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북한자료소개

『민속음식과 식생활』(박승길·김지원 지음, 평양출판사, 2015)

조회수 3440 link 복사

□ 서지사항

- 제목 : 『민속음식과 식생활』
- 지은이 : 박승길, 김지원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평양출판사
- 출판연도 : 2015
- 총 페이지 수 : 236p

□ 해제

 북한은 민족을 강조하고, 세계화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국제정세를 ‘민족의 위기’로 여기고 있다. 이에 북한의 식생활풍습을 ‘조선적인 것’으로 규정하여 북한체제의 바탕을 이루는 ‘조선민족’을 강조하고 있다. 북한은 민족을 규정하고, 역사성을 강조하여 북한의 민중들이 민족을 사랑하도록 강조한다.

□ 키워드

민속, 민족, 식생활, 역사, 조선

□ 목차

Ⅰ. 민속음식편

1. 누구나 즐겨하는 일상음식 12
 □ 조선사람의 주식과 부식물 12
 □ 구수하면서도 향긋안 숭늉 16
 □ 조선의 명물-엿 21
 □ 독특한 발효음료-식혜와 감주 27
 □ 기호음료를 대표하는 술 30
  대중기호음료로 애용해온 막걸리 36
  고급한 술로 알려진 청주 39
  독하기로 소문난 소주 43
 □ 다채로운 차 43

2. 특색있는 의례음식 48
 □ 여러가지 떡음식들 49
  순결함의 상징-백설기 49
  건강과 행복의 념원이 담긴 찰수수팥떡 50
  큰상의 명물-색떡 50
  떡의 으뜸으로 일러온 주악 51
 □ 특색있는 당과류들
  의례음식의 으뜸으로 꼽은 유밀과 53
  단음식-정과 56
  색갈과 모양이 다양한 다식 59
  누구나 즐겨 먹은 과줄 61
  재료의 모양을 그대로 살린 숙실과 63

3. 다채로운 계절음식 67

봄철의 음식
 □ 1월의 음식 69
  - 설날의 음식 69
   설명절을 상징하는 음식-떡국 69
   설날의 떡 70
   달면서도 고소한 약과와 강정 72
   향기롭고 시원한 수정과 77
   설날에 마신 도소주 78
   구미를 돋구는 지짐과 산적 80
  - 정월대보름날의 음식 81
   별식으로 지어 먹은 오곡밥 81
   장수음식으로 소문난 약밥 82
   국수 83
   복을 바라며 먹는 복쌈 84
   묵은나물 아홉가지 반찬 6
   부스럼깨기 87
   남녀로소가 마신 귀 밝이술 89
   꿀물에 띄워 마신 원소병 90
   시원한 굴랭국 91
  - 봄계절의 시작을 알리는 립춘날의 음식 92
□ 2월의 음식 93
  - 일군날의 음식 93
□ 3월의 음식 94
  - 삼짇날의 야외음식 94
  - 다양한 산나물음식 95
  - 게음식 98

여름철의 음식
□ 4월의 음식 99
□ 5월의 음식 103
 약효가 큰 쑥떡 103
 더위를 막아준다는 부루쌈 104
 약용음료-제호탕 105
 창포술과 앵두화채 106
 햇보리밥과 죽 108
 갖가지 물고기음식 109
 감자음식 110

□ 6월의 음식 112
- 류두날의 들놀이음식 112
햇밀로 만든 류두면 112
수각아, 련병, 건단 113
어죽 114
- 삼복철의 보양음식
보신탕-단고기국 115
닭고기음식-삼계탕, 영계찜, 마늘계 116
복날의 팥죽 118
평양의 비빔밥과 뱀장어구이 118
입맛을 돋구는 생채나물 119

가을철의 음식
 □ 7월의 음식 121
  칠석날의 별식-수단 121
  시원한 수박화채 122
  신선한 남새음식 123
  풋강냉이음식 124
 □ 8월의 음식 126
  추석날의 특식-송편 126
  평양의 이름난 노치 127
  햇곡식으로 담근 신도주 127
  이채로운 토란음식 128
  고장마다 특색있는 떡 129
 □ 9월의 음식 132
  중구날의 국화지짐 132
  가을철의 보신제-추어탕 134
  마가을의 젓갈 135
  밑반찬-장절임 139

겨울철의 음식
 □ 10월의 음식 142
  조선료리의 걸작품-신선로 142
  특색있는 민족음식-김치 143
  연포탕, 쑥국, 쑥단자 149
  기초식품-장 149
 □ 11월의 음식 155
  동지팥죽 155
  겨울철의 별식-랭면 158
 □ 12월의 음식 159
  랍일의 참새구이와 국수 159
  구수한 토장국 160
  추운 날의 더운 음식 161

4. 조선음식의 특성과 우수성 165

Ⅱ. 식생활풍습편

1. 우리 민족의 상차림풍습 178
 □ 상차림의 력사 178
 □ 밥상차림 181
  독상차림 181
  겸상차림 183
  두리반차림 184
  첩반상차림 186
 □ 별식에 어울리는 상차림 189
  국수상차림 189
  떡상차림 192
  지짐상차림 193
 □ 의례상차림 194
  첫돌맞이상차림 194
  혼례상차림 197
  환갑상차림 201
  제상차림 206
  친절한 손님맞이상차림 210

2. 고유한 식생활관습 213
 □ 밥을 주식으로 하는 식생활관습 213
 □ 조선민족의 수저리용관습 216
 □ 하루 끼니수를 세끼로 하는 식생활관습..219
 □ 알뜰하고 깐진 식생활관습 222
 □ 조미료를 다양하게 리용하는 식생활관습 224

3. 고상한 식사례절 230
 □ 음식을 만들거나 차릴 때의 례절 230
 □ 식사할 때의 례절 232

◎기타◎
 △상식
  - 엿을 리용한 몇가지 민간료법 24
  - 술기운을 말끔히 가셔주는 해장국 40
  - 차의 약효 46
  - 밤, 대추, 생각의 치료효과 64
  - 민속음식맛에 대한 흥미있는 표현들 107
  - 민속음식발전에 깃든 조선 민족의 지혜와 슬기 174
  - 밥그릇을 소중히 여겨온 관습 190
  - 교배상, 입매상, 폐백음식과 상차림 198
  - 전통적인 제례음식의 배렬관습 206
  - 외국인이 본 조선사람들의 친절한 손님접대 210
  - 선조들이 지켜온 음식가공의 5대원리 228
 △속담
  - 밥과 관련한 속담 16
  - 숭늉과 관련한 속담 20
  - 술과 관련한 속담 34
  - 장과 관련한 속담 150
 △옛이야기
  - 무언의 깨우침 37
  - 백결의 《방아타령》 52
  - 《감동젓》 136
  - 최령감의 김치맛 146
  - 김삿갓과 환갑잔치 204
  - 망신당한 원과 량반들 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