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지사항
- 제목 : 『조선어학전서 27 : 조선어문장론』
- 지은이 : 김백련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사회과학출판사
- 출판연도 : 2005
- 총 페이지 수 :304p
□ 해제
문장구조의 특성을 다루었다. 『조선어학전서』 시리즈는 총 63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언어정책과 언어 역사, 어휘론 등 11개 분과와 언어학 편람으로 구성된다. 문장성분과 문장유형에 대해 예시를 들어 설명했다. 제1편에서는 문장에서 구성되는 단어의 기능을 정의하고 있으며 제2편에서는 문장유형과 문장의 확대된 형태에 대해 다루었다. 북한은 문장성분과 문장유형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실제표현과 연결했다.
□ 키워드
문장론, 문장성분, 문장 유형 북한국어, 조선어
□ 목차
머리말
제1편. 문장과 문장성분 7
제1장. 문장의 구성 7
제1절. 단어와 문장 7
제2절. 문장의 구성원리 9
제2장. 문장성분의 단위와 분류원칙 13
제1절. 문장성분의 구조적 단위 13
1. 단어 및 단어결합과 문장성분 13
2. 단순성분과 합성성분 17
제2절. 문장성분의 분류원칙 19
1. 문장성분의 류형과 분류기준 19
2. 대상적 성분과 서술적 성분 22
3. 문법적 형태와 문장성분 24
4. 단계적 구조와 문장성분 28
제3장. 문장성분의 부류 32
제1절. 문장의 근간성분 32
1. 술어 32
2. 주어 41
3. 직접 보어 46
4. 간접 보어 50
5. 상황어 55
6. 이음말 58
제2절. 문장의 곁가지 성분 61
1. 규정어 61
2. 련립어 66
제3절. 문장의 독립성분 72
1. 느낌말 73
2. 부름말 76
3. 보임말 77
4. 끼움말 79
제4장. 문장성분의 호상련관 82
제1절. 문장성분의 조응 82
1. 존경의 조응 82
2. 물음의 조응 87
3. 양태의 조응 88
제2절. 문장성분의 귀일 90
제3절. 문장성분의 병렬과 총팔 92
1. 동격어 93
2. 동종어 100
3. 묶음말 109
제5장. 문장성분의 배렬과 전환 112
제1절. 문장성분의 층차적 배렬 112
1. 술어의 구심력과 어순 112
2. 상대적 어순과 그 교체 119
3. 절대적 어순과 그 전도 121
제2절. 문장성분의 전환 122
제2편 문장류형 126
제1장. 문장의 기능류형 126
제1절. 서술문, 물음문, 명령문, 권유문, 약속문, 느낌문 126
제2절. 긍정문과 부정문 129
제3절. 주동문, 사역문, 피동문, 중동문 141
제2장. 문장의 단순구조류형 145
제1절. 무주어문과 불완전문 145
1. 무주어문 145
2. 불완전문 149
제2절. 독립성분 문장 153
1. 느낌문 153
2. 부름문 154
3. 보임문 155
4. 독립성분 문장의 지위 158
제3장. 문장구조의 확대 161
제1절. 문장의 단계적 구조와 련쇄적 구조 161
1. 부 162
2. 구 169
3. 절 208
4. 부, 구, 절의 호상관계 214
제2절. 문장성분의 층차적 중첩 216
1. 주어 중첩 문장 218
2. 직접 보어 중첩 문장 230
3. 간접 보어 중첩 문장 236
4. 성분중첩과 도움형태 238
제3절. 문장성분의 녹아붙기와 분리 250
1. 부에서의 녹아붙기와 분리 251
2. 구에서의 녹아붙기와 분리 254
3. 절에서의 녹아붙기와 분리 257
제4장. 문장의 구조류형 258
제1절. 문장구조류형의 분류 258
1. 용언 술어 문장의 류형 258
2. 체언 술어 문장의 류형 263
제2절. 문장구조류형의 호상관계 269
1. 쌍관적 분류와 포괄적 분류 269
2. 단순문과 전개문 271
3. 내포문과 복합문 272
제5장 문장구조의 전환 277
제1절. 확대문류형 전환 277
1. 전개문에로의 전환 277
2. 내포문에로의 전환 282
3. 복합문에로의 전환 288
제2절. 전달문의 류형 및 구조와 그 전환 289
1. 전달문의 류형 289
2. 전달문의 구조 291
3. 전달문의 복합형태 전환 2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