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북한자료소개

『력사적 유물론 상(上)』(쏘련 아까데미야 철학 연구소 지음, 조선로동당출판사, 1953)

조회수 3666 link 복사

서지사항

- 제목 :『력사적 유물론 상(上)』
- 지은이 : 쏘련 아까데미야 철학 연구소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조선로동당출판사
- 출판연도 : 1953
- 총페이지 수 : 609p

해제

『력사적 유물론』은 쏘련 국립 정치 서적 출판사에서 간행한 로문판(一九五○년)을 번역한 것으로서 출판 편의상 상·중·하로 나누어져 있다. 이 책의 옮긴이는 ‘력사적 유물론’의 체계적 서술에 대한 필요성을 절감하여 쏘련 과학 아까데미야 철학 연구소에서 집필된 내용을 번역한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또한 본서의 집필에 있어서 저자들이 지침으로 삼은 것은 스탈린의 『변증법적 및 력사적 유물론에 관하여』라고 밝힌다.

키워드

력사적 유물론, 토대와 상부구조, 생산력, 생산관계, 계급

목차

서문

제 1 장 과학으로서의 력사적 유물론
제 1 절 력사적 유물론의 대상
제 2 절 력사적 유물론의 창시는 과학에 있어서의 최대의 혁명이다
 력사적 유물론의 창시 이전의 사회학 및 편사학에 있어서의 관념론의 전단적 지배 
 사회 발전의 합법칙성 발견에의 제 1 보 
 력사적 유물론의 발생
 변증법적 유물론과 력사적 유물론과의 통일
제 3 절 력사적 유물론과 사회 발전 법칙
 사회의 물질 생활 조건은 사회의 정신 생활 형성의 근원이며 정치 기관 발생의 근원이다
 토대와 상부 구조
 사회의 력사는 인민 대중의 력사이다
 합법칙적 발전으로서의 사회 발전 
 사회적 법칙과 자연 법칙의 동일시는 허용할 수 없다 
 사회 경제 구성 
 일반적인 력사 법칙과 특수적인 력사 법칙
제 4 절 력사적 합법칙성과 인간의 의식적 활동 
 사회 발전은 자연사적 과정이다
 사회 발전은 인간의 능동적 활동을 통하여 실현된다
 사회 발전 법칙의 인식과 그 파악
제 5 절 현대 부르죠아 사회학의 파산
제 6 절 레닌 및 쓰딸린에 의한 력사적 유물론의 발전
제 7 절 력사적 유물론의 당성

제 2 장 사회의 물질적 생활의 제 조건
제 1 절 지리적 환경 
 사회의 물질적 생활 조건의 하나로서의 지리적 환경 
 사회학에 있어서의 지리학적 류파의 비판 
 자연에 대한 사회의 반 작용
제 2 절 인구의 증가 
 사회 발전에 있어서의 인구 증가의 의의에 관한 부르죠아적 제 리론의 비판 
 맑스-레닌주의와 사회 발전에 있어서의 인구 증가의 의의
제 3 절 생산 방법은 사회 발전의 결정적 힘이다 
 물질적 부의 생산은 사회의 생활적 기초이다 
 로동 과정의 기본 요소
 생산력 
 생산 제 관계 
 생산 방법

제 3 장 생산의 세가지 특징
제 1 절 생산의 첫째 특성 
 생산의 부단한 변화와 발전 
 몇세기에 걸쳐서 호상 교체하는 생산 방법의 력사로서의 사회 력사
제 2 절 생산의 둘째 특성 
 생산력 발전의 원천 
 생산력과 생산 관계와의 호상 작용
제 3 절 생산의 셋째 특성 
 새로운 생산력 발생의 자연 생장성은 무엇으로써 설명되는가? 
 발전의 자연생장적 과정으로부터 력사의 의식적 창조에의 이행

