각각의 투쟁에서 손잡고 나아가는것도 무척 중요하다.
□ 키워드
맑스-레닌주의, 주체사상, 모택동사상, 자본주의, 이론적비교해석
□ 목차
차례
책을 내면서
1.인간론이 주체사상의 중심이라는 주장에 대해
보론: 철학과 인간문제
2.주체사상이 비역사적, 초계급적인 인간을 논의하고 있다는 주장에 대해
3.인민대중이라는 개념이 불분명하고 몰계급적인 개념이라는 주장에 대해
보론: 계급투쟁의 본질과 내용에 관한 주체적 이해
4.인간의 본질적 특성에 대해
5.주체사상이 밝힌 의식성에 관한 문제에 대해
6.주체사상이 제기한 의식에 관한 문제를 맑스주의 유물사관과 대치시키는 주장에 대해
7.주체사상이 관념론을 반대하는 유물론의 투쟁이 필요없게 되었다고 주장한다는 견해에 대해
8.주체사상의 창시로 철학영역에서 일어난 혁명저 전환에 대해
9.주체사상을 실용주의적 세계관으로 해석하는 주장에 대해
보론: 주체철학의 근본문제에 대하여
10.주체사상이 맑스주의를 기계적 결정론이라고 낙인찍었다는 주장에 대해
11.주체사상이 자본주의를 분석하는 방법론을 결여하고 있다는 주장에 대해
보론: 주체적 시각에서 본 생산력과 생산관계의 상호관계
보론: 혁명운동의 직접적 원인
12.주체사상이 철저한 노동계급적 사상이라는 점에 대해
13.주체사상과 맑스주의유물사관이 서로 모순된다는 주장에 대해
14.주체사상의 현실적 힘에 대해
보론: 사상의 혁명성에 대한 과학적 해명
15.주체사상을 맑스-레닌주의와 모택동사상에 용해시키는 견해에 대해
16.주체사상과 국제주의에 대해
17.주체사상이 민족주의색채가 농후한 사상, 민족감정이라는 주장에 대해
18.주체사상을 민족주체성, 자력갱생이라는 의미로 해석하는 견해에 대해
19.주체사상이 링컨의 민주주의나 손문의 삼민주의와 맥락을 같이한다는 주장에 대해
20.주체사상이 자기중심주의로 변질되었고 폐쇄로 나간다는 주장에 대해
21.자주, 자립, 자위의 노선이 체계적인 이론으로 정립될 수 없다는 주장에 대해
22.주체사상이 밝힌 사회주의의 완전한 승리에 관한 이론에 대해
부록:동구사태에 대한 올바른 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