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지사항
- 논문명 :「강박성향의 분노에 대한 문학치료학적 접근:
<아내 시험한 장자와 고분지통>의 강박적 분노를 중심으로」
"Literary Therapeutic Approach to the Anger related to Obsessive Tendency"
- 저자 : 박재인
- 수록지명 : 문학치료연구 제30집
- 발행일 : 2014.01
- 페이지 : pp.541-574
□ 목차
1. 서론
2. 타인과 자신에 대한 강박적 분노가 드러난 <아내 시험한 장자와 고분지통>
3. <아내 시험한 장자와 고분지통>을 중심으로 구성된 분노 서사지도
4.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 키워드
강박성향의 분노 , 분노서사 , 문학치료학 , 서사지도 , <아내 시험한 장자와 고분지통> , <거짓 장례로 개가시킨 딸> , <과부 형수 개가시킨 시동생> , <저절로 벌어지는 밤송이> , <전쟁귀 잡는 굿에서 재회한 부부>
□ 초록
본 연구는 강박성향과 분노의 공격적 표출 문제가 근거리에 있다는 심리학적 견해를 기반으로 하여, 강박적 분노에 대한 문학치료학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2장에서는 분노의 공격적 표출에 깊게 관여하는 강박성향의 인지왜곡을 근거로 들어 구비설화 <아내 시험한 장자와 고분지통>에 드러난 분노의 문제점을 포착하였다. 자신도 지켜내기 어려운 높은 기준의 규율을 추구하는 강박성향이 타인과 자신에게로 향한 공격적 분노 표출을 야기하였다고 보았고, 관계의 파탄을 속단하여 자결에 이르는 결말을 통해 강박적 분노 표출의 문제를 서사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이러한 특성을 보이는 <아내 시험한 장자와 고분지통>는 강박성향의 분노서사로 간주될 수 있으며, <아내 시험한 장자와 고분지통>의 강박적 분노와 관련된 작품들로 한 편의 분노서사지도를 구상할 수 있다. 이러한 견해를 기반으로 하여 3장에서는 강박성향의 분노서사지도를 구안해 보았다. <아내 시험한 장자와 고분지통>을 중심으로 구성된 강박성향의 분노서사지도는 <거짓 장례로 개가시킨 딸>, <과부 형수 개가시킨 시동생>, <저절로 벌어지는 밤송이>, <전쟁귀 잡는 굿에서 재회한 부부>로 채워질 수 있었다. <거짓 장례로 개가시킨 딸>과 <과부 형수 개가시킨 시동생>은 타인의 성적 욕망에 대한 강박적 분노 표출 문제로부터 극복된 지점에 있었으며, <저절로 벌어지는 밤송이>와 <전쟁귀 잡는 굿에서 재회한 부부>는 자신의 성적 욕망이 발각된 상황에 대한 강박적 분노 표출 문제로부터 극복된 지점에 있었다.
<아내 시험한 장자와 고분지통>의 서사를 통해 우리 내면의 강박적 분노에 대한 고찰이 심화될 수 있었으며, 이 작품으로 중심으로 구성된 강박성향의 분노서사지도를 통해 강박적 분노에 관한 문학치료적 진단과 치료적 계획의 구체성이 확보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된다.
□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the epic map which is related to anger of obsessive tendency.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Kobunjitong> is a work that clearly shows anger-out attitude which related to obsessive tendency. In this work, the cause of anger-out attitude is cognitive distortion of obsessive tendency. Second, Through <the fake funeral of daughter> and <widow and brother-in-law>, can solve the problem that is cruel treatment of others in <Kobunjitong>. Third, Through <Chestnut shell split open itself> and <exorcism of war ghost and reunion>, can solve the problem of self-inflicted penalty in <Kobunjitong>.
In short, the epic map which revolved around <Kobunjitong> is comprised of <the fake funeral of daughter>, <widow and brother-in-law>, <Chestnut shell split open itself>, <exorcism of war ghost and reunion>. The result of this paper can be vastly utilized for anger management literary therapeutic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