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북한자료소개

『대동신서 11:철학산책』(유지혁 지음, 도서출판 대동, 1990)

조회수 3772 link 복사

□ 서지사항

- 제목 :『대동신서 11:철학산책
- 지은이 : 유지혁
- 출판국가, 도시 : 대한민국, 서울
- 출판사 : 도서출판 대동
- 출판연도 : 1990
- 총페이지 수: 286p

□ 해제

 이 책은 사람중심의 철학을 통해 어떻게 세계를 대하고, 어떻게 주체적으로 살아갈 것인지를 설명하고 있다. 그래서 일반적인 철학 대중서와는 다른 성격을 갖는다. 저자의 고유한 철학적 사유를 전개하기 보다는 북한의 주체사상 및 맑스주의 철학의 방법론을 통해 세계에 대한 인식, 활동, 사회역사적 실천, 자주적인 민중운동을 설명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 키워드

철학, 자주성, 창조성, 민중, 사회역사

□ 목차

제1부 사람, 자기 운명의 주인
 머리말
1장 사람의 운명문제에 해답을 주는 참다운 철학
 1. 철학의 사명
  1) 운명에 대한 이야기
  2) 철학과 사람의 운명 문제
 2. 운명문제에 대한 올바른 해답
  1) 운명문제에 대한 그릇된 견해
  2) 숙명론을 넘어
2장 사람은 만물의 영장
 1. 세계의 지배자이자 개조자로서의 사람
  1) 세계의 지배자
  2) 세계의 개조자
 2. 자기 운명을 개척해 나가는 힘있는 존재로서의 사람
  1) 세계의 정복자
  2) 자기 운명의 주인
3장 사람은 세계의 주인
 1. 자기 자신을 모르고 살아온 역사
  1) 사람은 언제 어떻게 생겨났는가
  2) 사람은 어떤 성질을 가지고 있는가
 2. 사람은 자주성과 창조성, 의식성을 가진 사회적 존재
  1) 사람은 자주성을 가진 존재, 자주적인 사회적 존재
  2) 사람은 창조성을 가진 존재, 창조적인 사회적 존재
  3) 사람은 의식성을 가진 존재, 의식적인 사회적 존재
  4) 사람의 본질적 특성은 타고난 것이 아니다
4장 사람중심의 세계
 1. 세계에 대한 새로운 견해 - 사람을 중심으로 세계를 보는 것
  1) 사람은 세계를 어떻게 보아 왔는가
  2) 세계에 대한 새로운 견해
 2. 세계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입장 - 사람을 중심으로 세계를 대하는 것
  1) 사람의 이익을 첫자리에
  2) 사람의 활동을 기본으로

제2부 민중, 사회역사의 주체
1장 새로운 사회역사관
 1. 사회역사의 발전궤도
 2. 사회역사관의 발전 노정
2장 사회역사의 발전과 민중
 1. 역사의 주체에 관한 문제
 2. 사회역사의 주체는 민중
 3. 민중의 지위와 역할이 높아지는 과정으로서의 사회역사의 발전과정
3장 인류역사는 민중의 자주성을 위한 투쟁의 역사
 1. 자주는 인류역사의 도도한 흐름
 2. 자주의 길은 자기의 법칙에 따라
4장 사회역사적 운동은 민중의 창조적 운동
 1. 민중활동의 창조적 성격
 2. 민중의 창조적 운동은 자기의 고유한 법칙에 따라
5장 민중의 자주적인 사상의식이 갖는 결정적 역할
 1. 혁명승리의 열쇠, 자주적인 사상의식
 2. 끊임없이 높아지는 사상의식의 역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