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북한자료소개

『조선어학전서30 : 조선어단어조성론』(김동찬 지음, 사회과학출판사, 2005)

조회수 3111 link 복사

□ 서지사항

- 제목 : 『조선어학전서30 : 조선어단어조성론』
- 지은이 : 김동찬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사회과학출판사
- 출판연도 : 2005
- 총 페이지 수 : 456p

□ 해제

 단어의 구성방식을 분석·체계화했다. 단어조성법에 대해 이론적 개념과 다루며, 단어조성론의 기본 범주와 개념을 체계적으로 다루었다. 단어조성에서 각 품사의 연관성과 조어 수법에 관해 설명했다. 『조선어학전서』 시리즈는 총 63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언어정책과 언어 역사, 어휘론 등 11개 분과와 언어학 편람으로 구성된다.

□ 키워드

단어론, 단어조성론, 북한국어, 언어학, 조선어,

□ 목차

머리말 5

제1장. 단어조성과 언어학에서의 단어 조성론 7
 제1절. 단어 7
  1. 단어는 언어의 기본단위 7
  2. 단어의 본질 8
  3. 어음적 외피와 의미와의 련계의 ≪자의성≫ 13
  4. 과학적 어원과 ≪민간어원≫ 15
 제2절. 단어조성 17
  1. 단어조성의 개념 17
  2. 단어조성의 한계 21
  3. 단어조성론의 대상으로서의 단어 27
  4
. ≪산 모형≫과 ≪죽은 모형≫ 29
 제3절. 단어조성론의 연구방법 33
  1. 두 가지 고찰 각도 (분석적 각도와 종합적 각도) 33
  2. 두 가지 단위(≪형태부≫와 ≪의미부≫) 35
  3. 고유어휘에서 열쇠 찾기 38
  4. 과학성의 원칙의 구현 41
  5. 형태부의 재현과 변이 55
 제4절. 단어조성론의 위치 63
  1. 언어의 류형과 단성조성론 63
  2. 단어조성론의 여러 가지 66
  3. 덧붙이의 추상화 수준문제 70
  4. 문법론의 독자적 분과로서의 단어조성론 72

제2장. 단어조성론의 기본범주, 기본개념 77
 제1절. 조어관계와 조어과정 78
  1. 조어관계 78
  2. 조어과정 85
 제2절. 조어수단 89
  1. 조어수단의 기본속성 90
  2. 조어수단의 부류 101
  3
. 조어수단들의 의미의 추상화(문법화) 126
  4. 조어수단의 풍부화 135
 제3절. 조어수법 146
  1. 조어수법과 그 계약조건 146
  2. 조어수법의 설정원칙 150
  3. 조어수법의 부류 156
 제4절. 조어 ≪사슬≫과 조어 ≪둥지≫ 180
  1. 조어 ≪사슬≫ 181
  2. 조어 ≪둥지≫ 187

제3장. 조선단어조성의 특성 192
 제1절. 일반적 특성 192
  1. 고유어 요소에 기초한 자기방식 193
  2. 교착어적 성격 197
 제2절. 수단의 특성 203
  1. 조어 수단의 질과 량 및 성격에서의 특성 203
  2. 교착어적 성격에 의한 특성 205
  3. 반말 뿌리의 존재 214
  4. 치밀한 형태체계에 의한 특성 216
  5. 어휘구성의 독특한 풍부성으로부터의 특성 220
 제3절. 수법의 특성 223
  1. 고유어식과 한자어식이 갈라져 있는 특성 224
  2. 기본 수법과 보조 수법으로 갈라보게 하는 특성 232
  3. 수법의 건전한 사용 236

제4장. 단어조성에서의 품사들의 련관 238
 제1절. 단어조성에 의한 품사들의 련관의 본질 238
  1. 단어조성에 의한 품사련관의 개념 238
  2. 품사련관의 계기와 한계 241
  3. 단어조성에 의한 조선어품사련관의 특성 246
 제2절. 단어조성에 의한 품사련관의 수단과 류형 255
  1. 품사련관의 수단 255
  2. 품사련관의 류형 261
 제3절. 단어조성에서 품사들의 ≪실수률≫ 278
  1. 붙임성과 ≪결합가≫ 278
  2. 품사들간의 결합위치 284
  3. ≪가동률≫과 ≪실수률≫ 286

제5장. 품사들의 단어조성과 조어둥지 292
 제1절. 명사의 단어조성 292
  1. 뒤붙이에 의한 명사 조성 293
  2. 앞붙이에 의한 명사 조성 312
  3. 합침법에 의한 명사 조성 319
  4. 되풀이법 및 기타 방식에 의한 명사 조성 326
 제2절. 동사의 단어조성 331
  1. 앞붙이에 의한 동사조정 331
  2. 뒤붙이적 단어에 의한 동사 조성 335
  3. 합침법에 의한 동사 조성 340
 제3절. 형용사의 단어 조성 344
  1. 앞붙이에 의한 형용사 조성 345
  2. 뒤붙이적 단어에 의한 형용사조성 346
  3. 합침법에 의한 형용사 조성 349
 제4절. 부사의 단어 조성 356
  1. 뒤붙이에 의한 부사 조성 357
  2. 합침법에 의한 부사 조성 367
  3. 뒤풀이법에 의한 부사 조성 368
  4. 분립법에 의한 부사 조성 370
 제5절. 외곽 품사들의 단어 조성 374
  1. 수사의 단어 조성 380
  2. 대명사의 단어 조성 382
 제6절. 품사들의 조어 둥지 실태 388
  1. 조선어 조어 둥지의 특성 388
  2. 주요 조어 둥지의 실태 391

부록 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