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지사항
- 제목 :『력사과학 (제14권)』
- 지은이 : 조선과학원 력사연구소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사회과학원출판사 (남한 연문사 제본)
- 출판연도 : 2000
- 총 페이지 수 : 312p
□ 해제
1955년부터 발행된 북한의 대표적인 역사학 잡지 『력사과학』을 한국에서 다시 엮은 책으로, 『력사과학』 1966년 1호부터 6호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력사과학』은 해당 시기 북한의 역사학계의 학문적 논쟁점, 학적성취, 역사적 견해를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북한 역사학연구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중요자료이다.
□ 키워드
역사과학, 잡지, 고조선, 당성, 역사주의
□ 목차
1.력사과학 1966년 1호
차 례
론 문
우리 나라에서 로동 계급 형성 과정과 그 시기 – 권 의식(1)
1880 년대 개화 사상 연구(2)-≪서유 견문(西遊見聞)≫을 중심으로 하여- - 력사학 학사 김 희일(10)
거란 침입 이전 시기 고려의 대외 정책 – 박 영해(20)
≪한국사≫를 평함(2) -3국~고려 시기를 중심으로 – 원사 김석형, 력사학 학사 김 세익(31)
강 좌
고려 시기 농민 폭동군의 편제와 전술 – 력사학 학사 문 병우(39)
학계 소식
1965 년도 력사학 박사 및 학사 학위 청구 론문 공개 심의 정형 - (48)
2.력사과학 1966년 2호
차 례
론 문
항일 무장 투쟁 시기 조선 공산주의자들의 반제 사상 – 력사학 학사 김 희일(1)
일본 후나야마(船山) 고분에서 나온 칼의 명문에 대하여 –원사 김 석형(12)
중국 ≪사기≫에 보이는 ≪료동고새≫에 대하여 – 허 승종 (18)
≪한 국 사≫를 평함(3) -15~19세기 중엽을 중심으로- - 원사 김 석형, 력사학 학사 장 국종(27)
강 좌
1920년대 일제가 표방한 ≪문화 정치≫의 본질 – 력사학 학사 최 태진 (34)
19세기 50~70년대 일본 인민과 아세아 인민을 반대하여 맺어진 미일 관계 – 강 석희(41)
3.력사과학 1966년 3호
차 례
론 문
조국 광복회가 수행한 혁명적 역할 –조국 광복회 창건 30주년에 제하여- - 력사학 학사 김 을천(1)
미국 침략에 대한 조선 인민의 첫 력사적 승리 -≪샤만호≫격멸 100주년에 제하여 – 력사학 학사 김희일(10)
≪삼국 사기≫를 통해 본 고조선의 위치 – 력사학 박사 리 지린(20)
17세기 녀진 침략자를 반대한 소위포 의병 부대의 투쟁 – 부교수 최 진순(30)
토 론
1920년대 민족 개량주의의 계급적 기초 해명에서 제기되는 몇 가지 문제 – 력사학 학사 허 장만(37)
강 좌
조국 광복회 교육 강령의 력사적 의의 – 력사학 학사 리 나영(44)
4.력사과학 1966년 4호
차 례
론 문
18세기 중엽 화폐 지대의 발생 -≪전원소 전여기(建院所 傳與記)≫를 중심으로- - 력사학 학사 홍 희유(1)
금석에 보이는 삼국 시기의 몇 개 년호에 대하여 – 력사학 학사 손영종(12)
무라야마씨의 ≪고대의 일조 관계에 대하여≫를 읽고 – 력사학 학사 김 재홍(21)
≪한국사≫를 평함(4) -19세기 후반기~20세기 초엽을 중심으로- - 력사학 학사 오 길보(29)
토 론
민족 개량주의의 계급적 기초는 예속 부르죠아지이다 – 력사학 학사 김 희일(38)
자 료
미국 침략선 ≪쉐난또아호≫격퇴를 호소한 창의문 – 박태호(47)
1895년 11월 28일 미국 침략자들의 조종 밑에 감행된 왕궁 습격 사건에 대한 자료 – 외국사 연구실 (49)
년 표
산국 시기 미술사 년표(참고용 자료) - 박문원(53)
5.력사과학 1966년 5호
차 례
론 문
≪삼국유사≫와 ≪제왕운기≫를 통해본 고조선의 위치 – 력사학박사 리지린(1)
6세기초 일본 야마도지방의 호족들과 백제계통≪소국≫ - 림종상(7)
≪대동아공영권≫실현을 위한 일본군국주의의 침략적책동 – 맹계심(19)
강 좌
미제의 아프리카침략-17세기초~제2차세계대전시기- - 리준항(25)
서평 및 서적해제
원사 박시형저≪광개토왕릉비≫에 대하여 – 부교수 력사학학사 김사억(30)
≪증보문헌비고≫해제 – 류종신(35)
자 료
論設≪國漢文의 輕重≫ - 력사학학사 김영숙(39)
년 표
삼국시기미술사년표(참고용자료) -전호의계속- - 박문원(40)
5.력사과학 1966년 6호
차 례
력사연구에서 당성의 원칙과 력사주의원칙을 관철할데 대하여 – 원사 김석형(1)
론 문
진국사연구에서 제기되는 몇가지 문제 – 리상호(8)
19세기말~20세기초 반일의병투쟁의 성격 – 력사학학사 오길보(16)
강감찬장군의 전략전술(1) - 력사학학사 김재홍(23)
우리 나라의 봉건시기 인쇄문화발전에 대하여 – 류수(33)
토 론
도지에 관한 몇가지 문제 –자본주의발생의 력사적전제형성을 중심으로- -력사학학사 허종호(41)
강 좌
≪닉명서≫,≪격문≫,≪통문≫에 대하여 – 리철화(50)
우리 말 다듬기 력사부문(1) - (22)
1966년 ≪력사과학≫ 총내용 -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