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지사항
- 제목 :『력사적 유물론 하(下)』
- 지은이 : 쏘련 과학 아끼데미야 철학 연구소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조선로동당출판사
- 출판연도 : 1954
- 총페이지 수 : 608p
□ 해제
『력사적 유물론』은 쏘련 국립 정치 서적 출판사에서 간행한 로문판(一九五○년)을 번역한 것으로서 출판 편의상 상·중·하로 나누어져 있다. 이 책의 옮긴이는 ‘력사적 유물론’의 체계적 서술에 대한 필요성을 절감하여 쏘련 과학 아까데미야 철학 연구소에서 집필된 내용을 번역한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또한 본서의 집필에 있어서 저자들이 지침으로 삼은 것은 스탈린의 『변증법적 및 력사적 유물론에 관하여』라고 밝힌다.
□ 키워드
인민 대중, 사회적 의식, 이데올로기, 사회주의, 공산주의
□ 목차
제 13 장 력사에 있어서의 인민 대중 및 개인의 역할
제 1 절 력사에 있어서의 개인의 역할에 대한 주관적 관념론적 견해와 그의 파산
력사에 있어서의 개인의 역할에 대한 주관적-관렴론적 견해의 발생
력사에 있어서의 개인의 역할에 대한 주관적 관념론적 견해의 최근의 변종
력사에 있어서의 개인의 역할에 관한 현대의 반동적 제국주의적 『리론』
력사에 있어서의 인민 대중의 역할에 대한 관념론적 리론의 파산
제 2 절 숙명론과 그에 의한 력사에 있어서의 개인의 역할의 부정
신의설
력사적 과정에 대한 부르죠아 객관주의적 구상
제 3 절 인민은 력사의 창조자이다
력사에 있어서의 인민 대중의 역할에 대한 로씨야의 혁명적 민주주의자들의 견해
맑스-레닌주의와 생산 발전에 있어서의 인민 대중의 역할
정신 문화의 창조에 있어서의 인민 대중의 역할
쏘베트 인민은 공산주의의 창조자이며 건설자이다
제 4 절 력사에 있어서의 개인의 역할
위대한 인물의 활동의 의의
력사는 영웅을 창조한다
력사에 있어서의 우연성의 역할에 대하여
계급과 그 지도자
제 5 절 로동 계급의 지도자―맑스, 엥겔쓰, 레닌, 쓰딸린의 세계사적 역할
프로레타리아트의 혁명적 투쟁에 있어서의 지도자의 의의
프로레타리아적 지도자의 형
맑스와 엥겔쓰의 전 세계사적 역할
레닌과 쓰딸린은 국제 프로레타리아트의 지도자이며 맑스-엥겔쓰의 학설과 사업의 위대한 계승자이다
제 14 장 사회적 의식과 그 제 형태
제 1 절 사회의 물질적 생활 제 조건의 반영으로서의 사회적 의식
사회적 의식의 발전에 대한 관념론적 견해의 파산성
이데올로기적 상부 구조와 경제적 토대에의 그 의존성
정신 로동의 육체 로동으로부터의 분리와 이델로로기의 발전에 대한 그 영향
이데올로기의 발전에 있어서의 계승성과 련관성. 이데올로기적 상부 구조의 발전의 상대적 독립성
제 2 절 이데올로기의 계급적 본질
노예 사회의 이데올로기
봉건 사회의 이데올로기
부르죠아지의 이데올로기
프로레타리아트의 이데올로기
제 3 절 사회적 존재에 대한 사회적 의식의 반작용
사회 발전에 있어서의 사상의 역할
제 4 절 사회적 의식의 제 형태
사회적 의식의 각이한 형태의 상호 관계
사회적 이데올로기와 심리
제 5 절 도덕
도덕이란 무엇인가?
도덕의 발생과 그 규범의 가변성
도덕의 발전에 대한 각종 사회적 의식 형태의 영향
도덕의 계급적 성격
부르죠아적 도덕
현대 부르죠아지의 패덕주의
공산주의적 도덕
쏘베트 사회에 있어서의 법률과 도덕과의 통일
공산주의적 도덕은 가장 고상한 도덕이다
제 6 절 종교
종교란 무엇인가?
종교의 기원
종교적 관념 및 견해에 있어서의 사람들의 물질적 생활 조건의 환상적 반영
기독교의 발생과 발전
자본주의 조건 하에서의 종교의 사회적 근원
종교와 과학의 근본적 대립
맑스-레닌주의와 반종교 투쟁
제 7 절 예술
예술이란 무엇인가?
미의 개념
예술 발전의 특수성
예술의 계급적 성격의 레닌적 분석
제국주의 시대의 부르죠아 예술과 그 반동적 역할
사회주의적 예술
사회주의 사회의 생활에 있어서의 예술의 의의
제 8 절 철학
사회적 의식의 한 형태로서의 철학
철학 상에 있어서의 두근본적 유파, 철학의 당파성
변증법적 유물론의 발생은 철학 상에 있어서의 혁명이다
부르죠아 철학의 파산과 쇠퇴
제 9 절 과학
과학이란 무엇인가?
