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북한자료소개

『이야기 치료-선호하는 이야기의 사회적 구성』( Jill Freedman · Gene Combs 공저·김유숙 외 옮김, 학지사, 2009)

조회수 4028 link 복사

□ 서지사항

- 제목 :『이야기 치료-선호하는 이야기의 사회적 구성』
- 지은이 : Jill Freedman · Gene Combs 공저/ 김유숙 · 전영주 · 정혜정 옮김
- 출판국가, 도시 : 대한민국, 서울
- 출판사 : 학지사
- 출판연도 : 2009
- 총페이지 수 : 471p

□ 해제

 이 책의 1장과 2장은 이야기와 사회구성주의자의 세계관에 대한 역사적, 철학적, 관념적 측면에 초점을 맞춘다. 1장은 특별한 역사적 기간 동안 특별한 분야에서 특별한 치료자로서의 저자들의 발전에 관한 이야기다. 2장은 이야기 작업의 방향을 만들어내는 철학적 개념을 명료하고 간결하게 정리한다. 3장부터 6장까지는 임상 작업의 기초를 포함하는 실천에 초점을 맞춘다. 7,8,9장은 풍부한 새로운 이야기를 강화하고 그것들이 각자의 지엽적 문화에서 순환할 수 있는 다양한 실천을 설명한다. 마지막 10장은 보다 넓은 시야에서 특별한 이야기 실천을 활용하면서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윤리적 관계와 관련해 우리의 인식을 새롭게 하도록 돕는다.

□ 키워드

사이버네틱스, 사회구성주의, 새로운 이야기, 이야기 은유, 반영하기, 관심의 공동체

□ 목차

* 역자 서문

* 한국 독자들에게 7

* 저자 서문

* 서문

* 감사의 글

01. 패러다임의 전환: 체계에서 스토리로
1차 사이버네틱스
2차 사이버네틱스
 다른 이야기
 또 다른 이야기
 이야기 은유와 사회구성주의

02. 이야기 은유와 사회구성주의: 포스트모던 세계관
실제에 대한 포스트모던 관점
포스트모더니즘과 도덕적 상대주의
권력의 정치학
이야기/ 사회구성주의자 입장의 구성요소

03. 새로운 이야기의 통로 찾기
경청
해체 질문
치료 대화

04. 이야기(스토리)의 전개
제시카의 이야기
이야기 전개에서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요인들
새로운 이야기로 가는 통로
통로를 이야기로 발전시키기
‘현재의 역사’로 발전시키기
이야기를 미래로 확대하기
이야기 전개를 위한 연습 형식
축어록

05. 질문
해체 질문
통로 공간 질문
선호 질문
이야기 전개 질문
의미 질문
이야기 구축
어떤 질문을 언제 하는가

06. 질문의 현장: 세 개의 축어록
게으름? 외재화와 통로 개방 대화
1년이 만든 변화: 이야기 전개와 의미 질문
믿음에 귀 기울이며 목소리 내기: 질문의 현장

07. 반영하기
반영 팀의 실제
반영 팀의 지침
반영 팀의 실용적 지침
반영 대화의 실례
팀 없이 반영하기

08. 이야기의 풍부한 전개
이전 면담의 재검토로 면담을 시작하기
치료적 대화를 문제 및 프로젝트와 연결시키기
상담 노트하기
테이프
편지
상징
캐리의 이야기

09. 새로운 이야기의 유포
청중 파악과 모집을 위한 질문
치료에 청중 초청하기

반영과
녹음테이프, 편지, 문서, 기념식을 통해 이야기 유포하기
리그
전문 청중과 모집과 조정

10. 관계와 윤리
윤리적 실제로서 자아의 구축
윤리적 입장
사람과 치료에 대한 가정
공동체의 역할
임상 실제와 윤리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