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지사항
- 논문명 : 「북한의 '수이전체 산문'의 연구 동향과 남북의 소통지점」
“Research Trends of North Korea's 'Suijeon Form Prose' and Inter-Korean Communication Points”
- 저자 : 김종군
- 수록지명 : 『통일인문학』 제84집
- 발행일 : 2020.12
- 페이지 : 259~302쪽
□ 목차
머리말
북한의 고전문학 연구 기반과 조선문학사 편찬 현황
북한의 ‘수이전체 산문’ 연구 동향
북한 ‘수이전체 산문’과 남한 ‘전기(傳奇)’의 소통지점
맺음말
□ 키워드
수이전, 수이전체 산문, 전기(傳奇), 서사 양식, 북한문학사, 최치원, 박인량
□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그 전모가 전하지 않는 『신라수이전』과 고려의 『수이전』에 대한 북한의 연구 동향을 살피고, 남북의 소통지점을 찾는 데 있다. 북한 문학사에서 그 발생과 양식적 특성, 작가에 대해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 시대별로 고찰하고, 남한의 연구 성과와 비교하여 남북의 서사문학사 서술 시각을 대비해 보고, 통일시대를 대비한 문학 교재로서 통일문학사 서술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먼저 북한의 고전문학 연구 기반과 조선문학사 편찬 현황을 고찰하고, 1950년대부터 2012년까지 출판된 북한 문학사에서 ‘수이전체 산문’의 개념과 발생, 양식적 특성, 작가 논의 등을 역사적으로 고찰하였다. 북한에서는 1977년에 출판된 『조선문학사』 고대·중세편에서 『수이전』에 대한 시각을 다음과 같이 확정한 후 큰 변화 없이 지속하고 있다.
① 7~9세기 사이에 특색 있는 산문 형식으로 출현했다. ② 작품들은 구전설화적 요소를 가지면서도 개별 작가들의 예술적 창작이다. ③ 작품의 주인공 설정은 살아있는 사람과 죽은 사람을 등장시켜서 이야기를 전개하는 환상적 수법을 사용하므로 ‘수이전체’라는 명칭이 연유했다. ④ 작품의 분위기가 낭만적 색채를 가지는데, 당대 사회현실의 문제를 해결할 방도를 찾을 수 없는 한계와 당대의 현실을 비판적으로 대하는 작가의 사상미학적 이상에서 기인한다. ⑤ 작가는 신라 말의 최치원과 고려 전기의 박인량이며, 대표 작품은 <쌍녀분>과 <수삽석남>이다.
북한의 이러한 연구 동향을 남한의 논쟁들과 비교하여 그 소통지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① 서사 양식의 명칭에서 남한 학계에서 합의를 이룬 ‘전기(傳奇)’보다는 북한에서 확정한 ‘수이전(殊異傳)’으로 나아가는 방향이 우리 문학사의 독자성을 정립하는 데 유효할 듯하다. ② 그 발생과 계통에 대해서도 중국 문학의 일방적 수용이라는 시각보다는 구전설화의 소재를 원용하여 개인 창작자의 창작 역량이 발휘된 작품이 발생한 것으로 보고, 고소설의 전 단계나 본격적 고소설 작품으로서 위상을 갖는다고 진단하는 것이 지금까지의 남북 문학사의 성과를 포섭하는 견해가 될 것이다. ③ 작가나 편저자에 대한 시각 역시 서사 양식의 발생과 연동하여 최치원, 박인량, 김척명에 국한할 것이 아니라 현재 발굴되지 않은 다수의 작가가 존재할 수 있다는 열린 시각이 남북 학계의 공통된 지지를 받을 가능성이 크다.
□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North Korea on the ‘Silla Suijeon’ and Goryeo’s ‘Suijeon’, and to find a point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Koreas.
We will consider by period the origin, stylistic characteristics and how the writers are defined in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While comparing with South Korea's research results, compare the narrative perspective of the narrative literature history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as a literary textbook to prepare for the era of unification, we want to prepare the basis for narrative of integrated Korean literature history.
First of all, we examined the foundation of research on classical literature in North Korea and the current state of compilation of Korea literature history.
Also we have looked historically at concept and occurrence, stylistic characteristics, and discussions about writers of Suijeon form Prose in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published from the 1950s to 2012.
North Korea has confirmed its perspective on Suijeon in the ancient and medieval editions of the ‘Joseon literature history’ published in 1977 as follows. And keep it going without much change.
① Appeared as a distinctive prose form between the 7th and 9th centuries.
② The works have oral mythological elements, but they are artistic creations of individual artists.
③ Because it uses the fantastic technique of developing stories by setting up a living person and a dead person as the main character of the work, it was named ‘Suijeon form’.
④ The atmosphere of the work has a romantic color, which originates from the limitation of not being able to find a way to solve the problems of social reality of the time and the writer's ideological and aesthetic ideal of dealing critically with the reality of the time.
⑤ The authors are Choi Chi-won(최치원) of the late Silla Period and Park In-ryang(박인량) of the early Goryeo Period, and the representative works are ‘The tomb of two women(<쌍녀분>)’ and ‘The plum blossom tree branch on the head(<수삽석남>)’.
Comparing the North's research trends with the South's disputes, the point of communication is as follows.
① When naming the narrative form, to decide ‘Suijeon(수이전殊異傳)’ which is confirmed in North Korea rather than ‘Jeongi(전기傳奇)’ agreed upon by the South Korean academic community is likely to be effective in establishing the independence of Korean literary history.
② It would be right to regard the occurrence and lineage as producing a work that shows the creative ability of individual creators by using the material of oral legend rather than the view that Chinese literature was unilaterally accepted, also to diagnose as having the status as the previous stage of a classic novel or as the work of a full-fledged classic novel will be a view that embraces the achievements of South and North Korean literature history so far.
③ In connection with the occurrence of narrative form, rather than to restrict your views on writers and editors to Choi Chi-won, Park In-ryang and Kim Chok-myung, to have the open view that there may be a number of writers who have not been discovered at present will receive common support from South and North Korean academic circles.
□ Key words
Suijeon(수이전殊異傳), Suijeon form Prose, Jeongi(전기傳奇), Narrative form, Integrated Korean Literature History, Choi Chi-won(최치원), Park In-ryang(박인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