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북한자료소개

『력사과학 (제5권)』(조선과학원 력사연구소 지음, 과학원출판사, 2000)

조회수 3534 link 복사

□ 서지사항

- 제목 :『력사과학 (제5권)』
- 지은이 : 조선과학원 력사연구소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과학원출판사 (남한 연문사 제본)
- 출판연도 : 2000
- 총 페이지 수 : 548p

□ 해제

 1955년부터 발행된 북한의 대표적인 역사학 잡지 ‘역사과학’을 한국에서 다시 엮은 책이다. 역사과학은 해당시기 북한의 역사학계의 학문적 논쟁점, 학적성취, 역사적 견해를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북한역사학연구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중요자료이다. 본 책은 북한 역사과학의 1957년 1호부터 6호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역사과학 5권에서는 “삼국시기의 사회경제 구성에 관한 토론회, 조선근세사의 시기구분에 관한 과학토론회, 조선봉건시대의 토지소유관계에 관한 과학토론회” 등 북한역사학계에서 진행되는 다양한 토론의 개요를 살필 수 있다.

□ 키워드

역사과학, 잡지, 토론, 시기구분, 사회경제구성

□ 목차

1.력사과학 1957년 1호
 
철학 연구실의 과업 - (1)

 론 문
  고구려≪유국 900년≫설에 관하여 - 김 일출(10)
  외래 자본주의 침입 이전에 있어서의 조선과 자본주의 렬강과의 관계 - 김 희일(16)
  변증법적 유물론의 구조에 관하여 - 송 택영(47)
 번 역
  신라 국가(3~6세기)에서의 사회―경제적 제 관계의 성격에 관하여 - 미하일 박(65)
  삼국 시기의 사회 경제 구성에 관한 토론회 - 편집부(87)
  후보 원사 리청원 저 ≪조선에 있어서 프로레 타리아트로의 헤게모니를 위한 투쟁≫에 대한 합평회 - 편집부(90)
  조선에서의 부르죠아 민족 형성에 관한 토론회 - 력사 연구소 근대 및 현대사 연구실(92)
  루마니야 방문기에서 - 김 석형(99)

2.력사과학 1957년 2호

 내 용
 
≪조국의 평화적 통일과 공화국 북반부에서의 사회주의 건설≫에 관한 과학토론회에서 나타난 몇 가지 리론적 착오에 대하여 - 김 후선
 
론 문
  1750년(영조26년)≪균역법〈均役法〉≫에 대한 간단한 고찰 - 최 병무(16)
  량한 시대의 사회 경제적 관계에 관한 약간의 문제 - 리 능식(34)
 토 론
  반일 민족 해방 투쟁에서의 프로레타리아트의 헤게모니를 위한 투쟁과 민족 부르죠아지에 대한 문제 - 김 삼룡(52)
 자 료
  조선 삼국 시대의 금석문 - 고대 및 중세사 연구실(72)
 학계소식
  1956년도 력사 연구소 사업 총화 - (98)

3.력사과학 1957년 3호

 내 용
  보천보 전투 20주년에 제하여 - (1)
  조선 력사 연구의 기초 축성을 위하여 - 김 석형(6)
 론 문
  생산력과 생산 관계의 모순에 관한 몇 가지 문제 - 황 장엽(12)
  진수의 ≪삼국지≫와 그 고구려전의 사료적 가치 - 김 일출(31)
 토 론
  조선 봉건 사회에서의 토지 소유 관계의 성격 - 로 정환(45)
 학계 소식
  쏘련 학계에서의 쏘베트 시대사 시기 구분과 중국 학계에서의 근세사 시기 구분에 관한 토론 개관(초역) - 근세 및 최근세사 연구실(60)
  루마니야 력사 과학의 발전 - 예우겐 스떼네쓰꾸(68)

4.력사과학 1957년 4호

 내 용
 론 문
  우리 나라에서의 모순의 특수성과 그 해결 방법을 위하여 - 김 후선(1)
  삼별초의 항전 - 김 증식(19)
 토 론
  민족 부르죠아지의 개념에 관한 몇 가지 문제 - 황 장엽(34)
  조선 근대사의 시기 구분에 대하여 - 리 나영(38)
  조선 근세사 시기 구분에 관한 몇 가지 의견 - 박 린형(51)
 자 료
  조선 삼국 시대의 금석문(하) - 력사 연구소 고대 및 중세사 연구실 (58)
  신라 장적 장본 - (92)
 학계 소식
  제 1차 쏘련 동방 학자 대회 참관기 - 전 석담(94)
  조선 근세사의 시기 구분에 관한 과학 토론회 - (99)

5.력사과학 1957년 5호

 내 용
  위대한 10월의 사상의 승리 - (1)
 론 문
  10월 혁명 이후의 조선 독립 문제 - 김 희일(9)
  위대한 사회주의 10월 혁명의 영향하에 전개된 1920년대 말까지의 조선 학생 운동 - 김 상룡(21)
 토 론
  해방후 조선에서 혁명적 맑스-레닌주의 당 창건의 몇 가지 력사적 전제 - 신 호근(42)
 자 료
  1919~1924년 조선 민족 해방 운동에 관한 자료 중에서 - 사료 편찬실 제공(66)

6.력사과학 1957년 6호

 내 용
  맑스-레닌주의 사상의 위대한 생활력 - (1)
 론 문
  신라 장적(新羅帳籍)의 연구 - 원사 박시형(10)
  변증법적―유물론적 론리학에서 추상화(抽象化)의 문제 - 황 막심(19)
  리조 실록에 대한 약간의 고찰 - 리 상호(38)
  우리 나라 봉건 말기의 전세의 금납에 대하여 - 장 국종(53)
 토 론
  조선 근세사 시기 구분에 관하여 - 장 문선(67)
 학계소식
  월남에서의 력사 과학의 발전 - 리 나영(73)
  반일 민족 해방 투쟁에 있어서 민족 부르죠아지에 관한 과학 토론회 - (80)
  조선 봉건 시대의 토지 소유관계에 관한 과학 토론회 - (83)
  안나 미하일로브나 빤크라또바 원사의 서거를 애도함 - (86)
  1957년 ≪력사 과학≫총 내용 - (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