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북한자료소개

『조선어학전서26 : 조선어형태론』(정순기 지음, 사회과학출판사, 2005)

조회수 3419 link 복사

□ 서지사항

- 제목 : 『조선어학전서26 : 조선어형태론』
- 지은이 : 정순기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사회과학출판사
- 출판연도 : 2005
- 총 페이지 수 : 343p

□ 해제

 형태론에 대한 기초적인 이론에 대해 다루고, 교착어로서의 특성과 문법적 형태론에 대해 서술했다. 체언과 용언의 문법적 형태와 강조 표현에 대해 정의하며, 실질적인 사용법에 대해 다루고 있다. 『조선어학전서』 시리즈는 총 63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언어정책과 언어 역사, 어휘론 등 11개 분과와 언어학 편람으로 구성된다.

□ 키워드

북한국어, 언어학, 언어문법, 조선어, 형태론

□ 목차

머리말 4

제1장. 조선어 형태론 서술의 기초적인 문제 6
 제1절. 형태론의 서술대상과 체계 6
 제2절. 교착어로서의 조선어의 특성 12
 제3절. 조선어 단어의 형태론적 구조 20
 제4절. 단어의 문법적 형태의 본질과 류형 및 그 기능 37
  1. 단어의 문법적 형태의 본질 37
  2. 문법적 형태의 류형 39
  3. 문법적 형태의 기능 42
 제5절. 조선어 단어의 문법적 형태와 문법적 의미 및 문법적 범주 48
  1. 문법적 형태와 문법적 의미 48
  2. 형태론적인 문법적 범주 52
 제6절. 조선어토의 특성과 갈래 57
  1. 조선어토의 특성 57
  2. 토의 겹침과 합성토 95
  3. 조선어토의 단위설정 113
  4. 조선말토의 갈래 123

제2장. 체언의 문법적 형태 130
 제1절. 격토와 격범주 130
  1. 격범주의 개념 130
  2. 격체계 140
  3. 격형태의 각종 의미와 그 쓰임 144
 제2절. 도움토와 련관성의 범주 162
  1. 도움토와 련관성의 범주에 대한 일반적 리해 162
  2. 도움토의 결합 구조적 특성 169
  3. 매개 도움토 형태의 구체적인 의미 173
 제3절. 복수토와 수범주 178
  1. 수범주의 개념 178
  2. 복수토의 ≪들≫의 의미 180
  3. 복수토 ≪들≫의 결합구조적 특성 181

제3장. 용언의 문법적 형태 186
 제1절. 용언의 자리토 형태와 문법적 범주 187
 1. 용언의 자리토 형태 187
  2. 자리토 형태에서 나타나는 문법적 범주 255
 제2절. 용언의 끼움토 형태와 문법적 범주 255
  1. 용언의 끼움토 형태 255
  2. 끼움토 형태에서 나타나는 문법적 범주 255

제4장. 문법적 의미의 강조와 강조토 323
 제1절. 강조토의 본질 323
 제2절. 강조형의 표현 324
  1. 격형태 뒤에 붙는 강조토 324
  2. 이음토, 꾸밈토 뒤에 붙는 강조토 326
  3. 맺음토 뒤에 붙는 강조토 329

제5장. 체언과 용언의 형태 바꿈 331
 제1절. 체언과 용언의 형태 바꿈에 대한 일반적 리해 331
 제2절. 체언의 용언형 338
 제3절. 용언의 체언형 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