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지사항
- 제목 : 『항일무장투쟁사 5』
- 지은이 : ≪항일무장투쟁사≫ 편찬위원회
- 출판국가, 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출판사 : 과학백과사전출판사
- 출판연도 : 2003
- 총 페이지 수 : 335p
□ 해제
주체사관에 따라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 경험을 정리한 항일무장투쟁사이다. 1930년대 후반기의 항일무장투쟁상황을 소개한다. 남호두 회의부터 조국광복회의 수립, 그리고 소위 백두산 근거지의 창설까지의 전개과정을 조선혁명에서의 주체확립, 항일무장투쟁의 국내 확산이라는 북한의 관점에서 서술하였다.
□ 키워드
민족통일전선, 백두산밀영, 조국광복회, 조선인민혁명군, 항일무장투쟁
□ 목차
차 례
제3편 1930년대 후반기 항일무장투쟁
제1장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께서 항일무장투쟁을 중심으로 한 전반적 조선혁명의 일대 앙양을 위한 전략적 방침제시. 남호두회의 4
제1절 1930년대 중엽 국제 국내 정세 4
1) 국제파시즘의 침략과 전쟁정책의 로골화. 세계적 규모에서 반제반파쑈운동의 확대강화 4
2) 조선 인민에 대한 일제의 파쑈적 폭압과 식민지략탈정책의 강회. 민족적 및 계급적 모순의 가일층의 첨예화 15
제2절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께서 남호두회의에서 새로운 전략적 방침제시. 력사적인 보고 ≪반일민족해방투쟁의 강화발전을 위한 공산주의자들의 임무≫ 28
1) 남호두회의소집 28
2)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께서 항일무장투쟁을 중심으로 한 전반적 조선혁명의 일대 앙양을 위한 전략적 방침제시 34
제3절 남호두회의의 력사적 의의 56
제2장 조선인민혁명군 주력부대를 튼튼히 꾸리기 위한 투쟁 67
제1절 새 사단편성 67
제2절 조선인민혁명군 주력부대를 강화하기 위한 투쟁 99
제3장 조국광복회 창립 113
제1절 조국광복회 창립 준비사업의 적극적 추진 113
제2절 주체적인 반일민족통일전선조직체 – 조국광복회창립 126
제3절 조국광복회 10대 강령과 규약 139
1) ≪조국광복회 10대 강령≫ 139
2) ≪조국광복회규약≫ 164
제4절 조국광복회 창립의 력사적 의의 175
제4장 조선인민혁명군 주력부대의 백두산 주변 국경지대와 국내에로의 진출작전 185
제1절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께서 조선인민혁명군 주력부대의 백두산 주변 국경지대와 국내에로의 진출 작전방침 제시 185
제2절 무송 일대의 적을 제압하기 위한 군사행동 반일 련합전선의 강화 189
1) 무송 일대의 적에 대한 련속타격 189
2) 중국인 반일부대들과의 련합전선 강화 212
3) 무송현성 전투 225
제3절 압록강연안일대의 적을 제압하기 위한 투쟁. 백두산 밀영회의 238
1) 국경지대 진출. 압록강연안 일대의 적을 제압하기 위한 군사정치활동 238
2) 백두산 밀영회의. 적을 제압하기 위한 군사적 공세 강화 258
제5장 백두산 밀영을 중심으로 한 백두산근거지창설 275
제1절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께서 제시하신 백두산 밀영을 중심으로 한 백두산근거지창설방침 275
제2절 백두산지구비밀근거지창설 285
제3절 서간도 일대의 대 산림 지대에 밀영 망 형성 304
제4절 백두산 주변 지역 인민들을 조직화하고 적의 통치기능을 마비시키기 위한 투쟁 311
1) 인민대중을 조직화하며 적의 통치기능을 마비시키기 위한 혁명적 조치 311
2) 조국광복회를 비롯한 여러 혁명조직들의 조직 및 확대. 인민대중을 묶어세우기 위한 투쟁 315
3) 적의 통치기능을 마비시키기 위한 투쟁 326
제5절 백두산 밀영을 중심으로 한 백두산근거지 창설의 력사적 의의 330