제 4 장 원시 공동체적, 노예 소유자적, 봉건적 및 자본주의적 사회 구성에 있어서의 생산력과 생산 관계의 발전
제 1 절 원시공동체 제도의 생산력과 생산관계 
 인간 및 사회의 기원 
 원시 사회의 생산력의 발전 
 원시 공동체 제도의 생산 관계 
 원시 공동체 제도의 붕괴의 원인
제 2 절 노예 소유 사회의 생산력 및 생산 관계의 발전 
 노예 소유자 사회의 생산력 
 노예 소유자 사회의 생산 관계 
 사회 발전에 있어서의 노예 소유자적 생산 방법의 의의 
 노예 소유자적 생산 방법의 모순과 그 멸망의 원인
제 3 절 봉건 사회의 생산력과 생산 관계 
 봉건적 생산 방법의 발생 
 봉건적-농노제적 생산 관계 
 봉건 사회에 있어서의 생산력의 발전 
 봉건적 착취 형태의 발전
 봉건적 생산 방법의 모순 
 자본주의적 생산 방법 발생의 전제 조건
제 4 절 자본주의 사회에 있어서의 생산력과 생산 관계의 발전 
 자본주의 사회의 생산력
 자본주의적 생산관계 
 자본주의의 조건 하에서의 생산력 발전의 동인 
 자본주의 하에서의 생산력 발전의 적대적 성격
 자본주의의 기본 모순 
 자본주의 하에서의 독점의 지배 
 제국주의 시대에 있어서의 경쟁과 생산의 사회화 
 금융 과두 정치의 지배 
 부패하며 사멸하여 가는 자본주의로서의 제국주의의 기본 특징 
 제국주의 시대에 있어서의 자본주의의 제 모순의 첨예화, 제국주의는 사회주의의 전야이다 
 자본주의의 일반적 위기

제 5 장 사회주의 사회의 생산력과 생산 관계
제 1 절 사회주의적 생산 방법 발생의 제조건 
 사회주의적 생산 방법의 발생의 객관적 및 주관적 제 전제 
 과도기에 있어서의 사회주의 세력과 자본주의 세력과의 투쟁
 국가의 사회주의적 공업화 
 농민경제의 집단화
제 2 절 사회주의 사회의 생산력 
 사회주의 제도 하에서의 기술의 역할 
 농업에 있어서의 기술 혁명 
 가장 중요한 생산력은 사회주의 사회의 사람들이다
제 3 절 사회주의적 생산 관계 
 협력과 호상 원조의 사회주의적 관계 
 사회주의적 소유의 두가지 형태 
 제 4 절 사회주의적 생산방법의 기본 특징 
 사회주의적 생산 방법과 자본주의적 생산 방법의 근본적 대립 
 생산 관계와 생산력과의 완전한 일치는 사회주의적 생산 방법 발전의 중요 근원이다 
 생산력 발전에 있어서의 사회주의 국가 및 그 경제 정책의 결정적 역할 
 사회주의적 분배 방법은 생산력 발전의 강력한 자극이다 
 사회주의 경쟁은 생산력 발전의 유력한 근원 
 과학과 사회주의 사회의 생산력 발전에 대한 그 영향

제 6 장 계급 및 계급 투쟁에 관한 맑스-레닌주의적 리론
제 1 절 계급 및 계급 투쟁에 관한 맑스-레닌주의적 리론의 의의 
 계급 및 계급 투쟁에 관한 맑스-레닌주의적 리론과 이에 대한 종전의 제 리론과의 근본적 차이
제 2 절 계급의 정의
제 3 절 계급의 발생 
 계급 발생의 전제 조건 
 계급 형성의 경로 
 폭력론에 대한 비판
제 4 절 노예 소유자적 봉건적 및 자본주의적 사회의 계급적 구조 
 생산 방법과 사회의 계급적 구조 
 전 자본주의 사회의 계급적 구조 
 자본주의 사회의 계급적 구조의 특수성 
 부르죠아지와 프로레타리아트와의 적대적 관계 
 자본주의 제도 하에 있어서의 비 기본 계급 
 자본주의 사회의 사회 간층
제 5 절 프로레타리아트의 력사적 역할과 그 계급 투쟁 
 프로레타리아트는 철저하게 혁명적인 유일한 계급이다 
 프로레타리아트의 계급 투쟁의 형태 
 사회주의 혁명은 자본주의 전복의 결정적 수단이다 
 개량주의적 계급 『협조론』에 대한 비판
제 6 절 계급과 당 
 정당의 계급적 본질 
 부르죠아 당과 소부르죠아 당 
 프로레타리아 당 
 새로운 형의 당-볼쉐이크 당의 특성
제 7 절 현 단계에 있어서의 자본주의 제국의 계급 투쟁 
 제 2차 세계 대전 후의 계급적 력량 배치의 변동과 계급 투쟁의 첨예화 
 공고한 평화와 민족적 독립과 민주주의와 사회주의를 위한 프로레타리아트의 투쟁 
 로동 계급의 통일을 위한 투쟁
제 8 절 계급 절멸의 길 
 계급절멸과 계급없는 공산주의 사회의 수립은 프로레타리아트 당의 종국적 목적이다
 프로레타리아트의 가렬한 계급 투쟁에 의한 계급의 절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