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북한자료소개

『력사과학 (제2권)』(조선과학원 력사연구소 지음, 과학원출판사, 2000)

조회수 3601 link 복사

□ 서지사항

- 제목 :『력사과학 (제2권)』
- 지은이 : 조선과학원 력사연구소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과학원출판사 (남한 연문사 제본)
- 출판연도 : 2000
- 총 페이지 수 : 468p

□ 해제

 1955년부터 발행된 북한의 대표적인 역사학 잡지 ‘역사과학’을 한국에서 다시 엮은 책이다.본 책은 북한 역사과학의 1955년 6호부터 9호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역사과학은 해당시기 북한의 역사학계의 학문적 논쟁점, 학적성취, 역사적 견해를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북한역사학연구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중요자료이다.

□ 키워드

역사과학, 잡지, 노예제, 봉건제도, 정약용

□ 목차

1.력사과학 1955년 6호

 차 례
  레닌의 학설은 우리의 지침이다 - 김일성(1)
 론 문
  조국 해방 전쟁 시기에 있어서 조선 로동당과 공화국 정부의 경제 정책 - 김광순(10)
  미 제국주의자들의 남조선 산업 파괴 정책과 예속화 정책 - 최명소(24)
  리조 봉건 시기의 사원 경제의 몇가지 문제 - 오장환(44)
  고려 가요의 내용 및 형식에 대한 사’적고찰 - 류창선(59)
 번 역
  쏘베트 시기의 력사의 시대 구분에 대하여 - (82)
  봉건 제도의 기본적 경제 법칙에 관한 문제의 심의 - (93)
 
사 료
  한민 명전의(限民名田議―백성들의 토지 점유를 제한할데 대한 제안) - (109)

2.력사과학 1955년 7호

 차 례
 론 문
  정다산(丁茶山)의 철학 사상 - 리형일(15)
  조선에 있어서의 계몽 운동과 근대적 신문 - 리갑섭(39)
 서적해제
  ≪동인지 문(東人之文)≫ 해제 - 홍기무(63)
 번 역
  조선 근세사 사료(史料)로서의 로씨야인 조선 답사자(踏査者)들의 저서 - 게·데·챠가이(77)
  중국 고대사 시기 구분 문제의 토론에 관하여 - 림순부(96)
 학계소식
  노예 제도 붕괴와봉건 제도 발생에 관한 문제의 토론 - 리능식(103)

3.력사과학 1955년 8호

 차 례
  위대한 쏘베트 무력에 의한 8·15해방 10주년 - (1)
 론 문
  조선에 있어서의 봉건제도의 발생 과정(상) - 김광진(11)
  리조 초기의 부역(賦役)과 호적(戶籍), 호패(戶牌) 법을 통해서 본 우리 나라 봉건 제도의 몇가지 특징에 대하여 - 최병무(40)
 사상과인물
  추사 김정희(秋史 金正喜의 학문에 대하여) - 김무삼(66)
 번 역
  중화 인민 공화국의 경제구성 - 웨·아·마쑬렌니꼬브(88)
  동방 제국 최근세사(쏘련 령의) - 계·엘·본다레후쓰끼,에쓰·뻬·쑤라트(102)
 학계소식
  금년 춘기 및 하기 발굴 사업에 대한 약간의 중간 보고 - 정백운(107)
 부 록
  해방후 10년간에 발표된 력사 론문 및 단행본 목록 - 편집부(117)

4.력사과학 1955년 9호

 차 례
 론 문
  반일 민족 해방 투쟁에 있어서의 프로레타리아트의 헤게모니를 위한 투쟁(상) - 리청원(1)
  조선에 있어서의 봉건 제도의 발생 과정(하) - 김광진(37)
  일제 통치하(1930년대 이후)조선의 조세, 국채 및 인프랴찌야 - 최윤규(69)
 번 역
  쏘웨트 동양학의 가일층의 앙양을 위하여 - (96)
  =학자의 수기= 당면한 문제들 - (106)
 학계소식
  ≪조선 중세사(상편)≫에 관한 토론회 - 편집부(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