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지사항
- 제목 :『교착된 사상의 현대사-1945년 이후의 한국․일본․재일조선인』
- 지은이 : 윤건차 지음, 박진우 외 옮김
- 출판국가, 도시 : 대한민국, 서울
- 출판사 : 창비
- 출판연도 : 2009
- 총페이지 수 : 625p
□ 해제
이 책은 1945년 8월 해방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일본과 남한 그리고 재일조선인이 걸어온 발자취를 주로 사상, 특히 역사에 각인된 사상체험으로써 파악한다. 저자 윤건차 교수는 재일조선인 2세로서 자신이 살아온 시대에 한일 지식사회의 모습을 재일조선인의 관점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 책에서 저자는 한일 현대사의 중요한 사건들과 그에 관한 양국 지식인의 태도를 비교분석하였다. 또 각 시대의 사회상을 대표한다고 파악한 시 68편을 사회과학과 접목하여 소개함으로써 더욱 풍부하게 시대와 사상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 키워드
사상, 한국, 일본, 재일조선인, 동아시아
□ 목차
한국어판 서문
일본어판 서문_사상 체험을 말한다는 것
1장 새로운 동시대사로의 출발: 일본 패전과 조선 해방 1945~46
1. 군사점령의 질적 차이와 대미의식
공유된 ‘근대’/두개의 ‘8월 15일’/군사점령의 질적 차이/건국운동과 그 좌절
2. 해방공간과 민중의식
패전·해방을 어떻게 받아들였나/해방의 빛과 그림자/재일조선인의 패전․해방/재외일본인 에게 패전이 가지는 의미/정치범의 석방
3. 전쟁범죄의 추궁
누가, 어떻게 책임을 질 것인가/천황․천황제․천황주의/토오꾜오재판BC급 전범재판과 아시아/친일파를 둘러싼 문제/‘전향’의 문제
2장 사상 재건의 모색: 일본과 한국의 엇갈림 1947~54
1. ‘평화헌법’과 ‘분단헌법’
새로운 국가의 모습/‘인간 선언’과 일본국헌법/대한민국헌법 제정에 이르는 투쟁/몇가지 쟁점과 국명(國名)문제/두 가지 헌법의 이념과 현실
2. 좌익과 우익의 언어체계
사상이란 무엇인가/패전 후 일본의 사상문제-천황제와 조선/민주주의문제/조선 ‘해방공 간’의 사상과제―남북분단과 친일파/평화주의와 내셔널리즘
3. 조선전쟁과 사상의 혼미
남북분단 확정에서 한국전쟁 발발로/한국전쟁의 평가-‘침략전쟁’인가 ‘내전(=통일전쟁)’ 인가/50년대와 제각기의 ‘민족문제’/해방 후 한국의 문학상황/패전 후 일본의 문학상황
3장 냉전체제하에서 상호인식의 구조 1955~64
1. 재일조선인과 그 사회적 의미
‘제국 신민’에서 ‘외국인’으로/전생(轉生)으로의 고투와 운동의 조직화/일본공산당과의 ‘공투(共鬪)’와 이별/50년대 조선인에 대한 시선/해방 후 ‘자이니찌’의 언론․문학
2. 한국 4·19 학생혁명과 미일안보조약 반대운동
천황제와의 대결을 결여한 일본의 전후/한국의 논단상황-사상계를 중심으로/집단귀 국의 꿈과 현실/4․19혁명에서 군사쿠데타까지/안보투쟁-내부로부터의 패배
3. ‘민족’, ‘국민’, ‘시민’ 개념과 내셔널리즘
전후(戰後)사상의 전환기에서의 천황제/ 자기인식의 뒤틀림-민족적 자각의 결여/국민과 내셔널리즘/민족․국민․시민/60년대의 문학
4장 국교수립과 상호이해의 곤란 1965~79
1. 한일조약체결과 타자인식
마찰의 기점 만주국의 망령/조약반대투쟁과 일본비판/상호인식의 격차/ 베트남평 화 시민연맹(베헤이렌)의 조선문제 인식/지식인의 조선에 대한 이해와 조선사연구/ ‘써클촌’운동의 문제제기/사상형성의 경위―와다 하루끼의 경우
2. 한국 민주화운동의 전개와 연대의 맹아
국교 개시 당시의 일본과 한국/민주화운동 개시의 봉화/김대중사건의 충격/운동의 전개 와 탄압/운동의 지도적 담당자: 기독교인․지식인/김지하의 사상-고발과 연대를 위한 호소 /잡지세까이와 조선문제/일본에서의 민주화운동 지원의 확대/민주화운동과 노래/드라마여로와 한국사회의 변용
3. ‘민중’을 둘러싼 언설, 그리고 옥중 체험
투쟁의 전개, ‘민중’의 시대/일본 역사학에서의 ‘민중’의 시좌(視座)/‘민속학 붐’과 ‘일본 인론’/식민지 체험자의 문학표현/연대와 교류의 심화/변혁의 주체로서의 ‘민중’/옥중체험 의 사상화
5장 한국 민주화투쟁과 상호인식의 갈등 1980~89
1. 한국 민주화운동의 고양과 조선 관련 보도의 변화
광주항쟁 후의 탄압과 투쟁/군사독재시대에 대한 평가 /저항의 민족주의=민중주의/노동 자계급․‘여공’의 투쟁/‘학생 출신 노동자’/민중문화운동의 고양/제3세계 문학에서 국민적 문학으로/조선에 대한 보도의 변화와 한국 붐
2. ‘자이니찌’의 투쟁과 ‘용어’의 위화감
세 나라 사이에서/아이덴티티 확립 투쟁과 교육문제/여러가지 만남-주체를 따지는 것/ 재일조선인 문학/‘조선인’이라는 말/일본인과 조선어/해방 후 한국어의 문제
3. 한국 ‘민주화선언’과 역사교과서를 둘러싼 마찰
6월항쟁과 민주화선언/1982년 교과서문제/교과서 검정과 이에나가(家永)재판/차별문제와 정체성에 대하여/오끼나와와 ‘자이니찌’/천황제와 조선, 그리고 ‘민족적 자각’
6장 탈냉전시대와 탈식민지화의 과제 1990~현재
1. 포스트모던 논의와 일본군성노예(‘종군위안부’)문제
90년 전후의 격동과 변하지 않는 ‘천황제 조선’ 인식/문민정권과 한국사회-‘시민의 시대’/포스트모던, 포스트콜로니얼/일본군 성노예(‘종군위안부’)문제의 제기/사상의 전환점 90년대―‘잔치는 끝났다’
2. 동아시아의 변화와 역사인식을 둘러싼 갈등
김대중 정권 시대-‘민주화 후의 민주화’/9.11과 동아시아 정세의 전개/여성국제전범법 정 -젠더와 포스트콜로니얼리즘/와다 하루끼와 사또오 카쯔미/‘자이니찌’의 변용/역사인식을 둘러싸고/한국의 ‘자기반성’―민족주의 비판/문화를 통한 대화의 심화
3. 사상 틀의 변화와 탈식민지화의 과제
노무현 정권과 한일관계/사상 없는 시대/과거청산작업의 역사적 의의/신자유주의와 뉴라이트의 대두/민족주의의 성숙과 확대
결론을 대신하여_기억과 시선, 그리고 사상을 논하는 것의 의미
일본과 한국의 현재/‘기억’과 내셔널리즘/‘화해’에 대하여/어떻게 살아갈 것인가-‘사상’을 논하는 의미
인터뷰_나의 ‘사상체험’
옮긴이의 말
현대사 연표_남북한․일본·재일조선인
인용문헌
인명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