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통일인문학 논문자료실

김종군 「코리언의 혼례 전통 계승과 현대적 변용」

조회수 2899 link 복사

□ 서지사항


- 논문명 :「코리언의 혼례 전통 계승과 현대적 변용」

             "The Succession of the Wedding Tradition of Korean and Modern Transformation"

- 저자 : 김종군

- 수록지명 : 통일인문학 제63집

- 발행일 : 2015. 09

- 페이지 : pp.35-70


□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코리언의 전통 혼례의 절차와 의미


3. 코리언 혼례의 현재 현황


4. 코리언 혼례의 새로운 대안-맺음말에 대신하여


참고문헌


Abstract



□ 키워드


생애의례, 혼례, 전통 계승, 문화 통합, 현대적 변용, 큰상문화



□ 초록


 이 글에서는 남한 · 북한 · 재중조선족 혼례의 현대적 양상을 비교하여 전통적 혼례로부터 공통적으로 계승되는 절차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통해 코리언들이 혼례에서 놓치지 않는 본질적인 절차와 의미를 추출하여 문화통합의 장치로 활용하고자 한다.


 생애의례는 민족의 고유한 전통과 의식이 투영되어 격식으로 진행되므로 민족의 정체성을 내포하고 있고, 이러한 정체성의 공유는 분단을 넘어 통합으로 가는 하나의 방편일 수 있다. 특히 생애의례 가운데 가장 현실적이고 가시적인 혼례 절차와 의미에 대한 통합 모델은 문화 통합의 단초가 될 수 있다고 본다.


 각 지역 혼례의 현재적 양상을 비교해 보면, 남한은 서구지향과 상업주의 논리에 따라 변화한 예식 절차로 혼인식의 진정한 의미를 놓쳐버린 측면이 강하며, 북한은 경제적인 여건과 사회주의 생활방식의 영향으로 지나치게 간소화된 절차만을 유지하고 있다. 재중조선족의 경우는 역사적 특수성이 반영되어 복잡다단하게 절차는 마련되어 있으나 그 유래가 불분명한 번다한 혼합의 형태를 보이고 있다.


 혼인예식 전 절차인 혼담, 납채, 납기, 납폐의 절차는 축소 통합되기는 하였지만 현실적인 필요성 때문에 세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표면화된 혼인예식의 절차는 통합 모델이 필요해 보인다. 우리 민족은 혼인예식을 진행하면서 신랑 신부가 하객들과 함께 음식을 나누는 것을 혼인잔치의 기본형식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를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장치가 바로 큰상문화인 것이다. 큰상문화는 현재 북한이나 재중조선족의 혼례에서는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남한은 신식결혼식이 보편화되면서 큰상문화는 사라져 버렸다. 현대적인 생활방식의 변화에 적용하여 큰상문화를 유지하고 있는 곳은 재중조선족의 혼인식이다. 이들의 혼인식에서 중첩되거나 불필요한 항목을 제거한다면 코리언 혼례문화의 통합 모델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 Abstract


 In this article, comparing modern aspects of the wedding ceremony of Korea, North Korea, Korean Chinese living in China says the procedure that is commonly inherited from the traditional wedding ceremony. Through this, extracting essential procedures and means that Koreans do not miss out in the wedding ceremony, try to utilize as a device of cultural integration.


 Compared to the current aspects of each local weddings, South Korea is having strongly side that missed the real meaning of wedding ceremony, due to the western-oriented and commercialism. North Korea is having an overly simplified procedures due to effect of economic conditions and the socialist lifestyle. The case of Korean Chinese living in China, reflecting the historical particularity, shows a complex form that the origin is unclear.


 Although the procedure before wedding ceremony has been reduced, but it has been commonly maintained in the three regions because of practical necessity. However, the procedure of wedding ceremony seems to need a unified model.


 When Koreans proceed with wedding ceremony, they considered sharing the food for guests as the basis for the wedding feast. The device that can reveal this type the most is right culture of abundant table for feast. These days the culture of abundant table for feast has maintained survived in wedding ceremony of North Korea and Korean Chinese living in China. As the new-style wedding is widespread, the culture of abundant table for feast has disappeared in South Korea.


 Applying the changes of modern lifestyle, where maintains the culture of abundant table for feast is wedding ceremony of Korean Chinese living in China. In their wedding ceremony, if we remove duplicate or unwanted items it will be integration model of Korean wedding 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