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북한자료소개

『조선어학전서17 : 조선어어휘정리론』(박상훈 지음, 사회과학출판사, 2005)

조회수 3154 link 복사

□ 서지사항

- 제목 : 『조선어학전서17 : 조선어어휘정리론』
- 지은이 : 박상훈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사회과학출판사
- 출판연도 : 2005
- 총 페이지 수 : 287p

□ 해제

 어휘정리방침에 대해 다루고 있다. 『조선어학전서』 시리즈는 총 63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언어정책과 언어역사, 어휘론 등 11개 분과와 언어학 편람으로 구성된다. 북한에서는 한자와 외래어를 북한어로 풀어쓰는 언어정리사업이 시행되었다. 어휘정리의 개념과 그것이 북한어 발전에 차지하는 지위, 어휘정리사업을 진행하는 방향과 방도에 관해 서술했다.

□ 키워드

북한국어, 어휘론, 어휘정리, 언어학, 조선어

□ 목차

머리말 5

제1편. 주체적 어휘정리 방침 8

제1장. 어휘정리의 개념과 그것이 민족어 발전에서 차지하는 지위 8
 제1절. 어휘정리의 개념 8
 제2절. 민족어 발전에서 어휘정리가 차지하는 지위 16
  1. 어휘정리는 언어의 민족적 특성을 살리는 데서 기본문제 17
  2. 어휘정리는 북과 남 사이의 언어의 이질화를 막고 민족어의 통일적 발전을 이룩하기 위한 중요방도 23

제2장. 어휘정리 방향과 정리대상 선택 및 대안내기 30
 제1절. 정리대상 어휘선택 31
  1. 정리할 대상 어휘 33
  2. 눌러두고 쓸 어휘 50
 제2절. 정리 대안내기 62
  1. 고유어휘 살리기 63
  2. 고유어휘로 고치기 66
  3. 고유어휘 만들기 70
  4. 고유어휘 찾아내기 76

제3장. 어휘정리에서 나서는 중요요구 80
 제1절. 단어의 뜻 폭과 결합관계를 고려할 데 대한 요구 81
  1. 단어의 뜻 폭 고려 81
  2. 단어의 결합관계 고려 103
 제2절. 대안의 파악성을 보장할 데 대한 요구 111
  1. 대안의 정확성 112
  2. 대안의 명확성 118
  3. 대안의 간결성 126
  4. 대안의 체계성 135

제4장. 어휘정리 방도 140
 1. 대중의 적극적인 동원 141
 2. 점차성 보장 145
 3. 늘 쓰는 말부터 다듬으며 섬멸전의 방법으로 정리 147
 4. 다듬은 말의 보급과 언어생활에 대한 지도 통제 150

제5장. 주체적 어휘정리방침을 구현한 우리나라 어휘 정리 산업의 특성 158
 제1절. 어휘정리는 국가적이며 전 사회적인 어휘 개선 사업 159
 제2절. 어휘정리는 넓은 폭과 깊은 심도, 크나큰 견인력을 가지고 심화 발전되는 어휘 개선사업 167
 제3절. 어휘정리는 언어의 민족적 특성을 현대의 요구에 맞게 발전시키는 원칙에서 진행하는 어휘 개선 사업 177

제2편. 어휘정리에서 적용되는 주요 언어학적 수법들 184

제1장. 명명적 표식의 선택 수법 185
 제1절. 명명적 표식의 선택 문제에 대한 일반적 리해 185
 제2절. 명명적 표식 선택의 수법들 197
  1. 명명적 표식의 한정 198
  2. 명명적 표식의 일반화 211

제2장. 의미 표현 수법 216
 제1절. 대안에서의 의미 표현 문제에 대한 일반적 리해 217
  1. 단어의 명명적 표식과 의미 표현의 호상관계 217
  2. 어휘 정리에서의 의미 표현 문제, 그 본질적 내용 219
 제2절. 대안에서의 의미 표현수법들 227
  1. 대안의 뜻 확대 및 축소의 수법 229
  2. 대안의 뜻 전이수법 232
  3. 비유에 의한 대안 내기 수법 242

제3장. 생략의 수법 245
 1. 뜻 표현방식과 관련된 필수적인 생략 246
 2. 론리적인 생략 248
 3. 조건적인 생략 252

제4장. 단어 조성 수법 257
 제1절. 붙이법의 리용 259
  1. 앞붙이법의 리용 259
  2. 뒤붙이법의 리용 264
 제2절. 합침법의 리용 266
  1. 바꿈토 《ㅁ, 기, 이》를 리용한 합친 말 조성 268
  2. 규정토 《ㄹ》를 리용한 합친 말 조성 269
  3. 지정 합침법을 리용한 합친 말 조성 271
  4. 말뿌리 또는 말줄기들 사이의 직접적인 결합에 의한 합친 말 조성 272
 제3절. 대안의 형태부들 사이의 문법적 관계를 뚜렷하게 하기 위한 수법 274
  1. 격토의 리용 275
  2. 규정토의 리용 278
  3. 이음토, 상황토의 리용 280

맺는말 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