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지사항
- 제목 :『력사과학 (제4권)』
- 지은이 : 조선과학원 력사연구소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과학원출판사 (남한 연문사 제본)
- 출판연도 : 2000
- 총 페이지 수 : 569p
□ 해제
1955년부터 발행된 북한의 대표적인 역사학 잡지 ‘역사과학’을 한국에서 다시 엮은 책이다. 역사과학은 해당시기 북한의 역사학계의 학문적 논쟁점, 학적성취, 역사적 견해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자료이다. 본 책은 북한 역사과학 중 1956년 1호부터 6호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본 책에서는 “조선 노예제 사회에 대한 견해”, “조선통사(상)에 대한 합평회”등의 문헌이 수록되어 있다. 특히 역사과학 1956년 제4호의 “조선 로동당 제3차 대회와 조선 력사 연구의 제 과업”에서는 조선노동당 제3차대회 이후 당면한 북한역사학계의 문제의식을 찾아볼수 있다. 구체적으로 볼 때 “교조주의를 근절하고, 주체를 올바로 찾으며, 맑스레닌주의를 창조적으로 습득 적용해야한다”는 문제제기 등 이 시기 북한현대사의 변화가 북한역사학계에 미친 영향을 찾아볼 수 있다.
□ 키워드
역사과학, 잡지, 주체, 조선통사, 노예제 사회
□ 목차
1.력사과학 1956년 1호
차 례
론 문
1894년 (갑신)정변에 대한 연구(하) - 리 나영(1)
조선 문학사와의 관련에서의 조선 구전 문학(하) - 고 정옥(24)
조선에 있어서 진보적 쥬르날리스찌까의 발달과 그 특성 - 한 효(51)
번 역
한(漢)민족 형성에 관한 시론 - 張正明(66)
1954년도 쏘련 고고학 및 민속학 연구의 총화를 위한 과학 쎄씨야 - 아·엘·몽가이트(89)
2.력사과학 1956년 2호
차 례
론 문
1868년 조선에 대한 미국의 침략 조직과 그 실패 - 김 희일(1)
리률곡의 사상에 대한 연구 - 리 형일(31)
자 료
사기를 중심한 고조선의 위치에 관하여 - 정 세호(54)
흥화진의 위치의 재검토 - 오 장환(72)
학계소식
쏘련에서의 사료 출판 - 아.아.노웨쎌쓰끼, 웨.이.슌꼬브(82)
3.력사과학 1956년 3호
정 다산의 생애와 학설 - (1)
차 례
토 론
조선 력사상에는 과연 노예제 사회가 없었는가 - 도 유호(15)
조선에서의 봉건적 토지 국유제에 대하여 - 전 석담(78)
학계소식
유목민들의 가부장적-봉건적 제 관계에 관하여(토론 총화) - (102)
4.력사과학 1956년 4호
차 례
조선 로동당 제 3차 대회와 조선 력사 연구의 제 과업 - (1)
론 문
조선의 노비 - 김 석형(10)
조국의 평화적 통일의 가능성 - 황 장엽(68)
1930년 신흥 탄광 로동자들의 전투적 폭동에 대하여 - 한 영해(86)
5.력사과학 1956년 5호
차 례
론 문
삼국 시대의 사회―경제 구성에 관한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상) - 김 광진(1)
다시 한 번 조선 노예 시대 문제를 론함 - 리 응수(25)
토 론
해방후 조선에서의 로농동맹과 그를 핵심으로 한 민주주의 민족 통일 전선에 관한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 최 영환(55)
〈서평〉―≪조선 서지학 개관≫에 대하여 - 박 경수(71)
6.력사과학 1956년 6호
차 례
조선 력사 연구 사업에서 제기되는 몇 가지 문제들에 대하여 - 원사 박 시형…(1)
론 문
삼국 시대의 사회―경제 구성에 관한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하) - 후보 원사 김 광진(10)
조선 계몽 사상에 대한 연구 -박 경수(41)
서원에 대한 약간의 고찰 - 오 장환…(70)
학계소식
≪조선통사≫(상)에 대한 합평회 - 편집부(91)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력사가 민족 위원회 규약 - (93)
부 록
1956년 ≪력사 과학≫ 총내용 - (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