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북한자료소개

『력사과학 (제13권)』(조선과학원 력사연구소 지음, 사회과학원출판사, 2000)

조회수 3430 link 복사

□ 서지사항

- 제목 :『력사과학 (제13권)』
- 지은이 : 조선과학원 력사연구소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사회과학원출판사 (남한 연문사 제본)
- 출판연도 : 2000
- 총 페이지 수 : 384p

□ 해제

 1955년부터 발행된 북한의 대표적인 역사학 잡지 『력사과학』을 한국에서 다시 엮은 책으로, 『력사과학』 1965년 제1호부터 제6호가 실려있다. 『력사과학』은 해당 시기 북한 역사학계의 학문적 논쟁점, 학적성취, 역사적 견해를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북한 역사학연구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중요자료이다.

□ 키워드

역사과학, 잡지, 4.3사건, 민족문화유산, 개화사상

□ 목차

1.력사과학 1965년 제 1호

차 례
≪력사 과학≫창간 10 주년 - (3)

론 문
현시기 남조선 인민들의 반미 구국 투쟁 – 력사학 학사 김 희일(6)
연 개소문의 정치, 군사 활동 – 력사학 학사 김 세익(16)
고려 시기 5도와 경기의 주현군(지방군)에 대하여 – 문 병우(25)

토 론
10세기 중엽 갑산 동점(銅店)에서의 자본주의적 경영에 대한 문제 – 력사학 학사 홍 희우(40)

강 좌
일제 강점 시기 조선에 대한 미제의 종교 침략 – 력사학 학사 최 태진(49)

수 필
렬수(列水),렬양(列陽),렬구(列口),렬고사(列姑射) - 리상호(57)

자 료
일제의 만행 자료(1) - 편집부(60)

질의 응답
계(契) - 자료 연구실(63)

학계 소식
1964 년도 력사학 박사 및 학사 학위 청구 론문 공개 심의 정형

2.력사과학 1965년 제 2호

차 례 

론 문
야마대국(邪馬臺國)의 위치와 그의3한, 3국과의 관계에 대하여 – 림 종상(3)
14세기 말~15세기 전반기의 군, 현 재편성 – 김 교식(15)
항일 무장 투쟁 시기 인민 대중을 무장시키기 위한 공산주의자들의 투쟁 –전 형축(23)
우리 나라 북반부에서의 력사적인 토지 개혁 – 력사학 학사 리상준(32)

강 좌
조선 침략을 위한 미, 일 제국주의의 공모 야합에 대한 력사적인 고찰 – 강 석희(43)

자 료
일제의 만행 자료(2)-19세기 80~90년대 일본 어선들의 제주도 침범 사건- - 력사학 학사 최태진(52)

서적 해제
≪고려사≫와 ≪고려사 절요≫ - (56)

용어
륙주비전(六矣廛), 비변사(備邊司), 사초(史草) - 편집부(63)

3.력사과학 1965년 제 3호

차 례

론 문
일본≪천손 강림≫신화를 통해, 본 가락 사람들의 일본 렬도에로 진출 – 원사 김 석형(3)
고려 초 대의 정책 연구 – 박 영해(14)
의병장 류 린석의 애국적 활동 – 력사학 학사 오 길보(30)
반일 6·10만세 시위 투쟁 – 력사학 학사 리 종현(39)

강 좌
열렬한 반일 애국 렬사 안중근의 생애와 그의 옥중 투쟁 – 력사학 학사 김 영숙(48)

서 평
≪조선의 부곡제에 관한 연구≫에 대하여 – 력사학 학사 김 세익(55)

자 료
발해≪정혜 공주 묘비≫ - 최 운학(63)

4.력사과학 1965년 제 4호

차 례

론 문
진포 해전과 그 력사적 의의 – 력사학 학사 김 재홍(3)
2
0세기 초 사립 학교를 통한 애국적 교육 운동 –황 공률(12)
제주도 인민들의 4·3봉기 – 김 덕호(23)

강 좌
외래 침략을 반대한 고조선 인민들의 투쟁 – 전 준현(32)
1923년 간또 대진재(關東大震災) 당시 재일 조선 동포들에 대한 일제의 야수적 학살 만행 – 력사학 학사 최 태진(39)

서 평
≪조선 신화 연구≫에 대한 몇 가지 의견 – 림 종상(49)

고전 해제
≪동사 강목(東史綱目)≫에 대한 해제 – 부교수, 력사학 학사 김 사억(56)

자 료
≪歷史와 愛國心의 關係≫ - (61)

5.력사과학 1965년 제 5호

차 례

론 문
민족 문화 유산을 계승 발전시킬 데 대한 우리 당의 방침과 그 생활력 – 력사학 학사 김 재홍(3)
인민 정권의 수립과 그 강화 발전을 위한 당의 투쟁(1945~1948) - 김 재영(16)
안 정복의 력사관과 그의 조국 력사편사에 대하여(1) - 부교수, 력사학 학사 김 사억(25)
≪한국사≫를 평함 –고대를 중심으로- - 부교수 박사 리 지린, 리 상호(38)

강 좌
우리 나라의 금석학 – 원사, 력사학 박사 박 시형(49)
반일 광주 학생 운동 – 력사학 학사 리 종현(53)

자 료
일제의 만행 자료(3)
 
-1905년 메히꼬에 조선 인민을 강제 이주시킨 일제의 만행 (62)

5.력사과학 1965년 제 6호

차 례

론 문
1880년대 개화 사상 연구 -≪서유 견문(西遊見聞)≫을 중심으로 하여- - 력사학 학사 김 희일(3)
안 정복의 력사관과 그의 조국 력사 편사에 대하여(2) - 부교수, 력사학 학사 김 사억(14)
1920년대 일제≪산미 증식 계획≫의 략탈적 본질 – 력사학 학사 최 태진(27)
일제의 만주(중국 동북) 침략을 협조한 국제 련맹의 반동적 책동 – 력사학 학사 방 문권(39)

강 좌
조선 문헌학의 대상과 과업 – 최 영식(50)

서적 해제
≪동국 통감(東國通鑑)≫에 대한 해제 - (58)

자 료
영학당(英學堂)격문, 시일야 방성 대국(是日也放聲大哭), 시일에 우 방성대곡(是日에又放聲大哭) - (60)
1965년≪력사 과학≫총 내용 -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