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북한자료소개

『력사적 유물론 중(中)』(쏘련 과학 아까데미야 철학 연구소 지음, 조선로동당출판사, 1953)

조회수 3730 link 복사

서지사항

- 제목 :『력사적 유물론 중(中)』
- 지은이 : 쏘련 과학 아까데미야 철학 연구소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조선로동당출판사
- 출판연도 : 1953
- 총페이지 수 : 572p

해제

『력사적 유물론』은 쏘련 국립 정치 서적 출판사에서 간행한 로문판(一九五○년)을 번역한 것으로서 출판 편의상 상·중·하로 나누어져 있다. 이 책의 옮긴이는 ‘력사적 유물론’의 체계적 서술에 대한 필요성을 절감하여 쏘련 과학 아까데미야 철학 연구소에서 집필된 내용을 번역한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또한 본서의 집필에 있어서 저자들이 지침으로 삼은 것은 스탈린의 『변증법적 및 력사적 유물론에 관하여』라고 밝힌다.

키워드

국가, 혁명, 민족, 계급, 전쟁

목차

제 7 장 국가와 법률
제 1 절 경제적 토대에 대한 정치적 상부 구조로서의 국가
 국가의 본질에 관한 문제를 혼란시키려는 부르죠아 이데올로그들의 지향 
 국가의 정의 
 국가 및 그 권력 도구의 중요한 표징
제 2 절 국가의 기능 
 국가의 대내적 기능
 국가의 대외적 기능 
 부르죠아 국가의 『전 국민적』 기능에 관한 부르죠아 할성의 허위성
제 3 절 법률과 그 계급적 본질 
 법률은 경제적 관계의 반영이다
제 4 절 국가 및 법률의 기원 
 아테네 노예 소유자 국가의 발생 
 로마인, 게르만인 및 스라브인에게 있어서의 국가 발생의 특이성 
 법률의 발생
제 5 절 국가의 형과 형태 
 노예 소유자 국가 
 봉건 국가
 부르죠아 국가 
 부르죠아 민주주의의 국한성과 형식적 성격 
 제국주의 국가

제 8 장 맑스-레닌주의 혁명론
제 1 절 사회 혁명은 한 사회 경제 구성으로부터 다른 사회경제 구성에로의 이행의 법칙이다 
 사회 혁명의 제 원인 
 모든 혁명의 주요 문제 
 혁명의 성격과 추동력
제 2 절 부르죠아 혁명과 부르죠아-민주주의 혁명 
 프로레타리아 혁명의 경제적 기초 
 사회주의 혁명의 력사적 역할 
 프로레타리아 혁명과 부르죠아적 국가 기관의 파괴 
 사회주의 혁명의 동력
제 4 절 혁명 승리의 객관적 조건과 주관적 조건 
 혁명적 정세
 무장 폭동
 레닌주의 당은 사회주의 혁명의 지도적 및 향도적 력량이다
제 5 절 세계 프로레타리아 혁명의 발전 
 처음에는 1 개국에서 사회주의의 승리가 가능하다는 레닌-쓰딸린의 학설 
 세계 혁명의 단서이며 그의 진전의 토대로서의 위대한 사회주의 10월 혁명 
 개량주의의 파멸, 레닌주의의 승리

제 9 장 쏘베트 사회주의 국가
제 1 절 프로레타리아트 독재는 국가의 새로운 형이다 
 프로레타리아트 독재와 종래의 모든 형의 국가와의 근본적 차이 
 프로레타리아트 독재의 세가지 방면 
 계급 사회에 있어서의 민주주의의 최고형으로서의 프로레타리아트 독재
제 2 절 쏘베트는 프로레타리아트 독재의 국가 형태이다 
 사회의 정치적 조직의 새로운 형태인 쏘베트의 레닌에 의한 발견 
 쏘베트와 부르죠아 의회주의와의 근본적 차이 
 프로레타리아트 독재의 체제 
 공산당은 프로레타리아트 독재 체제에 있어서의 지도력이다 
 프로레타리아트 독재의 한 형태로서의 인민 민주주의 정체
제 3 절 쏘베트 다민족 국가
제 4 절 쏘베트 사회주의 국가 발전의 제 1 단계 
 전복된 국내 착취 계급 진압의 기능
 외부의 침공으로부터의 국방의 기능 
 쏘베트 국가 기관의 경제-조직자적 및 문화-교양자적 사업의 기능
제 5 절 쏘베트 사회주의 국가 발전의 제 2단계 
 국내에서의 군사적 진압의 기능의 소멸과 사회주의적 소유의 보호의 기능의 출현 
 외부의 침공으로부터 나라를 군사적으로 방위하는 기능의 그 후의 발전 
 경제-조직자적 및 문화-교양자적 기능의 발전 
 제2발전 단계에 있어서의 쏘베트 국가 형태의 변화
제 6 절 쏘베트 법률 
 쏘베트 법률은 법률의 최고 형이다
제 7 절 쏘베트 국가의 위력의 원천
사회주의 국가를 백방으로 강화할 필요성에 대한 레닌과 쓰딸린의 론증 
 
