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통일인문학 논문자료실

박민철 「국내 이주 코리언 디아스포라의 정체성 변용과 가치지향-한국(인)과의 가치충돌 양상을 중심으로-」

조회수 3700 link 복사

□ 서지사항


- 논문명 :「국내 이주 코리언 디아스포라의 정체성 변용과 가치지향-한국(인)과의 가치충돌 양상을 중심으로-」

              "The Variations of Identity and Value Orientation of Korean Diaspora in their Migrations into

                   South Korea : Focused on Collisions of Values in Korean"

- 저자 : 박민철

- 수록지명 : 디아스포라연구 제8권 제2호 제16집

- 발행일 : 2014.12

- 페이지 : pp.41-75


□ 목차


요약문


Ⅰ. 들어가며 : 코리언 디아스포라의 심층구술조사와 가치지향 연구


Ⅱ. 코리언 디아스포라의 국내 이주 : ‘상상된 공동체’의 와해와 ‘강요된’ 노마드적 삶


Ⅲ. ‘민족’이라는 동일화 욕망의 좌절과 이중정체성의 분화


Ⅳ. 코리언 디아스포라와 한국(인)의 가치충돌 : 그 구체적인 양상들


Ⅴ. 나가며 : 한국(인)과 코리언 디아스포라의 민족적 합력 창출을 위한 몇 가지 전제들


참고문헌


Abstract



□ 키워드


코리언 디아스포라, 가치충돌, 가치지향성, 민족정체성, 국민정체성, 대한민국경제중심주의



□ 초록


 이 글은 코리언 디아스포라의 한국으로의 대규모 이주에서 발생하는 ‘충돌’과 ‘갈등’에 대한 연구이다. 이 연구의 목표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가치관 연구들은 이를테면 ‘직업 선택’, ‘거주지 선택’과 같은 개인적인 선호도에 집중된 영역에 집중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코리언 디아스포라의 개인적인 선호도를 넘어, 평등ㆍ자유ㆍ권리와 같은 보편적인 윤리적 지향으로서 ‘가치지향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둘째, 코리언 디아스포라의 정체성과 고유한 존재방식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려고 하였다. 이는 코리언 디아스포라들에게 나타나는 가치지향성의 생성 과정을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였다.


 셋째,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코리언 디아스포라들에 대한 심층구술조사를 주요 방법론으로 채택했다. 요컨대, 그들과의 대화를 통해 그들의 가치지향성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그것을 토대로 한국(인)의 가치충돌이 구체적으로 어떤 양상으로 발생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국내이주 코리언 디아스포라로부터 한국인들의 ‘민족 내 위계화와 차별’에 대항하는 ‘평등의 지향’, 강고한 ‘국적=정체성’ 프레임에 반발하는 ‘민족적 연대’에 대한 요구,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생활양식의 모순적 공존’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Abstract


 This paper is a study of collisions and conflicts occurring in the large scale migration of Korean diaspora into South Korea. Specifically, this study has two goals.


 First, while existing studies of Korea diaspora’s values focus on the area of their personal preferences such as career choice and residential area choice, the current study rather aims to disclose Korean diaspora’s value orientation characterizable as a universalistic ethical one such as equality, liberty and other rights, hidden under the surface of their personal preferences.


 Secondly, this study want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the generation of Korean diaspora’s value orientation by trying to comprehend their identities and their own way of existence.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this study principally takes the method of in-depth interviews with Korean diaspora. That is to say, this study examines the way in which collisions of values take place among Koreans through conversations with oversea Koreans who migrated back to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