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지사항 - 제목 :『고대일본 기나이지방의 조선계통문벌들에 관한 연구』 □ 해제 이 책은 조선계통 문벌들이 고대일본의 중심지였던 기나이지방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조선인이 고대일본의 사회발전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한다. 먼저「신찬성씨록」을 통해 고대일본의 국가형성과 발전과정에서 큰 정치적 세력을 가지고 있는 조선계통 문벌들에 대하여 고찰한다. 그다음 조선계통 문벌들이 기나이지방에 정착하여 마을을 이루고, 나아가 더 큰 세력을 형성하고 있는 양상을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6~7세기 중엽의 중요한 사건들을 통해 일본 야마또 통일국가 형성과정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발휘한 문벌들은 조선계통 문벌이었음을 밝힌다. □ 키워드 고대일본, 기나이, 조선계통 문벌, 「신찬성씨록」, 야마또왕정 □ 목차 머리말 제1편《신찬성씨록》에 반영된 조선계통 문벌들 제2편 고대일본 기나이지방의 조선계통 문벌들의 분포 제3편 6세기~7세기중엽 야마또왕정의 국토 통합에서 주동적역할을 한 기나이 지방의 조선 계통 문벌들
- 지은이 : 김은택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사회과학출판사
- 출판연도 : 1993
- 총페이지 수 : 248p
제1장.《신찬성씨록》의 편찬경위와 기본내용
제1절.《신찬성씨록》의 펀찬경위
제2절.《신찬성씨록》의 기본내용
제2장.《신찬성씨록》에 반영된 고래일본왕정에서 패권을 쥔 조선계통 문벌들
제1절.《신찬성씨록》제번조, 미정잡성조에 반영된 조선계통 문벌들
제2절.《신찬성씨록》신별조, 미정잡성조에 반영된 조선계통 문벌들
제3절.《신찬성씨록》황별조, 미정잡성조에 반영된 조선계통 문벌들
제4절. 고대일본왕정에서 패권을 쥔 조선계통 문벌들
제1장. 기나이 5국 조선계통 문벌들의 분포
제1절. 이즈미국안의 조선계통 문벌들
제2절. 가와찌국안의 조선계통 문벌들
제3절. 셋쯔국안의 조선계통 문벌들
제4절. 야마또국안의 조선계통 문벌들
제5절. 야마시로국안의 조선계통 문벌들
제2장. 수도 헤이앙경의 조선계통 문벌들의 분포
제1절. 수도 좌경안의 조선계통 문벌들
제2절. 수도 우경안의 조선계통 문벌들
제1장. 국토통합의 첫 시기 주동적역할을 논 가야, 백제 세력
제1절.《신무동정》
제2절.《4도평정》
제3절.《구마소, 에미시 정벌》
제2장. 국토통합이 본격화되던 시기에 주동적 역할을 한 조선계통 문벌들
제1절. 미야께의 설치
제2절.《신라정벌》
제3절. 587년 무장정변
제3장. 7세기중엽 3대사변에서 우세를 차지한 조선계통 문벌들
제1절. 645년《평화정변》
제2절. 663년《백제지원출병》
제3절. 672년《임신의 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