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 탈분단의 길 : 분단폭력 트라우마와 치유
◆ 일시: 2018년 3월 24일(토) 9:50~18:00
◆ 장소: 건국대학교 인문학관 교수연구동 401호
◆ 주최: 통일인문학연구단
◆ 후원: 교육부, 한국연구재단, 건국대학교
◆ 일정:
전체사회 : 정진아 (건국대 통일인문학연구단)
개회사(9:50~10:00) : 김성민(통일인문학연구단장)
제1부(10:00~12:00) : 분단체제와 국가폭력의 논리 / 좌장 : 김귀옥(한성대 교양학부)
제1발표 : 분단체제 속 국가폭력과 분단 트라우마의 혼재 - 속초지역의 사례-
발표 : 김종군(건국대 통일인문학연구단0 / 토론 : 엄경선(속초문화원 향토사연구위원)
제2발표 : 문화 검역과 문인 간첩, 진술과 연대의 정치학 - 흐르고 번지는 말들과 체포 불/가능한 것들
발표 : 임유경(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 토론 : 이상록(국사편찬위원회)
제3발표 : 분단체제의 '국가 이성'과 학살 - 증오의 정치와 사회적 죽음
발표 : 한성훈(연세대 역사와공간연구소) / 토론 : 장세진(한림대 한림과학원)
점심식사 12:00~13:00
제2부(13:30~15:30) : 분단폭력의 치유와 사회적 기억 / 좌장 : 신동흔(건국대 국어국문학과)
제4발표 : 3.4을 기억하는 문화사적 정치
발표 : 남경우(건국대 통일인문학연구단 / 토론 : 박경열(호서대 교수학습센터)
제5발표 : 분단체제 속 5.18과 국가폭력에 맞선 사람들의 얼굴
- 영화 <꽃잎>, <화려한 휴가>, <택시운전사>를 중심으로
발표 : 박재인(건국대 통일인문학연구단) / 토론 : 김정애(건국대 문과대학)
제6발표 : 국가폭력의 구술 기억과 '여성'의 목소리
발표 : 김영희(연세대 국어국문학과) / 토론 : 이미라(연세대 학부대학)
휴식 15:30~15:50
제3부(15:50~17:50) : 애도의 공동체를 위한 정치 / 좌장 : 황혜진(건국대 국어국문학과)
제7발표 : 분단폭력의 치유와 '잘못'의 정치
발표 : 김종곤(건국대 통일인문학연구단) / 토론 : 조은평(상지대 교양대학)
제8발표 : 다음 세대의 과거청산 - 의문사 유가족 아카이브 작업을 중심으로-
발표 : 정원옥(중앙대 문화연구학과) / 토론 : 강성현(성공회대 열림교양대학)
제9발표 : 분단과 자결권, 제주4.3사건
발표 : 이재승(건국대 법학전문대학원) / 토롡 : 박찬식(제주4.3 제70주년 범국민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