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지사항
- 제목 :『철학연구 제3호(루계 38호)』
- 지은이 : 철학연구 편집위원회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사회과학출판사
- 출판연도 : 1989
- 총페이지 수: 48p
□ 해제
주체의 혁명관은 수령, 당, 대중이 하나의 사회정치적 생명으로 결합되어 혁명의 주체를 이루는 것처럼 수령관, 조직관, 군중관, 도덕관은 서로 뗄 수 없이 련관되어 하나의 전일적인 것이다. 공산주의도덕은 가장 우월하고 선진적인 도덕이다. 우리 나라 철학사상사에서 15~16세기 유물론과 관념론의 투쟁을 옳게 이해하는 것은 조선철학사상사를 연구하는데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 키워드
혁명적 조직관, 공산주의도덕, 사상의식발전, 15-16세기 우리 나라 유물론과 관념론
□ 목차
차례
주체의 혁명관에 대한 일반적 리해-준박사, 부교수 김윤찬
력사의 자주적인 주체에 대한 리해-준박사 안현철
혁명적 조직관에 관한 독창적인 리론-준박사 정봉식
주체사상이 밝힌 혁명적 군중관의 본질-백주상
공산주의도덕은 가장 우월하고 선진적인 도덕-준박사 정 심
사회와 집단을 위하여 생활하는것은 인간의 자주적 본성에 맞는 생활-준박사, 부교수 리인간
사회주의하에서의 계급투쟁에 관한 주체의 리론과 그 근본특징-준박사, 부교수 김재우
사상의식발전을 규제하는 중요한 몇가지 합법칙성-준박사 한선희
륜리사상의 기본조류들과 그 발전의 합법칙성-준박사, 부교수 박태준
15~16세기 우리 나라에서 유물론과 관념론의 투쟁-준박사, 량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