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지사항
- 제목 :『우리 민족의 옛 미술가들』
- 지은이 : 강명석, 리경수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평양출판사
- 출판연도 : 2009
- 총 페이지 수 : 974p
□ 해제
민족의 미술 유산 전반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는 책이다. 책은 민족의 옛 미술가들과 그들의 작품들 전통 미술과 예술작품에 관한 상식, 그 외의 각종 문화예술유적 등을 소개하고 있다. 북한은 80년대 중후반 이후 강조되기 시작한 ‘우리민족제일주의’ 교양의 목적으로 민족전통에 대한 연구와 소개를 진행하고 있다.
□ 키워드
미술작품, 미술가, 미술상식, 문화유산, 단군
□ 목차
차례
1.법륭사의 금당벽화와 담징(1)
2.천수국수장의 바탕그림을 그린 가서일(8)
3.≪상덕태자상≫을 생동하게 그린 아좌(12)
4.황룡사9층탑을 세운 아비지(18)
5.황룡사벽에 그린 소나무로 유명해진 솔거(22)
6.글씨로 사람들을 놀래운 김생(30)
7.불국사와 김대성(37)
8.세계적인 걸작 봉덕사종제작에 기여한 박한미(40)
9.≪례성강도≫로 이름을 날린 리녕(45)
10.15세기 문인화가 강희안(51)
11.꿈에 본 동산을 그대로 재현한 안견(56)
12.노비로부터 명화가로 된 리상좌(65)
13.호방한 성품을 지닌 리종준(73)
14.고양이와 강아지그림으로 유명해진 리암(77)
15.녀성화가로 이름을 남긴 신사임당(83)
16.천하명산 금강산을 자랑한 명필 양사언(93)
17.≪3대명필≫의 한사람으로 이름을 떨친 한호(98)
18.의병투쟁에 참가한 리성길(109)
19.그림 ≪뢰물바리≫로 량반통치배들을 조소한 리정(113)
20.금니화로 화단을 빛내인 리징(121)
21.문인화의 화풍에서 벗어난 김명국(126)
22.실학자로 화단에 나선 윤두서(131)
23.금강산을 그대로 풍경화에 담아낸 정선(140)
24.근로하는 인민들의 생활을 그대로 그려낸 조영석(151)
25.≪아직도 잠을 자고 있는 〈소몰이군〉≫을 그려낸 김두량(159)
26.풍경화의 높은 경지를 이룩한 심사정(166)
27.지조와 량심을 귀중히 여긴 최북(172)
28.인물주제화로 화단을 빛내인 김홍도(178)
29.풍경화에 시대상을 담은 리인문(188)
30.김홍도의 화풍을 그대로 따른 김득식(194)
31.해학과 풍자로 지배계급을 조소한 신윤복(199)
32.개성적인 서체로 사람들을 놀래운 김정희(204)
33.≪농민생활도≫로 유명해진 우진호(209)
34.근대시기 민족미술을 빛내인 장승업(214)
35.민족미술을 지키기 위해 노력한 조석진(219)
상식
미술(4)
회화(10)
조선화(14)
건축미술(20)
금단청(27)
공예(28)
서예(33)
모루단청(38)
백묘(43)
풍경화(49)
문인화(53)
도화서(62)
일반회화(68)
범단청(75)
몰골기법(80)
사군자(90)
유화(96)
수채화(104)
기념비회화(110)
화조화(117)
금니화(123)
진채화(128)
삽화(136)
구륵법(147)
인물화(156)
청화백자기(162)
농민생활도(164)
분장자기(169)
뚫음새김법(176)
선새김법(185)
명암(196)
보석화(196)
세화기법(202)
우림법(207)
조각(212)
상감기법(216)
보석공예(216)
고려자기(220)
부록
1.중세회화미술의 정수 고구려무덤벽화(223)
2.강서세무덤벽화(223)
3.고국원왕릉벽화(224)
4.사신도(224)
5.≪다까마쯔무덤≫벽화(225)
6.옥충주자(226)
7.석굴암조각(226)
8.상경돌등(227)
9.다보탑과 석가탑(228)
10.보현사(229)
11.공민왕릉조각(230)
12.평양종(231)
13.연복사종(232)
미술작품
생각에 잠겨(강희안)(233)
다리우에서(강희안)(234)
산수도(강희안)(235)
꿈에 본 동산(안견)(236)
늦은 봄(안견)(237)
룡(안견)(238)
어부(안견)(238)
달밤에 소나무밑을 거닐며(리상좌)(239)
성난 범(리상좌)(240)
꽃과 새(리상좌)(241)
나무에 오른 고양이(리암)(242)
어미개(리암)(243)
한쌍의 기러기(리암)(244)
가지(신사임당)(245)
포도(신사임당)(246)
수박(신사임당)(247)
한석봉의 글씨(248)
낚시질(리정)(249)
기러기를 바라보며(리정)(249)
산수도(리정)(250)
여름풍경(리징)(251)
독수리(리징)(252)
공작새(리징)(253)
하늘소를 타고(김명국)(254)
물을 굽어보며(김명국)(255)
박쥐를 날리며(김명국)(256)
말탄 사람(윤두서)(257)
말을 씻어주며(윤두서)(258)
밭갈이(윤두서)(259)
가야금타는 로인(정선)(260)
물소리를 들으며(정선)(261)
봄비(정선)(262)
옹천의 파도(정선)(263)
금강산전도(정선)(264)
그림보는 로인들(조영석)(265)
산수도(조영석)(265)
소몰이군(김두량)(266)
사계절(김두량, 김덕하)(267)
달밤(김두량)(268)
개(김두량)(269)
여름의 산막(심사정)(270)
여름(심사정)(271)
련꽃(심사정)(272)
산수도(최북)(273)
금강산전도(최북)(274)
매와 토끼(최북)(275)
씨름(김홍도)(276)
서당(김홍도)(277)
대장간(김홍도)(278)
마당질(김홍도)(279)
집짓기(김홍도)(280)
구룡폭(김홍도)(281)
사공(리인문)(282)
꽃과 나비(리인문)(282)
포구(리인문)(283)
루각에 모여(리인문)(284)
범(기득식)(285)
량반과 농민(김득신)(286)
대장간(김득신)(287)
고양이를 쫓다(김득신)(288)
매(김득신)(289)
미인도(신윤복)(290)
주막(신윤복)(291)
달밤의 담모퉁이(신윤복)(292)
봄놀이(신윤복)(293)
김정희의 글씨(294)
란초(김정희)(295)
농민생활도(우진호)(296)
농민생활도(우진호)(297)
게(장승업)(298)
기러기(장승업)(298)
련못가의 물촉새(장승업)(299)
매(장승업)(299)
독수리(장승업)(300)
산수도(장승업)(300)
잉어와 송사리(조석진)(301)
참새(조석진)(302)
잉어(조석진)(302)
갈대와 기러기(조석진)(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