쏘베트 정권은 세계에서 가장 공고한 정권이다

제 10 장 쏘련에서의 착취 계급들의 청산과 계급적 차이의 근절 방도
제 1 절 자본주의로부터 사회주의로 이행하는 시기에 있어서의 쏘련에서의 제 계급 및 계급 투쟁 
 위대한 사회주의 10월 혁명의 승리와 지주 및 대 자본가 계급의 청산 
 프로레타리아트와 농민은 과도기에 있어서의 쏘베트 사회의 기본 계급이다 
 프로레타리아트 독재 시기에 있어서의 계급 투쟁의 새로운 형태 
 쏘련 경제의 사회주의적 개조와 자본주의적 요소의 청산 
 쏘련 근로자들의 계급 투쟁 경험의 국제적 의의 
 쏘베트 사회의 계급적 구성의 변동 
 쏘련 인구의 계급적 구성 
 로동 계급, 농민, 인텔리겐챠의 사회적 본성의 변화 
 쏘베트 사회의 정신-정치적 통일 
 볼쉐이크 당은 쏘련 근로자들의 선봉대이다 
 로동 계급과 농민과 인텔리겐챠 간의 경계의 소멸 
 사람들의 의식 속에 있는 자본주의적 잔재와의 투쟁

제 11 장 맑스-레닌주의와 민족-식민지 문제
제 1 절 맑스주의적 민족론 
 민족이란 무엇인가? 
 민족의 관념론적 정의에 대한 비판
제 2 절 민족 운동과 민족-식민지 문제 
 민족 국가 및 다 민족 국가와 민족 운동의 발생 
 민족 해방 운동사에 있어서의 세 시기 
 민족 문제의 설정
제 3 절 민족 문제의 맑스-레닌주의적 해결 
 자본주의 하에서의 민족 문제의 두 경향 
 민족 문제 해결의 레닌-쓰딸린적 강령 
 오스트리야 사회 민주당과 분드의 민족주의적 강령에 대한 비판
제 4 절 쏘련에서의 민족 문제의 해결 
 쏘베트 민족 정책의 원칙 
 쏘베트적 련방과 자치 
 제 민족의 실제적 (경제적 및 문화적) 불평등의 청산 
 쏘련의 제 민족의 형식에 있어서는 민족적이며 내용에 있어서는 사회주의적인 문화의 번영
제 5 절 쏘련의 제 민족의 친선과 부르죠아 민족주의와의 투쟁 
 쏘련의 제 민족의 친선은 사회주의의 성과이다 
 부르죠아적 민족과 사회주의적 민족에 관한 쓰딸린 동지의 견해 
 부르죠아 민족주의를 반대하는 투쟁
제 6 절 현 단계에 있어서의 민족-식민지 문제와 제국주의 침략을 반대하는 투쟁, 쏘련은 제 민족의 자유와 독립의 성새

제 12 장 맑스-레닌주의와 전쟁
제 1 절 전쟁의 기원과 본질
 전쟁은 폭력 수단에 의한 정치의 연장이다
 정의의 전쟁과 부정의의 전쟁 
 전쟁의 기원 및 본질에 관한 반 맑스주의적 리론의 불 타당성과 반동성 
 군대는 전쟁 수행의 주요한 도구이다
제 2 절 제국주의 시기 이전의 전쟁의 성격
제 3 절 제국주의 및 프로레타리아 혁명 시대의 전쟁 
 자본주의 제국의 발전의 불균형성과 제국주의 전쟁 
 부르죠아지를 반대하는 프로레타리아트의 국내 전쟁 
 제국주의의 압박으로부터의 해방을 위한 식민지 및 예속 국가 인민들의 민족 해방 전쟁
제 4 절 제국주의자들의 공격으로부터 사회주의 조국을 수호하기 위한 쏘련 인민들의 무장 투쟁 
 1918-1920년의 국내전쟁은 두제도 즉 사회주의와 자본주의의 전쟁이다 
 1941-1945년의 쏘련의 위대한 조국 전쟁과 그 특성 
 평화를 위한 사회주의 국가의 투쟁 
 제 5 절 생산 방법과 전쟁 수행 방법 
 생산 발전에 따르는 전쟁 수행 방법의 변화 
 현대전에 있어서 군사 기재와 인간 
 쏘베트 군사 기술과 부르죠아 군사 기술에 대한 그의 우월성 
 쏘베트 군사학과 위대한 조국 전쟁에서의 그 승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