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인문학도서관

통일인문학 논문자료실

황혜진 「OECD 성인역량조사결과에 나타난 세대 간 문해력의 차이」

조회수 3049 link 복사

□ 서지사항


- 논문명 :「OECD 성인역량조사결과에 나타난 세대 간 문해력의 차이」

             "The Difference of Korean Generation’s Literacy in OECD, PIAAC"

- 저자 : 황혜진

- 수록지명 : 통일인문학 제61집

- 발행일 : 2015.03

- 페이지 : pp.585-612


□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OECD 성인역량조사(PIAAC) 사업의 개관


3. 성인역량 중 문해력 조사 결과의 주요 특징


4. 문해력 조사 결과로 본 한국사회의 세대 차이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 키워드


문해력, 성인역량평가, 세대별 문해력, 세대별 문해력의 차이, 세대차이, 세대갈등




□ 초록


 문해력은 사용 매체와 소통 방식, 사회적 참여 정도 등을 결정하는 데 관여하는 요인으로서 세대 간 문화 차이를 해명할 만한 관건이 되는 문화적 기술이다. 문해력에 대한 국제적인 비교 평가는 일반적인 패턴과 다른 우리의 특징들을 드러내주며, 이를 통해 우리의 사회문화적인 문제를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 연구는 OECD 성인역량조사(PIAAC) 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세대 간 문해력의 차이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의 만16세 학생들은 2012년도 국제학업성취도 평가(PISA)의 ‘읽기 영역’에서 전체 참여 국가 중 일본에 이어 2위를 차지했는데 성인역량 중 문해력 평가에서는 조사에 참여한 22개 나라(OECD 가입국 기준) 중 12위를 기록하였다. 이 결과는 2001년 같은 조사에서 최하위권에 머물렀던 데 비해 나아진 것이나 청소년층의 높은 성취 기준과 비교할 때는 의외의 결과라 할 것이다.


 이를 해명할 단서가 되는 것은 세대 간 문해력의 차이이다. 즉, 한국의 청년층은 문해력이 세계 최고인 데 비해 노년층은 세계 최저 그룹에 속했다. 이런 현상은 세대 간 교육 경험의 차이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어 보인다. 한편, 20대 초반에 정점을 찍은 문해력이 급전직하하는 것은 문제적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이는 학습 흥미도나 평생학습 참여율이 낮다는 개인적 차원의 문제로만 볼 수는 없다. 아무리 일상을 영위하고 직업 생활을 하기 위한 역량을 충분히 갖추었어도 그러한 역량을 활용할 기회를 갖지 못한다면 역량 감소는 명약관화하기 때문이다.


 급속한 산업화, 정보화의 사회 변동을 거쳐 온 한국사회에서 연령대별 문해력의 차이는 어쩔 수 없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교육 경험의 차이를 두고 특정 세대를 탓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러나 개인의 동기와 흥미는 사회적으로 형성되는 것이기도 하다. 이런 점을 고려할 때, 20대 초반을 정점으로 하여 나이가 들수록 문해력이 급속히 떨어지는 한국사회의 특이한 현상은 청년들에게 일자리가 주어지지 않거나, 이들의 능력을 개발하고 활용할 노동 환경이 제공되지 않는 현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하겠다.


□ Abstract


 The literacy is closely related with the personal ability of methods of communication, ways of using media and participation of society activities. An International test of literacy shows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 This research analyzed OECD test, PIAAC(Programme for the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dult Competencies) and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tion and literacy.


 In 2012 PISA, South Korea’s high-teen students (16 years old) won the second place in the reading ability. But, korean adults were ranked as 12th place among 22 countries in PIAAC’s literacy test. The clue for understanding this unbalanced result is the of literacy between generation. The literacy gap between young-ages and old-ages was closely related with educational experience. And the result shows sudden declination of literacy with aging after peaking at 23-years. This phenomenon was related with the unemployment problem of young generation. They don’t get the chance to develop their skills, as results, lose their abilities rapidly as they grow ol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