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통일인문학 논문자료실

정상봉 「원효의 화쟁사상과 그 현대적 의의」

조회수 3749 link 복사

□ 서지사항


- 논문명 :「원효의 화쟁사상과 그 현대적 의의」

              "元曉和諍思想與其現代意義"

- 저자 : 정상봉

- 수록지명 : 통일인문학논총 제53집

- 발행일 : 2012.05

- 페이지 : pp.201-222


□ 목차


[국문초록]


[머리글]


1. 종파불교(宗派佛敎)와 교리적 대립


2. 원효의 화쟁사상(和諍思想)


3. 원효 화쟁사상(和諍思想)의 통일인문학적 의의(意義)


참고문헌


Abstract




□ 키워드


원효, 화쟁, 연계성, 포섭성, 통일



□ 초록


 예로부터 지금까지 개인과 개인·집단과 집단·국가와 국가 사이에 옳고 그름을 가리는 논쟁은 끊임이 없다. 본고에서는 원효(617~686년)의 화쟁사상을 살펴봄으로써 그가 어떻게 당시 불교이론 간에 상호 충돌하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해소하였는지 이해할 수가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삼론종과 유식종 즉 중관학파와 유식학파는 유무(有無)와 진속(眞俗) 문제 에 대하여 각기 서로 다르게 말하였지만 원효는 『대승기신론소』와『금강삼매경론』에서 염정(染淨)·유무(有無)·진속(眞俗)이 원래 둘은 혼융되지만 하나인 것도 아니며 종국에는 일시(一心)의 근원으로 돌아간다고 하였다. 그리고 마침내 그는 눈뜬이의 관점에서 『십문화쟁론』을 지어 교리상의 열 가지 문제를 상론하였다. 원효의 일심화쟁사상은 “전체[總]는 개별[別]에 즉 [卽]하고, 개별은 전체에 즉한다.”는 상호 연계성과 “전체 속의 개별, 개별 속의 전체”라는 상호 포섭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철학사상은 삼국의 통일에 그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였다. 오늘날 남북한이 비록 모두 한반도의 통일을 주장하지만 쌍방의 입장과 사상이념은 크게 다르다. 마치 눈먼 이들이 각기 코끼리를 얘기할 때 코끼리에 대하여 말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온전하게 실상을 말하는 것은 아닌 것과 같다.


 여기서 만약 우리가 원효의 일심화쟁사상에 주목한다면 전체와 개별의 연계성과 포섭성에 근거하여 일편의 편견을 대던지고 서로 포용의 노력을 기울일 수가 있을 것이다. 이것이 원효화쟁사상의 현대적 의의 소재처이다.


□ Abstract


 自古?今, 個人與個人之間?社群與社群之間?國家與國家之間, 不斷發生是非之爭。在此探討新羅元曉(617~686年)的和諍思想,可以了解元曉如何能?解消當時佛敎理論之間相爲衝突的種種問題。具體言之, 三論宗與唯識宗, 卽中觀學派與唯識學派, 對於有無?眞俗的問題兩者各說其異, 而元曉則在 ??大乘起信論疏??與 ??金剛三昧經論?? 中指出. .染淨?有無?眞俗原爲融二而不一, 終歸於一心之源。


 最後他站在張開雙眼的觀點作了 ??十門和諍論?? 以詳論敎理上的十個問題。元曉一心和諍思想代表..“總卽別, 別卽總”的互相連繫性與“總中別, 別中總”的互相包攝性。這些哲學思想就給三國的統一提供了其理論基礎。


 現在南北韓雖然都要主張韓半島的統一, 但是雙方的立場和思想理念大爲不同,像是與盲人各各說象, 雖非不說象而不得其實一樣。 於是假使我們注意到元曉一心和諍思想, 就依據其連繫性與包攝性能??開一些偏見而再作互爲包容的努力。 這就是元曉和諍思想的現代性意義所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