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북한자료소개

『조선어학전서18 : 조선어단어론』(김백련 지음, 사회과학출판사, 2005)

조회수 3151 link 복사


□ 서지사항

- 제목 : 『조선어학전서18 : 조선어단어론』
- 지은이 : 김백련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사회과학출판사
- 출판연도 : 2005
- 총 페이지 수 : 279p

□ 해제

 단어이론을 다루고 있다. 『조선어학전서』 시리즈는 총 63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언어정책과 언어역사, 어휘론 등 11개 분과와 언어학 편람으로 구성된다. 단어구조에서 나타나는 교차적 성격, 고유어, 외래어와 함께 한자어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어휘구성의 특성 등을 정리했다. 북한 언어의 단어구조와 품사체계를 체계화했다는 의미가 있다.

□ 키워드

단어론, 문법, 북한국어, 언어학, 조선어

□ 목차

머리말 5

제1장. 단어구조의 분석 6
 제1절. 형태부 6
  1. 단어와 형태부 6
  2. 말뿌리와 덧붙이 7
  3. 한자말 말뿌리 13
 제2절. 토 16
  1. 덧붙이와 토 16
  2. 어휘 문법적 덧붙이 18
  3. 토와 말뿌리 23
  4. 련결모음과 끼움자음 26
 제3절. 말줄기 30
  1. 단어와 말줄기 30
  2. 말줄기와 말뿌리 33
  3. 말줄기와 어형 35

제2장. 단어구조의 조성 39
 제1절. 단어조성수단과 단어의 한계 39
  1. 단어조성수단 39
  2. 단어조성범위 42
  3. 단어조성수법 46
 제2절. 단어조성의 기본수법 51
  1. 첨가법 51
  2. 합성법 52
  3. 축약법 65
  4. 굴절법 66
  5. 전환법 67
  6. 응축법 70
 제3절. 단어조성의 복합수법 71
  1. 앞 붙이-뒤 붙이 첨가법 71
  2. 합성-첨가법 73
  3. 합성-전환법 74
  4. 첨가-전환법 77

제3장. 품사분류 79
 제1절. 품사 분류의 일반원칙 79
  1. 품사의 개념 79
  2. 품사의 분류기준 81
  3. 품사의 범위 86
 제2절. 종전의 품사분류 91
  1. 근대의 품사분류 91
  2. 20세기 20년대 이후 품사분류 104
  3. 20세기 후반의 품사분류 111
 제3절. 현대조선어 품사체계 115
  1. 민족어의 특성과 품사체계 115
  2. 품사의 력사적 형성로정 118

제4장. 체언부류 120
 제1절. 명사 120
  1. 일반명사 120
  2. 고유명사 126
  3. 불완전명사 130
  4. 단위명사 138
  5. 대명사 144
  6. 명사의 단어조성 167
 제2절. 수사 178
  1. 일반수사 180
  2. 물음수사 186
  3. 수사의 단어조성 187

제5장. 용언부류 190
 제1절. 동사 190
  1. 일반동사 190
  2. 보조동사 198
  3. 가리킴동사 203
  4. 동사의 단어조성 205
 제2절. 형용사 211
  1. 일반형용사 212
  2. 존재형용사 216
  3. 지정형용사 220
  4. 보조형용사 229
  5. 가리킴형용사 231
  6. 형용사의 단어조성 233

제6장. 수식어부류 239
 제1절. 관형사 239
  1. 일반관형사 239
  2. 특수관형사 241
  3. 가리킴관형사 243
  4. 관형사의 단어조성 245
 제2절. 부사 247
  1. 일반부사 248
  2. 끼움부사 250
  3. 보조부사 253
  4. 가리킴부사 255
  5. 부사의 단어조성 256

제7장. 감각어 부류 262
 제1절. 상징사 262
  1. 고유상징사 262
  2. 바꿈상징사 265
  3. 상징사의 단어조성 268
 제2절. 감탄사 272
  1. 고유감탄사 272
  2. 바꿈감탄사 274
  3. 감탄사의 단어조성 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