과학의 기원
고대 사회에 있어서의 과학의 발전
봉건 사회에 있어서의 과학
문예 부흥 및 자본주의 시대에 있어서의 과학
과학에의 쏘련 인민의 위대한 기여
제국주의 시대에 있어서의 과학
과학 발전에 있어서의 계급 투쟁의 반영
사회주의 하에서의 과학
제 15 장 쏘베트 사회의 발전에 있어서의 사회주의적 의식의 역할
제 1 절 사회주의적 의식의 형성 과정
사회주의적 의식의 형성에 있어서의 공산당의 지도적 역할
쏘련 인민의 사회주의적 의식의 형성
제 2 절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의 기본 특징. 쏘베트 사람의 정신적 풍모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와 심리
사회주의 이데올리기의 혁명성
집단주의는 쏘베트 사람의 정신적 풍모의 특징이다
쏘베트 사람들의 로동에서의 영용성
쏘베트 애국주의
사회주의적 의식의 국제주의
사회주의적 인도주의와 민주주의
락관주의
제 3 절 사회주의 사회의 발생 및 발전에 있어서의 과학적 사회주의 리론의 역할
맑스-레닌주의는 행동의 지침이다
두 길, 두 총화
과학적 리론은 사회주의 사회 건설에 있어서의 지침이다
사회주의 하에 있어서의 자연 생장성과 의식성과의 호상 관계의 근본적 변화
과학적 예견의 위대한 힘
제 4 절 맑스-레닌주의 리론과 대중의 공산주의적 교양
쏘베트 사람들의 의식 속에 남아 있는 자본주의 잔재들 반대하는 투쟁
간부들의 이데올로기적 단련과 리론적 무장
근로자들의 공산주의적 교양
제 16장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제 1 절 공산주의 사회의 두 계단
사회주의와 공산주의는 새로운 사회의 경제적 성숙의 두 계단이다
사회주의와 공산주의의 기초의 공통성
사회주의와 공산주의와의 기본적 차이
제 2 절 사회주의로부터 공산주의에로의 점진적 이행에 관하여
사회주의로부터 공산주의에로의 이행의 점진성
공산주의에로의 이행을 보장하는 가장 중요한 조건으로서의 쏘련의 기본적 경제적 제 임무의 해결
도시와 농촌간의 대립의 폐절
정신 로동과 육체 로동간의 대립의 폐절
로동에 의한 분배로부터 요구에 의한 분배로
공산주의에로의 이행의 조건인 대중의 공산주의적 의식성의 장성
제 3 절 쏘베트 국가는 공산주의 건설의 주요한 도구이다
쏘베트 국가를 백방으로 강화하여야 할 필요성
사회주의로부터 공산주의에로의 이행에 있어서의 사회주의 국가의 기능
제 17 장 사회주의 사회 발전의 추동력
제 1 절 사회주의적 경제 체제는 쏘베트 사회의 경제적 토대이다
생산 발전의 새로운 추동력
사회주의 사회의 경제적 토대의 발전과 그 상부 구조의 발전과의 사이의 련관
제 2 절 쏘베트 사회의 발전에 있어서의 정치적 상부 구조의 역할
쏘베트 사회에 있어서의 정치와 경제와의 호상 관계
제 3 절 쏘련 제 인민 간의 정신-정치적 통일과 친선, 쏘베트 애국주의, 쏘베트 사회의 추동력으로서의 비판과 자기 비판
쏘베트 사회의 정신-정치적 통일은 그 발전의 추동력이다
쏘련 제 인민 간의 친선은 쏘베트 사회 발전의 추동력이다
쏘베트 애국주의는 사회주의 사회 발전의 추동력이다
비판과 자기 비판은 사회주의 사회의 발전의 추동력이다
제 18 장 레닌-쓰딸린 당은 쏘베트 사회의 령도적 향도적 력량이다
제 1 절 쏘베트 사회 발전에 있어서의 볼쉐이크 당의 령도적 향도적 역할
프로레타리아트에 의한 정권 전취 이후에 있어서의 당의 역할 및 의의의 증대
쏘베트 사회의 발전에 대한 당의 의식적 령도
쏘베트 사회의 정신-정치적 통일과 볼쉐이크 당의 향도적 역할
제 2 절 볼쉐이크 당은 쏘베트 인민의 수령이며, 조직자이며 교양자이다
공산당은 쏘베트 인민의 정치적 령도자이다
쏘베트 인민의 조직자로서의 당
쏘베트 인민의 교양자로서의 당
제 3 절 공산주의의 건설과 당의 가일층의 강화
당의 사상적 및 조직적 단결의 강화
공산당을 강화하는 수단으로서의 비판과 가지 비판
대중과의 련계는 당의 힘의 원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