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북한자료소개

『고구려이야기(증보판)』(조희승 지음, 사회과학출판사, 2010)

조회수 3710 link 복사

□ 서지사항

- 제목 :『고구려이야기(증보판)』
- 지은이 : 조희승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사회과학출판사
- 출판연도 : 2010
- 총페이지 수 : 247p

□ 해제

 북한에서 고구려는 고조선의 정통성을 승계한 나라이고, 평양은 민족문화의 중심지로 간주되고 있다. 2004년부터 북한학계에서는 동북공정에 대한 비판 연구들이 나오기 시작하였는데, 2007년에 나온「고구려이야기」는 대표적인 연구이다. 이 책은「고구려이야기」의 내용을 증보한 것이다. 북한에 위치한 고구려 유적들을 소개하면서 고구려의 강대성을 논증한다. 고구려의 문화가 고대 일본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주장이 새롭게 제기되었다.

□ 키워드

고구려, 왕릉, 장수산성, 광개토왕릉비, 덕흥리고분

□ 목차

머리말

1. 고구려의 건국
1) 해와 달의 아들
2) 졸본에서 나라를 세우다
3) 국호와 건국년대

2. 천하를 굽어본 천자의 나라
1) 해와 달의 아들이 천하를 다스린다
2) 고구려의 강성
3) 장성을 넘어

3. 고구려의 력사적증거물 왕릉
1) 임금의 초상이 있는 무덤
2) 장수산성

4. 광개토왕과 유주자사 진
1) 세계적인 비석
2) 덕흥리고분의 주인공

5. 평양천도와 왜나라땅에 개겨진 고구려의 발자취
1) 평양천도
2) 대성산
3) 왜나라땅에 새겨진 고구려의 발자취

6. 살수와 안시성
1) 푹군과 명장
2) 당 태종과 양만춘
3) 공포의 대상 고구려산성

7. 연개소문과 그의 아들
1) 다섯개의 칼을 찬 사나이
2) 역사적 운명

[부 록]
1. 고구려풍습을 통해 본 조선민족의 력사적전통
 1) 온돌(구들)
 2) 윷놀이
2. 고구려사신의 중앙아시아행사
3. 고구려는 조선의 자주적주권국가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