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북한자료소개

『미래세대와 생태윤리』(한면희 지음, 철학과 현실사, 2007)

조회수 4054 link 복사

□ 서지사항

- 제목: 『미래세대와 생태윤리』
- 지은이: 한면희
- 출판국가, 도시: 대한민국, 서울
- 출판사: 철학과 현실사
- 출판연도: 2007
- 총페이지 수 : 397p

□ 해제

 생태윤리학 입문서. 이 책은 생태윤리의 필요성을 통해 미래 세대를 위한 환경 보전 방법과 환경윤리를 지키는 방법을 담고 있다. 또한 지속가능한 발전 이념과 정책 등의 내용을 다양한 사례(울산 모기 마을, 우포늪과 주남저수지, 서울대공원 동물 사례, 새만금 갯벌 사례 등)를 통해 분석·제시하고 있다.

□ 키워드

생태윤리, 환경윤리, 자연관, 동물 권리, 정책

□ 목차

머리말

제 1 장 생태윤리의 필요성
1. 환경 현장, 울산 모기 마을 사례
2. 환경문제와 학문 연계적 접근
3. 생태윤리의 필요성

제 2 장 자연에 대한 인간의 의무
1. 지구촌 환경재난의 현황
2. 생태윤리의 지위, 응용인가 대안인가?
3. 인간 중심적 환경윤리와 권리, 그리고 의무
4. 자연의 가치와 인간의 의무
5. 생태윤리와 가치 그리고 의무

제 3 장 생태학과 윤리 그리고 정책
1. 우포늪과 주남저수지의 생태계
2. 생태학의 자연 이해
3. 생태학과 현대 물리학의 방법론
4. 생태적 윤리와 정책

제 4 장 인간 중심적 환경윤리와 자연의 도구적 가치
1. 전통의 윤리와 인간 중심주의
2. 인간 중심적 환경윤리: 전통윤리의 응용
3. 자연의 도구적 가치와 현실적 효용성
4. 평가

제 5 장 환경권과 미래세대 그리고 정책
1. 세계적인 원자력발전소 사고
2. 환경윤리와 환경권, 그리고 미래세대
3. 미래세대를 위한 자연보존과 정책
4. 평가

제 6 장 생태윤리와 경제 그리고 문화
1. 문화와 경제
2. 지구촌 경제와 환경
3. 환경경제학과 한계
4. 생태주의 윤리와 생태경제학
5. 지속 가능한 문화

제 7 장 동물 해방론
1. 서울대공원 동물의 비극
2. 피터 싱어의 동물 해방론
3. 실험실과 농장 동물의 고통
4. 평가

제 8 장 동물 권리론과 채식주의
1. 규범 윤리학의 목적론과 의무론
2. 의무론으로 본 동물 해방론의 한계
3. 톰 레간의 동물 권리론
4. 채식주의
5. 평가

제 9 장 생물 중심적 환경윤리
1. 환경윤리와 생명 존중
2. 생명 존중의 윤리적 정당화
3. 식물의 생존 투쟁
4. 폴 테일러의 생물 중심적 환경(자연)윤리

제 10 장 가이아 가설과 생태윤리
1. 러브록과 가이아 신화의 새로운 부활
2. 가이아 가설과 지구 생명체
3. 가이아 생태윤리
4. 가이아 생태윤리 평가
5. 가이아 생명관의 평가
6. 평가

제 11 장 생태 중심주의 윤리
1. 새만금 갯벌의 가치
2. 생태 중심주의와 자연의 내재적 가치
3. 심층 생태주의와 인간의 책임
4. 평가와 전망

제 12 장 대지의 윤리
1. 존 뮤어와 초기 자연보호 운동
2. 알도 레오폴드와 대지의 윤리
3. 캘리콧과 자연의 고유한 가치
4. 평가

제 13 장 사회 생태주의 윤리
1. 환경위기와 사회적 원인
2. 아나키즘의 이념
3. 사회 생태주의와 윤리
4. 평가와 전망

제 14 장 생태 여성주의 윤리
1. 급진적 생태주의의 대두
2. 페미니즘의 흐름
3. 생태 여성주의와 윤리
4. 평가과 전망

제 15 장 환경정의와 정책
1. 왜 환경정의의 눈이 필요한가?
2. 정의란?
3. 사회정의의 초록화, 환경정의
4. 새 시대의 환경정의와 정책

제 16 장 동아시아 자연관과 생명사상
1. 왜 동아시아를 주목해야 하는가?
2. 동아시아의 자연관과 생명사상
3. 동아시아 의학과 인체 이해
4. 우리 민족 고유의 생명사상
5. 평가와 전망

제 17 장 동아시아 생태윤리와 자연의 가치
1. 자연과 인류의 상생, 인도적 생태주의의 길
2. 동아시아의 기-생태주의와 윤리, 그리고 자연의 온가치
3. 기-생태주의 지리 인식과 고유한 문화
4. 기-생태주의의 규범적 원리
5. 평가와 전말

제 18 장 지속 가능한 발전의 이념과 정책
1. 지속 가능한 발전 개념의 태동 배경
2. 지속 가능한 발전의 이념
3. 지속 가능한 발전의 정책
4. 생태적 근대화
5. 평가와 전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